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고전 필사본 유랑과 도서관으로의 귀환

The Wandering of Classic Manuscripts and Their Return to the Library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22, v.53 no.4, pp.1-23
https://doi.org/10.16981/kliss.53.4.202212.1
윤희윤 (대구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기록은 인간의 삶과 지식 세계에 대한 수상인 동시에 지문이다. 기록의 대명사로 간주되는 책은 인류 역사를 추적하는 통로이자 그것을 음미하는 창이다. 그리고 책의 가장 원시적인 형태는 고대 그리스ㆍ로마의 고전이고, 압권은 필사본이다. 그것은 파피루스 두루마리, 양피지, 종이 등에 기록한 원본과 그것을 번역ㆍ중역한 사본을 총칭한다. 장구한 지식문화사를 반추하면 서양 필사본은 자연적 재해뿐만 아니라 인위적 문화반달리즘과 비블리오코스트로 인하여 시공간을 유동하는 강물처럼 이합집산을 계속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고대 그리스에서 중세 르네상스 시대까지 서양 필사본의 유량과 도서관 보존을 추적하였다. 그 결과, 왕조와 제국, 군주와 재상, 장군과 정복자, 귀족과 부유층, 성직자와 학자를 불문하고 고전 필사본을 수집하고 번역하는데 혈안이었다. 고대 그리스ㆍ로마의 석학들이 파피루스와 양피지에 지식과 지혜를 기록하지 않았으면, 중세 비잔티움 제국ㆍ이슬람 제국이 고전을 수집ㆍ번역하고 재생산하지 않았으면, 책 사냥꾼들이 고전을 추적하지 않았으면, 르네상스 인문주의자들이 지적 엑소더스를 통해 고전을 복원ㆍ재해석하지 않았으면, 그리고 역사도서관이 사력을 다해 고전과 번역본을 수집ㆍ보존하지 않았으면, 현대인은 고전 지식을 접할 수 없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전 필사본의 추적은 역사적 유동, 지리적 유랑, 언어적 변용으로 인해 많은 난제와 모순이 중첩되어 있는 아포리아다. 새로운 필사본이 발견ㆍ해석되면 수정과 보완이 불가피하므로 후속연구를 통한 고전 필사본의 유랑과 귀환에 대한 추적은 계속되어야 한다.

keywords
고전 필사본, 필사와 번역, 고대 그리스․로마, 비잔티움 제국, 이슬람 제국, 중세 르네상스, 역사도서관, Classic Manuscripts, Transcription and Translation, Ancient Greek and Rome, Byzantine Empire, Islamic Empire, Medieval Renaissance, Historical Library

Abstract

The record is both an palmistry and a fingerprint for human life and world of knowledge. Books, which are synonymous with records, are a channel through which history is traced and a window to savor. And the most primitive form of the book is the classics of ancient Greece and Rome, and the best part is the manuscript. It refers to the original recorded on papyrus, parchment, paper, etc. and the translated and translated copies of them. If we reflect on the long history of knowledge and culture, the classic manuscripts have continued to scatter and collect like a river flowing through time and space due to not only natural disasters, but also artificial cultural vandalism and the bibliocaust. Therefore, this study traced and linked the wandering and library return of classic manuscripts from ancient Greece to the medieval Renaissance period. As a result, dynasties and empires, monarchs and prime ministers, generals and conquerors, nobles and wealthy, clergy and scholars concentrated on collecting and translating classical manuscripts. If the ancient Greek and Roman scholars did not record knowledge and wisdom in papyrus and parchment, the medieval Byzantine and Islamic Empires did not collect, translate and reproduce classics, the book hunters didn't keep track of the classics, the Renaissance humanists did not restore and reinterpret the classics through intellectual exodus, and the historical library did not collect and preserve the classics and their translations, modern people would not have access to classical knowledge. Nevertheless, the tracing of classical manuscripts is an aporia in which many difficulties and contradictions overlap in the tracing of classic manuscripts due to historical flow, geographical wandering, and linguistic transformation. When a new manuscript is discovered and interpreted, correction and supplementation are inevitable, so the pursuit of the wandering and return of the classic manuscripts through follow-up research must be continued.

keywords
고전 필사본, 필사와 번역, 고대 그리스․로마, 비잔티움 제국, 이슬람 제국, 중세 르네상스, 역사도서관, Classic Manuscripts, Transcription and Translation, Ancient Greek and Rome, Byzantine Empire, Islamic Empire, Medieval Renaissance, Historical Library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