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박경희(전남대학교) ; 이명규(전남대학교) pp.1-29 https://doi.org/10.16981/kliss.53.1.202203.1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책 읽어주기를 들은 경험이 있는 사람들의 책 읽어주기에 대한 가치 인식이 책 읽어주기 만족도와 독서태도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이를 토대로 도서관 책 읽어주기 서비스의 시사점을 얻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연령대의 43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대별로 책 읽어주기에 대한 가치 인식과 만족도의 차이가 나타났고, 독서태도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책 읽어주기 가치가 효능감, 사랑받는 느낌에 있다고 답한 응답자의 만족도가 긍정적으로 나타났고, 편안함에 있다고 답한 응답자의 만족도는 이에 비해 낮았다. 셋째, 만족도가 긍정적인 응답자일수록 독서태도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가 어린이 책을 읽는 독서모임에 참여하고 있는 응답자는 신뢰관계형성에 대한 가치 인식이 높고, 책 읽어주기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책 읽어주기 경험이 많을수록 독서태도의 행동적 측면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서(교사)는 연령대별로 가치 인식 유형과 만족도를 고려한 프로그램을 기획하는 한편, 학부모대상 독서모임을 적극적으로 운영하여 독서태도 향상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people who have heard of ‘reading aloud’ on the formation of reading satisfaction and reading attitude, and to obtain implications for the library book reading service.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439 people of various age group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valu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with reading books by age group,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reading attitude. Second, the satisfaction of the respondents who answered that the value of reading books was efficacy and feeling loved was positive, and the satisfaction of the respondents who answered that they were comfortable was lower than this. Third, the more positive the satisfaction level was, the more positive the reading attitude was. Fourth, respondents who participate in reading groups for children were found to have a high value perception of trust relationships and more experience in reading books, and the more experience they have in reading, the more they are affected by the behavioral aspect of reading attitude. Therefore, librarians (teachers) need to support the improvement of reading attitudes by actively operating reading groups for parents while planning programs that take into account value recognition types and satisfaction by age group.

임성관(경기대학교) pp.31-54 https://doi.org/10.16981/kliss.53.1.202203.3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2021년도 여름방학 중에 사서교사(1급) 자격연수를 운영한 K대학교 교육연수원의 사례를 바탕으로, 자격연수가 어떻게 구성 및 운영되는지 교육과정에 대한 실태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 결과 사서교사(1급) 자격연수에는 초등학교에서 50명(남성 4명, 여성 46명), 중학교에서 24명(남성 4명, 여성 20명), 고등학교에서 37명(남성 5명, 여성 32명), 총 111명의 사서교사들이 참여했다. 또한 자격연수의 교육과정은 ‘학습자 힘 기르기’의 영역 및 ‘사서교사 역할 성명서’의 직무 범위에 부합되는 핵심역량과 교과목들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자격연수에 참여했던 사서교사 111명의 만족도는 평균 5점 만점에 4.76점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만족도가 높은 편이이었으나, 가장 낮거나 평균보다 낮았던 부분에 대해 제언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ctual state of the curriculum on how qualification training is organized and operated based on the operation case of the K University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e, which operated librarian teacher (level 1) qualification training was held during the summer vacation of 2021. As a result of the study, a total of 111 librarians participated in the actual qualification training, of which 50 librarian teachers (4 males, 46 females) were from elementary schools, 24 (4 males, 20 females) from middle schools, and 37 (5 males, 32 females) from high schools. In addition, the curriculum for qualification training consisted of core competencies and subjects that met the scope of the job of the ‘learner strength development’ and the ‘librarian role statement’, and the satisfaction ratio of the 111 librarian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qualification training averaged 4.76 out of 5. Overall, the satisfaction was high, but it was suggested on the areas that were either the lowest or lower than average.

노영희(건국대학교) ; 장인호(대진대학교) ; 강지혜(동덕여자대학교) ; 곽우정(건국대학교) pp.55-79 https://doi.org/10.16981/kliss.53.1.202203.5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가정책연구포털(NKIS)의 운영 현황을 분석하여 개선이 필요한 부분과 유사기관의 포털 현황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NKIS의 활용성을 강화하고 정부출연연구기관들의 설립목적 달성을 위한 효율적 지원․육성 기능을 실현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4차 산업혁명에 따라 발전하는 정보서비스 기술을 NKIS에 적용하여 소관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성과물 검색 및 활용기능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회원 확보를 위해 정책정보에 수요가 있는 대상을 찾아 홍보를 진행할 필요가 있으며, 국민 친화적 정책 보고서 작성 및 인포그래픽, 쉬운 방식의 정보 전달 등 정책정보에 대한 수요를 늘릴 필요가 있다. 둘째, 방문 직업의 비율을 고려하여 주 이용자층의 관심사인 사회문제와 교육주제의 보고서 및 정책자료를 강화하는 방식으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셋째, 영상자료 서비스의 다양화 및 확대를 위해서 소관 기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영상자료의 업로드 독려 및 규정을 설정하는 등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 넷째, 홍보 서비스 전반의 개선이 필요할 것이다. 홍보 서비스 개선을 위해서는 최신내용을 탑재한 NKIS 홍보 웹툰 연재를 진행하거나 최신성 유지의 어려움이 있을 경우에는 현행으로 유지되는 웹툰 홍보를 폐지할 필요가 있다. 뿐만 아니라 NKIS에서 진행하는 공모전의 운영 개선 방안 도출과 공모전 이후 공모전 결과물을 기반으로 한 2차 홍보에 대한 논의 등도 필요하다.

Abstract

In this study, the current status of operation was analyzed with a view to analyze the areas in need of improvement and the status of portals of similar institutions. Based on which, a proposal was made to help improve the function of utilization as well as search the products of studies by and for the research institutes funded by the government having jurisdiction by applying the information service technology developing in line wi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or the purposes of aiding and fostering with efficiency toward achieving the goal of establishment for such institutes, while strengthening the utility of NKIS. First, in order to secure the membership, it is necessary to find the targets for policy information and promotion, and it is also necessary to increase the demand for policy information, such as by preparing the people friendly policy reports, infographics, and information delivery in an easy manner. Seco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customized services in the manner which reinforces reports and policy data on the social issues and education topics, which are among the interests of the primary user base by considering the ratio of visiting occupations. Third, for the diversification and expansion of video data services, it is necessary to prepare alternatives, such as by setting regulations and encouraging the institutions of jurisdiction to upload the video data. Fourth, it will be necessary to improve the overall public relations service. It is also necessary to proceed with the NKIS’ publicity webtoon serialization with the latest contents or abolish the current webtoon promotion, while it is necessary to derive the plans for the efficient implementation of the contest, further to the need to discuss the secondary publicity after the contest rather than halting after it

이승민(중앙대학교) pp.81-101 https://doi.org/10.16981/kliss.53.1.202203.81
초록보기
초록

일반적으로 문화자본은 개인의 문화 활동을 촉진하는 문화적 환경을 통해 형성된다고 알려져 왔다. 공공도서관은 사람들이 다양한 문화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문화자본의 형성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해 왔지만, 현재의 진화하는 문화 환경에서도 공공도서관이 여전히 문화자본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한 논란이 제기되어 왔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문화자본 형성에 있어 공공도서관이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문화기관으로서의 공공도서관은 문화자원에 대한 접근 및 활용, 다양한 문화 활동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다양한 유형의 문화자본 형성으로 이어지고 있다. 또한 공공도서관은 커뮤니티 구성원들이 문화자본을 형성할 수 있는 평등한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문화적 격차와 사회적 격차를 해소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Abstract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cultural capital is constructed through cultural environments that facilitate the cultural activities of individuals. Although public libraries foster the cultural environment and support various cultural activities, there is controversy about whether public libraries still affect the formation of cultural capital in the current evolved cultural environment. This research empirically verified the roles of public libraries in the formation of cultural capital by conducting a survey targeting public library users. As a result, public libraries as cultural institutions play an important role in providing opportunities to access and utilize cultural resources and to experience various cultural activities, which are connected to the formation of different types of cultural capital. In addition, public libraries function to close the cultural divide and social disparities by providing equal opportunities to construct cultural capital for community members.

여지숙(경북대학교) ; 양기덕(경북대학교) ; 이토히로코(경북대학교) ; 이혜경(경북대학교) pp.103-124 https://doi.org/10.16981/kliss.53.1.202203.103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한인디아스포라와 관련된 연구에서 한인에 대한 용어를 분석하여, 국립중앙도서관 주제명표목표에서 관련 용어들을 조사하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KCI 등재(후보)학술지 중 디아스포라 관련 논문의 비율이 높은 3개의 학술지를 선정하여 한인과 관련된 용어에서 추출하여, 이 3개 학술지 논문에서 사용된 빈도를 조사한 다음, 한인과 관련된 용어를 사용한 논문을 직접 보고 추가 한인 관련 용어를 조사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국립중앙도서관 주제명표목표에서 한인 관련 주제명을 보완할 수 있는 방안으로 영문표기의 변경, 비우선어의 추가, 기존 주제명의 계층관계 변경 등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paper suggests a way to improve Korean diaspora-related subject headings based on the analysis of terminology about Koreans in Korean diaspora-related manuscripts and investigation of related terms in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subject headings. After selecting three KCI journals with high ratios of diaspora-related papers, the study extracted Korean-related terminology from the journal papers and examined their term frequencies. Additional Korean-related terms were investigated by manually reviewing the articles in which extracted terms appear. Based on these analyses, the study proposes several supplemental enhancements to Korean-related topic names in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s subject headings, such as changing the English notation, adding non-preferred words, and changing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of the existing topic names.

정철(부산대학교) ; 이수상(부산대학교) pp.125-148 https://doi.org/10.16981/kliss.53.1.202203.12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기록전시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AR 온라인 기록전시 플랫폼을 설계하고, 직접 개발하는 과정을 다루며, 나아가 실제 이용자를 대상으로 개발된 플랫폼의 사용성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다. 기록전시 플랫폼이 담보해야 할 온라인 기록전시 플랫폼의 기능 요건을 도출하기 위해 관련 문헌을 분석하였으며, 도출된 기능 요건을 바탕으로 AR 온라인 기록전시 플랫폼의 개발을 위한 설계 전략 6가지를 수립하였다. 플랫폼의 구체적인 개발은 유니티 엔진(Unity Engine)을 활용하여 진행하였으며, 설계전략을 바탕으로 하였다. 이후 개발된 플랫폼을 활용하여 부산민주공원의 소장 자료를 바탕으로 <6월 민주 항쟁 역사 기획전>을 기획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플랫폼의 실제 전시 서비스의 적용에 대한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실제 이용자 35명을 대상으로 플랫폼 시연을 통해 이용자 경험(UX)에 기반한 AR 온라인 기록전시 플랫폼의 사용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에 따르면 첨단 기술의 활용에 따른 보완에 대한 요구사항 등이 존재하였으나,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한 언택트 서비스의 활성화가 진행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매우 긍정적일 것이라는 의견이 주를 이루었다.

Abstract

This study shows the process of designing and directly developing an online archives exhibition platform using AR (AR online archives exhibition platform) as a method for effectively providing online archives exhibition. Furthermore, the usability of the platform developed for actual users was evaluated. Related literature analysis was conducted to derive the functional requirements of the online archives exhibition platform to be guaranteed by the archives exhibition platform. Based on the derived functional requirements, six development strategies were established for the development of an AR online archives exhibition platform. The specific development of the platform was carried out using the Unity Engine and was based on the development strategy. After that, using the developed platform, ‘June Democratic Struggle History Exhibition’ was planned based on the collection of the Busan Democratic Park. Based on this, this study attempted to specifically evaluate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actual exhibition service of the platform. Based on this, this study specifically evaluated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actual exhibition service of the platform, and the usability of the AR online archives exhibition platform based on user experience (UX) was evaluated through platform demonstration for 35 actual users. According to the evaluation results, there were requirements for supplementation due to the use of advanced technology, but the main opinion was that it will be very positive at this time when untact services are being activated due to the Corona Pandemic.

노지현(부산대학교) ; 이미화(공주대학교) pp.149-170 https://doi.org/10.16981/kliss.53.1.202203.149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KORMARC 통합서지용 (2014)에 대한 개정(안)의 도출을 위한 기초연구이다. 연구의 주요 내용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15-2021년에 국립중앙도서관에 접수된 KORMARC 통합서지용 의 문제점과 개정에 대한 실무진의 의견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둘째, KORMARC 적용과 관련된 기관별 업무지침을 분석하여 KORMARC 개정에 반영할 사항을 도출하였다. 셋째, MARC21의 Update No. 32(June 2021)와 KORMARC 통합서지용 을 비교하여 KORMARC 개정에 반영할 사항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그동안 선행연구에서 제기해왔거나 별도 논의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쟁점을 조사하였다. 분석결과에근거하여, 이 연구에서는 KORMARC 필드․식별기호․지시기호의 추가와 삭제, 적용지침과 예시의 보완, 부록 및 부속서(부호표)의 개정을 포함하는 개정 초안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전문가 의견 수렴과 국립중앙도서관 국가서지과 실무진의 검토, 공청회를 통한 도서관계의 폭넓은 의견 수렴 과정을 거쳐 최종 개정(안)을 마련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revised draft of KORMARC bibliographic format that was first revised in 2014. To this end,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the opinions of cataloging working groups for revision of KORMARC including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NLK) and KERI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Second, work guidelines used in libraries or cooperative catalog systems were analyzed. Third, by comparing MARC21 update No.32 (June 2021) with the KORMARC bibliographic format, elements that need to be reflected in the KORMARC revision were derived. Finally, issues that have been raised in previous studies or that require further discussion were examined.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an outlines of the extension and deletion of KORMARC fields, subfields, and indicators, and supplementation of application guidelines and examples were derived. The final revision directions were finalized after collecting expert opinions, the working group reviews, and comprehensive opinions from the library community.

이현숙(부산대학교) ; 이용재(부산대학교) pp.171-190 https://doi.org/10.16981/kliss.53.1.202203.171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학 5법칙을 통하여 초등학교 도서관 운영의 현황을 살펴보고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의 범위를 부산지역으로 하여 초등학교 도서관 304곳의 운영 현황을 분석하였고, 심층조사를 위하여 부산의 D초등학교 도서관을 사례로 살펴보았다. 부산지역 초등학교 도서관의 운영 현황은 2016~2021년 동안의 도서관 보유, 사서교사 배치, 장서, 연간 이용, 예산, 좌석 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특히 정규직 사서교사 배치율이 10.5%에 불과해 인력 부족 문제가 심각함이 드러났다. 사례연구에서는 랑가나단의 도서관학 5법칙 중 제1법칙과 제3법칙을 중심으로 부산 D초등학교 도서관 운영 현황을 조사하였다. 제1법칙에서는 열람방식, 입지, 이용시간, 가구, 직원의 측면으로 나누어 조사하였고, 제3법칙에서는 서가배열, 목록, 확장봉사, 도서선택 측면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특히 한 학기 한 권 읽기용 도서로 50권 이상 복본이 있는 도서가 전체 장서의 4.8%를 차지하여 불균형한 장서 구성의 문제를 보였다. 연구의 결과, 개선방안으로 ‘사서교사 배치 확대’, ‘리모델링을 통한 독서환경 구축’, ‘균형 잡힌 장서개발’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managing elementary school libraries in Busan and suggest the ways to improve it with the viewpoint of ‘the five laws of library science’. The scope of study was set as the elementary school libraries in Busan, and the operation status of 304 elementary school libraries was analyzed. And for in-depth investigation, D elementary school library was examined as a case. The operation status of elementary school libraries in Busan was analyzed with the analysis elements; existence of school library, placement of teacher librarian, library collection, annual use, budget, and library seats for 6 years from 2016 to 2021. As a result, especially the placement rate of full-time teacher librarians was only 10.5%, indicating that the problem of manpower shortage was serious. As case study, the current state of managing D elementary school library was deeply investigated with perspectives of the first law and the third law of library science among Ranganathan’s five laws of library science. With the first law, the investigation was divided into the aspects of open-shelf system, library location, library hours, furniture, and staff. With the third law, the investigation was done as the aspects of shelf arrangement, catalog, extended service, book selection. Especially, books with more than 50 copies for the program of reading one book each semester accounted for 4.8% of the total collection, showing the problem of unbalanced collection. As the result of this study, ‘expanding the placement of teacher librarians’, ‘making better reading environment through remodeling’, and ‘balanced collection development’ were suggested as the ways of developing school libraries.

박성우(광주대학교) ; 홍소람(광주대학교) pp.191-210 https://doi.org/10.16981/kliss.53.1.202203.191
초록보기
초록

Niklas Luhmann은 다른 학문 분야에도 막강한 영향력을 끼치고 있는 사회학자이다. 따라서 Luhmann의 이론이 후속 연구자들에게 어떤 영향력을 끼쳤는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Niklas Luhmann의 이론을 연구하는 후속연구자들의 지식 네트워크를 분석하였고, 분석 방법은 서지결합과 동시인용을 사용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지결합분석을 통해서는 남미․스페인어권, 서유럽․영미권, 동․북유럽 및 기타 어권으로 클러스터가 나뉘었다. 둘째, 서지결합 노드 단위 분석에서는 주로 Luhmann의 핵심 저작을 인용한 경우, Luhmann의 주변 저작들을 인용한 경우로 나뉘었다. 셋째, 동시인용분석을 통해서는 Luhmann의 저작 중 반복적으로 인용되는 핵심 저작군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동시인용 네트워크의 노드 단위 분석에서는 12개의 핵심 저작이 도출되었고, 핵심 저작들은 주제에 따라 4개의 저작군으로 나타났다.

Abstract

Niklas Luhmann is a sociologist who has had a strong influence on other disciplin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at Luhmann’s theory has influenced on his subsequent researchers. This study analyzed the knowledge network of studies on Niklas Luhmann’s theory by follow-up researchers. Bibliographic coupling and co-citation were used as the analysis method of knowledge network.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anguage clusters were divided into Latin American / Spanish-speaking regions, Western Europe / Anglo-American regions, Eastern / Northern Europe and other language regions through bibliographic coupling analysis. Second, from the node analysis of bibliographic coupling, It was divided into 2 main cases: where Luhmann’s major works were cited; where Luhmann’s minor works were cited. Third, it was found that there are the core work groups that are repeatedly cited among Luhmann’s works. Fourth, 12 core works were derived from the node analysis of the co-citation network, and appeared in four groups according to themes.

정대근(광주대학교) pp.211-230 https://doi.org/10.16981/kliss.53.1.202203.211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대학생들의 독서태도와 독서율, 성격유형 간 영향 관계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대학생의 독서율 향상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독서태도는 재미를 위한 독서량, 종이책 독서량, 개인 독서량, 전자책 독서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격유형에서 개방성은 독서량 및 독서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외향성은 독서량 및 독서태도에 전자책 독서량을 제외하고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도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의 독서태도와 독서율 간의 높은 상관성을 기반으로 대학생이 재미있고 편안하게 책을 읽을 수 있는 도서관 환경 제공 및 자료의 비치가 필요하다. 둘째, 외향성은 독서량 및 독서태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독서량을 늘리기 위해서는 활동중심으로 동적인 독서 활동을 진행하고 지역사회 활동과 연계한 교내 독서클럽 활동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attitude, reading amount, and personality type of college students, and to prepare a plan to improve the reading rate. As a result of the study, Reading attitudes have been shown to affect reading volume, paper book reading amount, personal reading amount, and e-book reading amount. In the personality type, openness has had a positive impact on reading and reading attitudes. On the other hand, the attention was negatively affecting the reading amount and the reading attitude, except for the amount of e-book reading. The implications derived from this are as follows. First, college students need a library environment and a library environment that can read books that can read books. Second, in order to increase the reading amount of extraversion, it is necessary to conduct dynamic reading activities in the center of the activity and conduct a local reading club activity linked to community activities.

김성훈(성균관대학교) ; 박시온(성균관대학교) ; 박지원(성균관대학교) ; 오유진(성균관대학교) pp.231-263 https://doi.org/10.16981/kliss.53.1.202203.231
초록보기
초록

인공지능에 대한 이해 및 업무분야에서의 활용 능력은 지식 정보화 시대를 살아가는 모든 사람에게 기본 역량으로 강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인공지능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은 대학 구성원들에게도 높게 인식되고 있다. 국내외 대학도서관 역시 효과적인 인공지능 콘텐츠 제공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전자 형태의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으나, 인공지능이라는 정보 기술에 특화된 이용자 맞춤형 추천은 제공되고 있지 않고 있으며 이러한 추천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관심 파악 역시 미비하다. 대학생의 인공지능 교육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대학도서관에서의 인공지능 관련 콘텐츠 추천에 대한 이용자의 이용의사를 파악하고 효과적인 서비스 수립을 위한 조사가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활용하여 인공지능 주제 분야에 특화된 디지털 교육 콘텐츠를 추천해주는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들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도출하였으며,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설문조사, 대학도서관 사서들과의 서면인터뷰를 통해 각 요인별 영향력을 조사하고, 성공적 수행을 위한 제언을 수렴하였다. 연구결과, 인공지능관련 교육콘텐츠 추천시스템 사용의도는 성별, 학년, 전공계열에 상관없이 사용의사가 있다고 조사되었고, 과제적합성요인이 사용의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이 파악되었다. 사서들 또한 서비스의 필요성을 깊이 공감하고 있었고 현실적인 제약사항으로 예산과 콘텐츠 품질 문제를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understanding and capability to utilize artificial intelligence (AI) incorporated technology has become a required basic skillset for the people living in today’s information age, and various members of the university have also increasingly become aware of the need for AI education. Amidst such shifting societal demands,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university libraries have recognized the users’ need for educational content centered on AI, but a user-centered service that aims to provide personalized recommendations of digital AI educational content is yet to become available. It is critical while the demand for AI education amongst university students is progressively growing that university libraries acquire a clear understanding of user intention towards an AI educational content recommender system and the potential factors contributing to its success. This study intended to ascertain the factors affecting acceptance of such system, using the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with added variables - innovativeness, self-efficacy, social influence, system quality and task-technology fit - in addition to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intention to use. Quant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via online research surveys for university students, and quant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written interviews of university librarians. Results show that all groups, regardless of gender, year, or major, have the intention to use the AI-related Educational Content Recommendation System, with the task suitability factor being the most dominant variant to affect use intention. University librarians have also expressed agreement about the necessity of the recommendation system, and presented budget and content quality issues as realistic restrictions of the aforementioned system.

이은주(동의대학교) ; 이미화(공주대학교) pp.265-282 https://doi.org/10.16981/kliss.53.1.202203.265
초록보기
초록

도서관 목록은 자원과 자원 사이에 존재하는 다양한 관계를 표현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도서관 목록을 통한 정보 획득의 확장성을 보장할 수 있다. 이러한 서지적 관계는 궁극적으로 전거레코드 구축을 통해 실현될 수 있는데, 이러한 이유로 전거레코드 구축을 위한 국가표준인 한국문헌자동화목록형식-전거통제용 에 대한 개정작업의 중요성이 강조될 수밖에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KORMARC-전거통제용 개정의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1) 최신 국제 목록동향을 분석하고, (2) 도서관 현장 실무자들의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3) 전거업무에 활용하는 기관 내부지침을 분석하고, (4) MARC21의 최신 버전을 비교분석하여 개정(안)을 도출하였다. 또한 지속적인 KORMARC-전거통제용 개정을 위해 MARC21의 개정 절차를 조사하여 국내 KORMARC 개정 방식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각종 문헌연구, MARC21의 분석, 전문가 자문, 실무진 면담 등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Abstract

In the library catalog, the scalability of information acquisition can be guaranteed by expressing various relationships existing between resources. Such a bibliographical relationship can be realized through the authority record. Therefore, the revision of KORMARC Format for Authority Data , the national standard for authority records, is inevitably important. Therefore, for the revision of KORMARC Format for Authority Data , (1) the latest international cataloging trends were analyzed, (2) the opinions of librarians were collected, (3) internal guidelines used for authority work were analyzed, and (4) latest version of MARC21 were analyzed. In addition, for the continuous revision of KORMARC Format for Authority Data , the revision procedure of MARC21 was investigated to draw implications for the KORMARC revision method. Data was collected and utilized through literature reviews, MARC21 analysis, interviews with professors and librarians.

최재황(경북대학교) ; 이종욱(경북대학교) pp.283-304 https://doi.org/10.16981/kliss.53.1.202203.28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국내와 북미, 영국 대학도서관 통계지표를 비교하여 국내 대학도서관 현황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의 학술정보통계시스템, 미국의 대학 및 연구도서관 협회 통계보고서, 영국의 대학 및 국립대학 도서관협회 통계보고서를 활용하여 비교 가능한 통계지표를 식별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먼저 국내와 북미 주요 대학 간의 비교에서는 대부분의 지표에서 북미 대학의 도서관 여건이 국내에 비해 우수하였는데, 특히 북미 대학이 국내 대학에 비해 재학생 수 기준 소장 장서 수, 도서관 직원 수, 자료구입비가 월등히 많았다. 다음으로 국내와 영국 대학을 비교한 결과, 국내 대학이 영국 대학에 비해 재학생 수 기준 소장 장서 수, 도서관 건물 연면적, 도서관 열람석 수 등에 우위를 보이는 반면, 영국 대학은 국내 대학에 비해 재학생 수 기준 도서관 직원 수, 자료구입비, 상호대차 신청 건수, 도서관 이용자 PC 수 등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국내 대학도서관의 인력, 예산 투입에 대한 국가와 대학 차원의 지원이 확대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한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crease understanding of current status and changes of academic libraries in South Korea in comparison with those of academic libraries in North America and United Kingdom (UK). The five-year statistics of academic libraries were collected from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KERIS), Association of Research Libraries (ARL), and Society of College, National and University Libraries (SCONUL), and the authors compared the statistical indicators that are comparable to each other. The circumstance and performance of academic libraries in North America were much better than those of South Korea. In addition, the area of library buildings in South Korea was larger than those in UK, and they also had more books and carrels than UK libraries; however, UK libraries had more library staffs, expenditure on material purchase, and interlibrary loan requests. These findings imply that there should be more support on academic libraries in South Korea to increase library staffs and budget, which will invigorate library services and use.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