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그림책 관련 연구의 동향 분석: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rends in Research Papers Related to Picture Books: Focusing on papers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22, v.53 no.2, pp.189-214
https://doi.org/10.16981/kliss.53.2.202206.189
김종성(Jong-Sung Kim) (계명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연구는 우리나라 그림책 관련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여 연구의 현황과 경향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2021년까지 국내에서 생산된 그림책 관련 학술논문 1,660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 논문을 일일이 확인하고 분석하여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그림책 관련 학술 논문은 1990년대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하여 2010년을 전후로 크게 증가하였다. 둘째, 그림책 관련 논문이 가장 많이 게재된 학술지는어린이문학교육연구로 전체의 17.7%가 게재되었다. 셋째, 우리나라 그림책 연구를 주도한 대표적인 연구자는 현은자, 조희숙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연구 유형별로는 개인연구 논문이 39%, 공동연구 논문이 61%이다. 다섯째, 연구주제 분석 결과 그림책 내용(분석) 연구(33.4%) 그림책의 효과 연구(29.6%), 그림책에 대한 인식․반응․경험 연구(18.0%)의 순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연구방법 분석 결과 실험연구(35.7%), 내용분석(33.7%), 문헌연구(13.3%), 질적연구(9.3%)순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연구 논문의 생산 경로 다양화, 대학과 현장의 협업 관행 확대, 연구주제의 다양화, 연구방법의 타당성 제고와 다양성 확대 등 4가지 과제를 제안하였다.

keywords
그림책, 연구동향, 어린이도서, 아동문학, 연구방법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status of picture book-related research in Korea. For this purpose, 1,660 picture book-related research papers produced in Korea by 2021 were analyzed. The results revealed through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research papers began to appear in the mid-1990s and began to increase significantly around 2010. Second, the journal with the most research papers was 󰡔Journal of Children’s Literature and Education󰡕, accounting for 17.7% of the total. Third, the representative researchers who led the production of the papers are Eun-Ja Hyun and Hea-Sook Jo. Fourth, by research type, individual research papers accounted for 39% and joint research 61%. Fift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topic, the study of the contents (analysis) of picture books (33.4%), the study of the effect of picture books (29.6%), and the study of perception, reaction, and experience of picture books (18.0%) were in order. Sixth, as a result of the research method analysis, experimental studies (35.7%), content analysis (33.7%), literature studies (13.3%), and qualitative studies (9.3%) were in order.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researcher suggested diversifying the research production route, expanding the trend of collaboration between universities and the field, diversifying research topics, and enhancing the validity and diversity of research methods.

keywords
Picture Book, Research Trends, Children’s Book, Children’s Literature, Research Method
투고일Submission Date
2022-05-25
수정일Revised Date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22-06-10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