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윤정옥(청주대학교) pp.5-27 https://doi.org/10.16981/kliss.44.3.201309.5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미국의 ‘한 책, 한 도시’ 지역사회 독서운동 확산의 시기적 특성 및 지속성에 관하여 살펴보는 것이다. 2013년 6월까지 미국의회도서관 도서센터 웹사이트에 등록된 584개 ‘한 책’ 프로젝트들의 확산 현황 및 특성을 태동기 (1998년-2001년), 성장기 (2002년-2006년) 및 재도약기 (2007년-현재)의 세 시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또한 주요한 ‘한 책’ 프로젝트들의 웹사이트 등을 분석하여 적어도 50개(8.9%) 이상 ‘한 책’ 프로젝트들의 지속성, 특히 초기에 시작된 ‘한 책’ 프로젝트들의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지속적인 일부 ‘한 책’ 프로젝트의 새로운 변화 모색 및 ‘The Big Read’ 이니셔티브를 통한 ‘한 책’ 독서운동 모형의 확산 추이는 향후 주목할 만하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continuity of ‘One Book, One City’ community reading campaign in the U.S.A. An analysis of 584 ‘One Book’ projects registered in the Library of Congress, the Center for the Books shows that this innovative model of reading campaign has been diffused through three stages: the beginning(1998-2001), the growth (2002-2006), and the second take-off(2007-present). The stability of more than fifty ‘One Book’ projects was confirmed and the continuing diffusion of ‘One Book’ model through ‘The Big Read’ Initiative and some projects' attempt to try new directions seem worth observing.

이창수(경북대학교) pp.29-49 https://doi.org/10.16981/kliss.44.3.201309.29
초록보기
초록

KDC 제5판의 역사보조학 중 고고학, 고문서학, 기록학, 계보학, 傳記 분야는 분류체계상의 문제점이 발견되어 개선할 필요가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첫째, LCC, DDC, KDC, NDC, UDC, CLC를 대상으로 역사보조학 분야를 비교․분석하여 KDC의 개선을 위한 착안점을 파악하고, 둘째, 도서관현장에서의 KDC를 사용한 분류 실태를 조사하여 적용상의 문제점을 도출하며, 셋째, 파악된 착안점을 참작하여 KDC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mong the auxiliary sciences of history field in the KDC 5th edition, several classification system problems are found with the fields of Archaeology, Diplomatics, Archival Science, Genealogy, and Biograph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ir improvements. To achieve this purpose, first,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Auxiliary Sciences of History field of LCC, DDC, KDC, NDC, UDC, CLC. Seco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ctual conditions of KDC in the library field to diagnose several application problems. Finally, based on the findings, the improvements of KDC were suggested.

윤희윤(대구대학교) pp.51-74 https://doi.org/10.16981/kliss.44.3.201309.5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공공도서관을 위한 공동보존서고 건립모형을 제안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공동보존서고 건립환경인 공공도서관 수장공간 부족률, 시도별 공동보존서고 건립의 우선순위, 수행해야 할 주요 기능과 업무, 바람직한 입지조건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공동보존서고 건립의 기본원칙, 건축규모, 공공도서관의 이관자료 기준과 소유권 문제, 바람직한 관리운영 주체를 제시하였다. 따라서 정부와 모든 광역시도는 조속히 공동보존서고를 설립·운영해야 한다.

Abstract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models for establishing the collaborative repository for public libraries in Korea. For this purpose, author analyzed the collection space shortage of public libraries, priority of establishment of collaborative repositories by province, key functions and practices to accomplish, and a desirable location. And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author proposed the basic principles and architectural scales of the collaborative repositories, transfer criteria and ownership of public library' collection, desirable management and operation unit of the collaborative repository. Therefore, the government and all of metropolitan must establish the collaborative repositories as soon as possible.

이종문(경성대학교) pp.75-98 https://doi.org/10.16981/kliss.44.3.201309.7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장난감도서관의 정체성과 운영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문제점을 발견,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전체 51개 장난감도서관 중 도서관법에 의해 설립된 곳은 9.8%(5개)에 불과하고 대부분 자치단체의 장난감도서관 조례(45%) 또는 법적 제도와 관계없이 설립, 운영되고 있다. 설립 목적의 경우에도 82.4%가 장난감 대여와 놀이 자료 제공 및 프로그램 보급, 문화 활동 서비스로 나타날 정도로 도서관법 제2조의 1, 2, 3항의 정의에 따른 동 법에서 말하는 도서관과는 그 정체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도서관법상의 법적 등록기준과 관련하여, 작은도서관 기준으로 건물면적은 96.1%가, 열람석은 92.3%가, 보유 자료는 45.1%가 기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사서배치의 경우는 배치한 곳이 13.7%에 불과하였다. 셋째 예산의 경우 대부분이 소요 예산의 70%밖에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자치단체들이 제정하는 장난감도서관 관련 조례 근거에 도서관법을 포함할 것을 제언하였다. 둘째 장남감도서관들이 도서관법상의 법적 위상을 가질 수 있도록 도서관법에 의해 등록할 것을 제언하였다. 셋째 장난감도서관 운영을 현실화할 수 있도록 자치단체가 예산을 현실화하여 지원할 것을 제언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problems of toy libraries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identity and administration of toy library and so to propose the approaches to improve the legal and administrative status of toy library.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is, only 9.8%(5) of 51 toy libraries in Korea was established on the basis of the Libraries Act. Most toy libraries were established and operated without any basis on legal institutions or toy library ordinances of local authorities(45%). The purposes of establishment were different from the identity of toy library specified in the provisions of Clause 1, 2 and 3, Article 2, Libraries Act, as 82.4% of toy libraries was established for rental of toys, providing game data and cultural activity service and distributing game programs. For the legal registration standards based on the Libraries Act, it was found that 96.1% exceeded the floorage requirements, 92.3% exceeded the seating requirement and 45.1% exceeded the collection requirement on the basis of the small libraries. Only 13.7% employed the librarians. Next, most toy libraries secured just 70% of the required budget. In conclusion, this study proposed the local authorities to establish the ordinances related to toy library on the basis of the Libraries Act. Next, it was also proposed for the toy libraries to register themselves in accordance with the Libraries Act for securing the legal status. Finally, the local authorities need to rationalize and support the budgets for rationalizing the administration of toy libraries.

김종성(계명대학교) pp.99-124 https://doi.org/10.16981/kliss.44.3.201309.99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우리나라 문헌정보학분야 독서 연구의 경향을 분석하고 연구의 발전적인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한국문헌정보학회지,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한국비블리아학회지에 창간호부터 2012년까지 게재된 학술논문 191편을 분석하였다. 학회지, 연도, 연구자, 연구비, 주제, 연구방법 등을 기준으로 논문 현황을 분석하였고 연구에서 나타나는 내용과 방법론을 중심으로 개선과제를 살펴보았다. 연구 논문 분석을 토대로 독서 연구의 발전을 위한 과제로 독서론 연구의 확대, 사회적 독서 이슈에 대한 연구 주도성 강화, 연구 방법론의 적실성 제고 등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of reading research in Korea. A total of 191 research articles were selected from 3 journal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rticles were analyzed in the aspects of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author types, and research funds. The writer discussed the problems shown in the articles and suggested some recommend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reading research.

김갑선(성균관대학교) pp.125-152 https://doi.org/10.16981/kliss.44.3.201309.12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여 임신부들이 경험하는 정보추구의 독특함을 총체적으로 반영한 정보추구의 실체이론을 개발하였다. 이론적 표집에 의하여 산전진료에 참여하고 있는 16명의 임신부를 대상으로 심층적인 면담을 수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근거이론 절차에 따라 자료수집과 자료 분석을 동시에 수행하였고, 지속적인 비교분석을 하였다. 임신기의 정보추구의 맥락, 구조, 과정의 분석 결과, 임신부의 정보추구 경험을 통합하는 핵심범주는 ʻ임신에 대한 자아통제감 향상하기ʼ로 도출하였다. 즉, 임신의 과정동안 임신부들의 의도적이고 일상적인 정보추구행위는 합맥락적이고 합리적으로 임신상황에 대처해 나갈 수 있는 능력을 향상해 나가는 과정이라는 것이다. ʻ임신에 대한 자아통제감 향상하기ʼ의 경험 유형은 ʻ필사적 추구형ʼ, ʻ적극적 추구형ʼ, ʻ무관심 추구형ʼ, ʻ체념적 추구형ʼ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결과의 특징 및 선행 정보추구 모형과의 비교 및 임신부들을 위한 정보서비스 개발을 논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a substantive theory that described and explained how pregnant women are seeking information in context of pregnancy. A qualitative design based on the method of grounded theory was utilize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6 pregnant women, selected by theoretical sampling who receiving antenatal care 3 different university hospitals. The interview data were transcribed and systematically analyzed according to the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Increasing Sense of Self-Control over Pregnancy' was the core category for describing and guiding the process of seeking information during the pregnancy. To construct a theory of 'Increasing Sense of Self-Control over Pregnancy' in this study, eight hypothetical statement were generated from the relationships among the core category and the other categories, thus four patterns were derived as follows: ʻDesperately Seekingʼ, ʻActively Seekingʼ, ʻUnconcernedly Seekingʼ, ʻResignedly Seekingʼ.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re discussed in terms of development of LIS theory in Korea, theory development of information behavior, education for LIS, and information service practice. The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provided.

강은영(신라대학교) pp.153-182 https://doi.org/10.16981/kliss.44.3.201309.153
초록보기
초록

공공도서관의 자료구입과정은 도서관 내부적으로 장서개발과정을 실현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이를 통해 도서관이 출판물에 대한 공적소비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여 출판산업에 기여하는 효과를 창출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 공공도서관의 자료구입과정을 면밀히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드러나는 여러 가지 문제들을 조명하여 합리적인 자료구입이 이루어지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이를 위해 자료구입정책, 자료구입을 위한 인력과 조직, 자료구입방법, 자료구입을 위한 계약, 자료구입 할인율과 도서정가제 등 다섯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자료구입의 과정과 방법 등 그 현황을 살펴보았다. 현황 분석을 위한 데이터 수집은 국내 공립 공공도서관 315개관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Abstract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acquisition process in public libraries. It specifically attempts to survey the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staff structure of acquisition departments, overall process of book purchasing, conclusion of contract for book purchasing and discount rate of book. Data are drawn from a survey with 315 public libraries in the country. As a conclusion, this study discusses such as current situation in book purchases in public libraries and possible impetus toward a better collection development process.

이상복(대진대학교) ; 박옥남(상명대학교) ; 배경재(동덕여자대학교) ; 류주현(중앙대학교) pp.183-209 https://doi.org/10.16981/kliss.44.3.201309.18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경기도교육청 공공도서관 정체성 확립 및 발전방안을 논의하고 이를 통해 교육특화형 공공도서관으로의 모형개발을 수립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경기도교육청 도서관의 운영현황 및 학교도서관 지원체계를 분석하고 연구결과로 교육중심의 패러다임 전환, 학교도서관 지원과 평생교육영역의 구분 및 확대, 지역교육청 중심의 협의체 구성 및 역할정립, 공공도서관의 창의지성교육 공간으로의 변화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교육청과 지자체 소속 공공도서관의 정체성에 대한 고민을 제시하고, 다른 지역 교육청 소속 공공도서관의 발전모형을 제시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he model for public libraries in K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The study discusses identities and development strategies for public libraries. The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us of public libraries as well as cooperative systems between public and school libraries. The study suggests education - centric paradigm, differentiation between school library support and lifelong education, establishment of council by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nd space changes for public libraries within the creative and intellectual framework. The study shares thoughts on identities of public libraries in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nd will be utilized as the model for future development for public libraries in other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이용재(부산대학교) pp.211-234 https://doi.org/10.16981/kliss.44.3.201309.211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공공도서관이 이용자의 취업 및 사업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미국 공공도서관들 중에서 이러한 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례를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주요 사례 도서관을 대상으로 관련 조직과 서비스의 내용을 분석하고, 관장 및 사서와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또한 국내 현실에 적합한 비즈니스정보서비스 제공 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국내 공공도서관의 관장 및 사서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병행하였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공공도서관에서의 비즈니스정보서비스 제공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was done to provide the ways for public libraries to support customers' business activities. Research methods such as case study, participant observation, interviews in public libraries of USA were proceeded. And also interviews with some Korean librarians were done to suggest ways to develop business information services of the public libraries in Korea.

정대근(전남대학교) ; 홍현진(전남대학교) pp.235-259 https://doi.org/10.16981/kliss.44.3.201309.23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독서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찾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독서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독서태도, 독서 롤모델(부모, 교사, 친구), 도서관 영향(도서관이용, 도서관방문, 도서관심리)을 제시하였고, 독서유효성과 독서교육영향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제시한 영향 변인들의 모든 차원에서 영향의 정도에 따라 독서유효성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독서태도와 공공도서관에 대한 긍정적 태도는 독서유효성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factors that affect adolescents' reading effectiveness. This study suggested three things as factors that influence reading effectiveness and they are an attitude towards reading, reading role models(parents, teachers, peers), a library influence(library use, library visit, library psychology).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correlation of reading effectiveness and the influence of reading education. As results, most suggested factors mad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dolescents' reading attitude and a positive attitude towards public libraries also influenced greatly in students' reading effectiveness.

서진원(전북대학교) pp.261-286 https://doi.org/10.16981/kliss.44.3.201309.261
초록보기
초록

본 논문은 독서교육에서 창의성계발을 적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독서전략들과 창의성기법들을 유형화하고 독서교육의 시간적 과정 속에 이를 융합하였다. [독서전] 과정에서는 기존지식 활용하기와 이성적 사고의 독서전략이 사용되며, 이를 확산적사고의 유창성과 독창성 기법에 융합하였다. [독서중] 과정에서는 텍스트내용 이해하기와 텍스트구조 인식하기의 독서전략이 사용되며, 이를 확산적사고의 융통성과 독창성 기법에 융합하였다. [독서후] 과정에서는 이성적 사고의 독서전략이 사용되며, 이를 확산적 사고의 독창성과 수렴적 사고 기법에 융합하였다.

Abstract

I studied on the application of creativity to reading instruction in this paper. Reading strategies and creative thinking skills are categorized. And these are incorporated in the time process of reading instruction. In pre-reading process, Using Prior Knowledge and Reasoning of reading strategies are used and these are incorporated in Fluency and Creativity of the divergent thinking skill. In reading process, Increasing Sensitivity to Text Elements with the Highest Information Load and Structuring and Recognizing Structures of reading strategies are used and these are incorporated in Flexibility and Creativity of the divergent thinking skill. In post-reading process, Reasoning of reading strategies are used and these are incorporated in Creativity of the divergent thinking skill and convergent thinking skill.

이승채(전북대학교) pp.287-308 https://doi.org/10.16981/kliss.44.3.201309.287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bibliotherapy program on the happiness index of University students. To do this, this study collected its data through two questionnaires and the writings of 14 undergraduate students taking part in the bibliotherapy program. The bibliotherapy program was designed and applied to the course of 'Bibliotherapy' for the spring semester of 2013.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we can raise the happiness index through the bibliotherapy program. More specifically, we can raise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life to a great extent, and increase positive emotions to some degree. However, reducing negative emotions is difficult. Secondly, we can heal with meditation, prayer, sticking to reality. etc., Thirdly, the bibliotherapist should consider the autonomy of the participant of the bibliotherapy program when he select books.

윤유라(동의대학교) pp.309-333 https://doi.org/10.16981/kliss.44.3.201309.309
초록보기
초록

학교도서관의 역할을 보완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타 관종, 그 중에서도 특히 공공도서관과의 협력체계 구축을 통한 역할의 강화가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의 협력형 운영사례를 살펴보고 한국의 적용가능성을 고민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일본의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협력화 사업의 현황을 알아보고 그 특징과 문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첫째, 일본학교도서관의 인적․시설적 현실을 살펴보고, 관련정책을 정리하였다. 둘째, 학교도서관의 협력 현황을 전체적으로 조망해보고, 정부적 차원의 협력사업과 지자체차원의 협력 사업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일본의 협력사업의 특징을 정리하고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에 대해 고민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utual cooperations of school and public libraries in Japan, and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its application to Korea. To the end, discussed in details are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cooperative activities between school and public libraries in Japan. The major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nalyzed are the present conditions of school libraries in Japan, with emphasis on human resources, facilities, and school library policies. Second, comprehensively investigated are the cooperation projects of school and public libraries which have been conducted by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Finally, discussed are the meanings of library cooperations in Japan and its implications for Korea.

장우권(전남대학교) ; 박주현(광주 신가초등학교) pp.335-358 https://doi.org/10.16981/kliss.44.3.201309.335
초록보기
초록

학교도서관은 교육적 만남과 문화적 소통의 장이다. 2007년에 제정된 「학교도서관진흥법」은 기본법인 「도서관법」과의 통일성 부재, 업무주체, 전문인력 배치, 내용과 범위설정 등의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학교도서관진흥법」이 제정된 과정과 법안의 제안과 개정의 목적, 주요내용을 살펴본다. 그 결과 제정된 진흥법안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바람직한 개정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School library is the place of educational meeting and cultural communication. School Libraries Promotion Act legislated in 2007 bring about library law's unity absence, the subject of works, arrangement standard of professional personnel, establishment of contents and scope, and matter of qualification and so 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cess established of School Libraries Promotion Act, a proposal bill, a purpose bill, and the main contents. As a result it is to propose revision of bill after analysis of the question enacted School Libraries Promotion Act.

이명규(전남대학교) pp.359-378 https://doi.org/10.16981/kliss.44.3.201309.359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판권기의 기능과 역할을 정리하고 중국에서 발행하는 도서의 판권기 변천사, 관련 법률, 기재요소 등을 살펴보았다. 중국의 도서 판권기를 살펴보면, 판권기에 공통적으로 들어가는 내용은 판권보호와 판본기록을 기재하고 있는 것이다. 판권기는 당해 도서의 서지사항을 특정한 곳, 즉 표제지 이면에 모아서 기재한 것이다. 그런데 이 판권기에 기술되는 서지사항은 출판기술의 발전과 출판환경의 변화에 따라 필요한 서지사항들이 추가로 기재되고 있다. 이 판권기는 도서관에서 목록을 작성할 때 유용한 정보원으로 제공되고 있다.

Abstract

This study arranged the function and role of colophon and looked around the history, relevant laws, and description elements of books issued in China. According to the colophon of books issued from China, all colophon have copyrights and description elements in common. Colophon is that we recorded the bibliographic area of the proper book in special place, namely the inside of the cover. Besides, the colophon additionally includes necessary bibliographic areas depending on the development of publishing technology and transition of publishing environment. This colophon is offered as useful sources of information when librarians want to make up the catalog in the library.

백지원(이화여자대학교) pp.379-403 https://doi.org/10.16981/kliss.44.3.201309.37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세계서지제어의 기반이 되는 목록규칙으로 작용하게 될 RDA가 외국의 대표적인 도서관들에서 본격적으로 적용되기 시작함에 따라, 국내에서도 이에 대한 대응이 필요한 시점임을 밝히고, 특히 교육훈련 및 향후 적용과 관련된 주요 논의사항 및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에 RDA 도입의 현황 및 RDA에 대해 진행되고 있는 외국의 교육훈련의 내용과 방식을 포괄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사례 분석에서 도출한 부문별 시사점을 바탕으로 RDA 교육훈련의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국내 환경에 맞게 적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향후 RDA 적용에 따른 다양한 관점의 고려사항을 기관 유형별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1) analyse the current RDA application and training and 2) develop an on-the-job training model for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professional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llected and analysed comprehensively RDA on-the-job training programs in the major foreign national libraries, consortium, college libraries, etc. Then, this study presented application methodology of the devised training model to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depending on the RDA application process. Also, the significant consideration for the RDA implementation by type of libraries was suggested.

이수상(부산대학교) pp.405-428 https://doi.org/10.16981/kliss.44.3.201309.4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내 기록관리학 분야의 학술논문을 대상으로 3가지 연구자 네트워크(공저 네트워크, 저자동시인용 네트워크, 저자서지결합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각 네트워크에 나타난 중심성과 연구성과의 연관성뿐만 아니라 중심성들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주요한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저 네트워크에서 3가지 중심성이 높은 연구자들은 연구성과도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저자동시인용 네트워크와 저자서지결합 네트워크에서 매개 중심성은 연구성과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3가지 연구자 네트워크에서 각각의 중심성들 간에는 연관성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3가지 연구자 네트워크의 모든 중심성들 간에는 높은 연관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Abstract

This study tried to explore the relation between research networks(coauthor network, author co-citation network, author bibliographic coupling network) and research performance of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study in Korea. For the analysis, three basic types of network centrality and three indicators of research performance are used.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there are relations between three centralities and three indicators of research performance in the coauthor network. Secondly, there are relations between betweenness centrality and research performance in the author co-citation/author bibliographic coupling networks. Thirdly, there are relations between three centralities in the each research network. Fourthly, there are not high relations between all centralities of the three research networks.

안현주(전남대학교) pp.429-446 https://doi.org/10.16981/kliss.44.3.201309.429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조선시대 전남지방의 읍지편찬활동을 파악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長興의 읍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는 전남의 다른 지역의 읍지편찬 연구를 체계화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현존하는 장흥의 읍지를 조사하여 체계화하였으며, 개별 읍지의 내용과 체재를 살펴서 장흥에서 편찬된 읍지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영조조부터 1910년까지 10종의 읍지가 현존하였고, 고종조에서 편찬한 읍지가 4종이었다. 읍지의 체제는 "新增東國輿地勝覽"의 항목을 기본으로 하고 추가항목을 더하여 기술하고 있다. 장흥읍지의 특성은 1) 각 坊중심으로 기술한 읍지가 3종 있는데, 人物항목에서 그들의 공동체 의식과 성리학적 교화사상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2) 軍事항목 중심의 읍지가 2종이 있는데, 당시 水軍에 대한 상세한 정보와 장흥의 군사적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3) 官撰邑誌가 4종 있는데, 읍지의 내용과 체재가 영조조와 고종조의 시대상을 반영하였다. 또한 "함주지", "김해읍지"와 비교한 결과 "장흥읍지"는 지리적 요건 상 국방의 요충지적 성격이 강하게 드러나고 있다.

Abstract

As a pioneer study to figure out the compilation of Uepji(town chronicles) of Chunnam region in the Chosun Dynasty, it is analyzed the Uepji of Jangheung. It could help systemize the study of the compilation of Uepji about other town in Chunnam region. Through the examination of exisisting Uepji of Jangheung and actual reviewing of books, characteristics of them were explored systematically. As the result, there were 10 kinds of Uepji which were compiled from the period of King Youngjo to 1910. The system of Uepji was based upon “the new version of Dongkukyeochiseungram" and was added up new items. Characteristics of Uepji of Jangheung are : 1) There were 3 titles of Uepji which were described by focusing on each county(坊), specially ‘Inmul(personage)' shows their strong community spirit and enlightening by neo-Confucianism. 2) There were 2 titles of Uepji which were described by focusing on the military, we can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military and circumstantial intelligence. 3) There were 4 titles of Uepji which were compiled by government, they reflect the spirit of age. Also the result of comparison with other town chronicles like "Hamju-Chi", "Kimhae-Uepji", it shows Jangheung was the one of major military town.

손계영(대구가톨릭대학교) pp.447-470 https://doi.org/10.16981/kliss.44.3.201309.447
초록보기
초록

이 논문은 조선시대 전반에 걸쳐 목판본 문집 간행의 문화적 양상이 시기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였는지에 관한 연구이다. 조선 초기 조정에서는 명현의 글을 보존하기 위해 문집 간행의 필요성이 계속적으로 부각되었으며, 국가에서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문집 간행을 주도하였다. 16세기부터 18세기 초반에는 감사ㆍ수령이 중앙에서 지방으로 파견되어 그들의 주도에 의해 지방관아에서 문집이 집중적으로 간행되었다. 17세기를 거쳐 18세기 초중반에는 부세 제도 변화로 지방관아의 재정이 제한되어 문집 간행 사업이 현격하게 줄어든 반면, 숙종대에 서원의 수가 폭증하자 지방관 중심의 문집 간행이 18~19세기에는 서원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19세기 후반에는 이전 시기의 형태들이 여전히 존재하였던 반면, 서원의 제도권에 속하지 못하거나 서원의 지지를 얻지 못하였던 사족들의 문집 간행이 19세기 말부터 폭발적으로 이루어져 양반층 전반의 문화로 확산되어 갔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cultural aspects of the publication of literary collections have been changed from its time throughout the entire Joseon Dynasty. At the royal court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need for publication of the literary collections has consistently arisen to preserve writings of the noted sages, and the Joseon government was also taking the lead and promoting the publication of the literary collections. From the 16th to the early 18th century, the publication was intensively made at the local governments led by local governors. From the 17th to the early to middle of the 18th century, the finances of local governments were limited with the changed taxation system, and there had been a dramatic decrease in the number of literary publication projects. On the other hand, with the sudden increase of the number of Seowons during the reign of King Sukjong, the focus of the literary publication was moved to Seowon from the 18th to the 19th century. After the enforcement of the Seowon Abolition Decree, the collections were still published at Seowons, however from the end of 19th century, the publication of literary collections had been explosively made by aristocrats who did not belong to the institution of Seowon or could not receive Seowon's support, which spreaded over the entire Yangban culture.

정영미(동의대학교) ; 도태현(동의대학교) pp.471-488 https://doi.org/10.16981/kliss.44.3.201309.47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도서관별 차세대 OPAC 기능 수용 현황을 파악하고, 기능의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차세대 OPAC 기능 27개로 구성된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여 191개 대학도서관 중 접속 가능한 181개 대학도서관의 OPAC을 조사하였다. 조사된 도서관의 차세대 OPAC 기능 수용은 SPSS Statistics 21을 사용하여 운영주체, 설치지역, 총예산, 장서량, 이용대상자수, 그리고 도서관자동화시스템 등의 변수와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세부적인 기능 간에 약간의 차이가 있었지만 대학의 운영주체 변수를 제외한 모든 변수가 차세대 OPAC 기능의 수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요인에 대한 세부적인 분석이 이루어졌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status of next generation OPAC functionalities adopted by Korean academic libraries, and factors affecting their functionalities adoption. So 181 OPACs among 191 Korean academic libraries’ OPACs are surveyed using a checklist consisting of 27 next generation OPAC functionalitie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next generation OPAC functionalities adopted by academic libraries’ OPAC and 6 factors of library, i.e., establishment, region of universities, volumes in library collection, total library expenditures, total target users, and automation solutions are analyzed by using SPSS Statistics 21. It is found that all factors except establishment of universities significantly affected the adoption of the next generation OPAC functionalities, and further detailed analysis for each factors is provided.

장인호(대진대학교) pp.489-512 https://doi.org/10.16981/kliss.44.3.201309.48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뉴스 정보의 효율적인 색인 작성과 검색을 위한 뉴스 코어 시소러스를 구축하고 활용 방안을 제시한다. 뉴스 코어 시소러스는 뉴스의 모든 주제를 커버할 수 있는 매크로시소러스로 구축하여, 향후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의 마이크로시소러스를 부분집합으로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뉴스 코어 시소러스는 디스크립터 2,012어, 비디스크립터 74어를 SKOS(Simple Knowledge Organization System)로 구현하였다. 일간신문이 아닌 주간이나 격주간 등의 정보량이 적고, 특수한 주제를 다루는 신문은 특수 주제영역만 상세히 다루고, 대형의 뉴스 아카이브나 포털 사이트에서는 각각의 마이크로시소러스를 병합 또는 통합하여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Abstract

This study suggests the establishment and applications of the News core thesaurus for efficient indexing and searching of news information. News core thesaurus was constructed as macrothesauri which can cover all of news subjects and then has microthesauri like politics, economy, society, culture, etc. as its subsets. In this research, News core thesaurus embodied 2,012 descriptors and 74 non-descriptors by SKOS(Simple Knowledge Organization System). It suggests measures that treat only special subjects in detail in weekly newspaper or biweekly newspaper with little information and special subjects, which is not daily newspaper, and use each microthesauri by merging or integrating in huge news archives or portal sites.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