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 자료 분류현황 분석 및 제언

Analysis and Suggestion of the Classification Status of Korean Diaspora Literature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22, v.53 no.2, pp.285-304
https://doi.org/10.16981/kliss.53.2.202206.285
여지숙(Ji-Suk Yeo) (경북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연구는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이 가지는 이중언어 및 한국어 이외의 현지 언어로 발간된다는 특징에 주목하여 도서관의 자료분류에서 문학류의 언어에 의한 분류현황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는 국내 대학 및 공공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는 디아스포라 문학 자료의 분류기호를 조사하였으며, 조사결과 국내 도서관들은 원작품의 언어에 분류하거나 또는 작가 중심으로 분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KDC의 문학류 분류규정에는 원작품의 언어에 대한 규정은 있지만, 작가에 대한 규정은 없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국내 도서관들은 동일한 작가의 작품을 언어에 따라 분산하는 것이 아니라 한 곳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디아스포라 문학작품을 원작품의 언어가 아니라 작가에 따라 다르게 분류하고 있었다. 따라서 국내 도서관이 가지는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 작품의 분류의 혼란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KDC에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과 한국문학을 포괄하는 ‘한민족 문학’을 810에 분류할 수 있는 별법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 별법은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에 대한 특별한 요구가 있는 도서관을 위한 시도적 제안이며, 이 별법의 적용을 위해서는 추가의 조사 및 연구가 반드시 필요할 것이다.

keywords
문학자료분류,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자료 분류, 이중언어 문학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Korean diaspora literature with the bilingual feature, which was published in a local language other than Korean, focusing on literature classification status in domestic library’s materials.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domestic universities and public libraries that owned the diaspora literature materials were classifying the original work by the languages or focusing on the author’s work. Nowadays, the Literature classification codes of KDC have on the language of the original work but no code on the author. Nevertheless, domestic libraries were classifying diaspora literature works by the author, not by the language of the original work, so that the same author’s works were gathered in one place. This study proposes an option to classify “Korean national literature” that covers Korean diaspora literature and Korean literature into 810 of KDC to resolve the confusion in the classification of Korean diaspora literature. However, this option is a trial proposal for libraries with special needs for Korean diaspora literature classification, and further investigation and research will be necessary to apply this option.

keywords
Literature Classification, Korean Diaspora Literature Classification, Bilingual Literature
투고일Submission Date
2022-05-27
수정일Revised Date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22-06-09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