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윤희윤(대구대학교) pp.1-21 https://doi.org/10.16981/kliss.48.2.201706.1
초록보기
초록

국내 지역대표도서관은 「도서관법」에 따른 개별 공공도서관인 동시에 광역시·도를 대표하는 도서관이다. 그러나 현 단계 대다수 지역대표도서관의 위상과 역할은 대규모 공공도서관에 불과할 정도로 취약하다. 이러한 현실에 주목하여 본 연구는 지역대표도서관의 주요 약점과 한계를 분석한 다음, 그 명칭을 광역대표도서관으로 개칭해야 한다는 전제 하에 「도서관법」의 개정·보완, 수행업무의 재구성과 충실화, 핵심역량과 직결되는 인력 및 운영조직 확대 등의 측면에서 위상정립 및 운영의 정상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ccording to the library act, the regional central library is not only a public library but also a library representing the metropolitan municipalities in Korea. But the status and role of current representative libraries are so weak that they are nothing more than large public libraries. Focusing on realistic vulnerability, this study analyzed the major weaknesses and limitations of regional central libraries and suggested ways to normalize legal positions and operations in terms of revising and supplementing the library act, restructuring and strengthening the tasks to be performed, and expanding the manpower and operating organization directly connected with core competencies.

변우열(공주대학교) pp.23-51 https://doi.org/10.16981/kliss.48.2.201706.23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우리나라와 일본의 학교도서관법 제정의 배경과 경과를 살펴보고 학교도서관법의 구성요소를 비교하고 분석한 것이다. 한국과 일본의 학교도서관법은 정부입법이 아닌 의원입법으로 제정되었다. 그리고 정부기관이 아닌 NGO 활동이 학교도서관법 제정에 크게 기여하였다. 학교도서관법 구성요소 중 공통되는 요소는 목적, 정의, 국가의 책무, 설치, 업무, 인적자원, 협력망, 교육 등이다. 학교도서관 업무는 한국의 경우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기능에 중점을 두고 있고, 일본은 도서관자료의 수집, 정리와 여러 가지 행사 개최 등 학교도서관의 기본적인 업무에 중점을 두고 있다. 학교도서관의 인적자원은 한국의 경우 사서교사, 실기교사, 사서 중에서 아무나 둘 수 있도록 하고 의무규정이 아니라 임의규정으로 되어 있는데 비하여 일본은 사서교사와 학교사서로 구분하고 있다. 학교도서관의 시설과 자료에 대한 규정은 한국은 자세하게 규정되어 있으나 일본은 시설과 자료에 대한 규정이 없다. 학교도서관의 교육은 한국의 경우 독서교육과 정보이용교육을 실시하고 학교의 교육과정 운영계획에 포함시키도록 하고 있으나 일본은 도서관 이용지도 만을 실시하도록 규정하고 있고 독서교육에 대한 내용은 제외되어 있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d compare the components of school library laws of Korea and Japan. The laws of two nations were legislated by the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and NGO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legislative process. The common parts of the two laws are objectives, definitions, responsibilities of nations, establishments, tasks, human resources, collaborative networks, and education, etc. For the task of school libraries, Korean law emphasizes the function of education, while the Japan law focuses on the basic duties of school libraries. In terms of human resources, school libraries in Korea can have a teacher librarian, a practice teacher, or a librarian, but in Japan, they can have either a teacher librarian or a school librarian. The Korea law specifies the aspects of facilities and materials, but the Japan law does not. Finally, for the educational role, the Korean libraries have reading and information literacy training that are parts of school curriculum, while the Japan libraries have only a library use guidance program and does not include reading education.

이수상(부산대학교) pp.53-72 https://doi.org/10.16981/kliss.48.2.201706.53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토픽모델링을 사용하여 2016년 경주지진에 대한 사회적 이슈의 유형과 특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경주지진 사건과 관련된 토픽의 유형, 사건 발생 이후 시간의 흐름에 따른 토픽의 변화양상, 그리고 신문매체의 유형별 토픽의 차이를 살펴보는 것이다. 토픽모델링 분석결과 55개의 토픽이 추출되었다. 이들 토픽에서 파악한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간의 흐름에 따라 주요 토픽이 변화하는 양상을 보였다. 지진이 발생한 9월에 다양한 토픽들이 나타났다. 특히 지진발생 후 2주간에는 긴급한 이슈들이 다루어졌다. 10월 이후부터는 해당 시기의 사회적 현안과 관련된 이슈들이 부각되었다. 원전관련 안전문제는 시기와 상관없이 꾸준히 제시되었다. 둘째, 전국과 지방으로 구분된 신문매체에서는 주요하게 다루는 토픽에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보수와 진보적 성향의 신문매체에서도 주요한 토픽들이 다르게 나타났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ypes and features social issues about the Gyeongju earthquakes 2016, South Korea. The specific purpose is to identify types of topics related to Gyeongju Earthquakes, changes of topics over time, and the differences of topics depending on the each type of newspaper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opic modeling, 55 topics were extract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following these. First, the main topics have been changed with the course of time. In September, various topics were emerged, specifically urgent issues was found during two weeks after the first earthquake. After October, topics about social problems derived from the earthquakes received much attention at that time. Topics related to safety problems about nuclear plant have steadily found in all period. Second, topics varied depending whether the newspaper is national or regional. Also, differences of topics were found when dividing the newspapers by their characteristics considered conservative or liberal.

이병기(공주대학교) pp.73-97 https://doi.org/10.16981/kliss.48.2.201706.73
초록보기
초록

학교도서관은 공간임과 동시에 장소이다. 가정과 집의 개념이 다르듯이 공간은 물리적 형태를 말하고, 장소는 각 개개인의 경험에 의한 주관적 개념이다. 초·중·고 학생은 사회적, 인지적 발달단계가 다르기 때문에 학교도서관에 대한 느낌 즉, 장소성이 다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초·중·고 학생 간에 장소성 형성요인에 대한 차이를 규명하고, 이 장소성이 장소애착과 장소가치인식을 매개로 하여 학교도서관을 이용하고자 하는 행동의도로 이어지는지 그 과정을 검증하였다. 590명의 초·중·고 학생들로부터 수집한 설문 데이터는 SPSS 19와 AMOS 19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물리적 요소, 활동·행태적 요소,, 심리적 요소 모두 초·중·고 학생의 학교도서관에 대한 장소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초등학생은 중학생과 고등학생에 비해 물리적 요소, 활동·행태적 요소에 의한 영향을 크게 받고 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장소성은 장소애착, 장소가치인식을 매개로 하여 학교도서관을 이용하려는 행동의도로 연결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School Library is both a space and a place. The difference between space and place is the same as in the difference between house and home. Space may be described in terms of physical shape. Place is concept that formulated by personal experience. The social and cognitive developmental stage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re different, so the placeness or sense of place may be differ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difference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formative factors of placeness and examine the process that those factors are connected to the results of the user behavioral intentions through the medium of place attachment, place value perception. The data are collected from 590 students and analyzed by SPSS 19 and AMOS 19.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physical, active·behavioral and psychological factors affect on placeness formation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school libraries.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significantly affected more by physical factors, active·behavioral factors th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is study confirmed the process that those factors are connected to the results of the user behavior through the medium of place attachment, place value perception.

강희경(부산대학교) ; 이용재(부산대학교) pp.99-119 https://doi.org/10.16981/kliss.48.2.201706.99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부산시 금정구 금샘도서관(가칭) 건립 타당성 조사 연구의 일부로서, 도서관 건립의 경제적 타당성 분석에 대한 결과를 검토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도서관 건립에 대한 정책적 타당성 분석, 수요조사, 경제적 타당성 분석의 결과를 살펴보았다. 경제성 분석 도구로 비용편익비율, 순현재가치, 내부수익률을 활용하여 경제적 타당성을 분석하였으며, 조건부가치측정법을 활용하여 편익을 추정하였다. 연구의 결과, 금샘도서관 건립의 비용편익비율은 1.28로 나타났으며, 도서관 건립은 경제적 타당성을 확보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s a part of feasibility study of constructing Geumsaem libra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ult of economic feasibility analysis on constructing the librar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we evaluated policy relevance, investigated people's demand for constructing the library, and examined the result of economic feasibility analysis. As the tools of economical efficiency analysis, we used the techniques like cost-benefit ratio, net present value and internal rate of return to analyse the economic feasibility, and we estimated the amount of benefit by contingent valuation method. As the result of this study, cost-benefit ratio for constructing Geumsaem library was turned out as 1.28, and we could get an assessment of positive economic feasibility about constructing the library.

노영희(건국대학교) ; 한문성(서경대학교) ; 이근화(서경대학교) ; 최만호(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121-158 https://doi.org/10.16981/kliss.48.2.201706.121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the developmental direction for small libraries based on a set of various situational analysis of small libraries in Seoul. By analyzing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autonomous regions of different operating methods, we also pursued qualitative enhancement of small libraries by autonomous district by proposing optimized operation methods. As a consequence of the study, it was analyzed that the public and private libraries need to be distinguishe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oper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ng entity rather than uniform budget support and guidance management. That is, the small libraries scattered throughout Seoul were founded by the principal of their establishment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knowledge information and reading culture service within the public activity area. Therefore, if Seoul intervenes and manages under the current situation, where the libraries are operating independently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establishment, regardless of whether they meet the user requirements or not in terms of quality or quantity, various problems may be caused. In this background, it seems appropriate to restrict the library management in line with relevant regulations.

이승길(서울경신고등학교 사서교사) ; 강봉숙(대구 서부고등학교 사서교사) pp.159-186 https://doi.org/10.16981/kliss.48.2.201706.15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교원 성과급제에 대한 사서교사의 인식과 직무만족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전 국의 초중고 사서교사를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참여 인원은 총 371명이다.연 구 결과 사서교사의 등급은 S등급 4.1%, A등급 27.5%, B등급62.5%, 성과급 제외 5.9%의 비율로 나타났다.사 서교 사의 성과급 등급이 높을수록 성과급제에 대한 만족도, 참여도, 평가 기준의 적절성, 평가 절차 및 결과의 공정성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또 한 사서교사의 성과급 등급이 높을수록직무만족 요소인 업무 관계, 인사 및 승진이 높게 나타났다결. 론 적으로 교원 성과급제에 대한 사서교사의 인식이 높을수록직무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이. 를 바탕으로 교원 성과급제에서 사서교사 평가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s to analyze teacher librarians’ awareness about the performance-based pay system, their job satisfac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in an attempt to help make the pay system serve as catalyst in creating a positive competitive climate in the teacher community and boosting the qualifications of teacher librarian. As a result, the teacher librarians’ grades were 4.1% in S, 27.5% in A, 62.5% in B, and 5.9% in the exception of incentive. The teacher l ibrarians’ awareness of the performance-based pay system level was only 2.15 point out of 7, and their job satisfaction level was 4.60 out of 7. The teacher librarians’ were more satisfied with performance-based pay, participation, fairness of evaluation criteria, fairness of evaluation process and results. In conclusion, higher awareness of the teacher librarians’ performance incentives showed higher job satisfaction. And we might be able to suggest the improvement plan for teacher librarian evaluation in teacher performance system.

한희정(전북대학교) ; 박태연(전북대학교 문화융복합아카이빙연구소) ; 오효정(전북대학교) ; 김용(전북대학교) pp.187-213 https://doi.org/10.16981/kliss.48.2.201706.187
초록보기
초록

재난에 대한 선제적 대응과 예방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재난안전 기록정보자원을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보존하여 관리 및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재난안전 유관기관들이 실제 생산한 기록정보자원 중 온라인 상에 공개된 텍스트 기반의 문서기록자료의 유형과 현황을 분석한 후, 이들 문서기록에 기술되어 있는 재난정보와 그 유형이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또한 재난안전정보 아카이브 구축 관련한 현장인터뷰를 통해 실제 사용자들의 요구사항을 수렴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 재난안전관련 기록정보자원의 관리체계 개선방안을 도출하여 재난안전정보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Abstract

In order for preemptive response and prevention against disasters,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collect, preserve, manage, and utilize the information resources of records related with disaster safety.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types and status of text-based document archives among the records information resources which were published and produced by the disaster safety-related institutions via online. Detail types analysis of disasters in document archives also was conducted. Based on filed interviews, the actual users ' requirements for the disaster safety information archives are converged.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basis for building of disaster safety information archives by deriving improved management strategies of disaster safety records resources.

조현양(경기대학교) pp.215-236 https://doi.org/10.16981/kliss.48.2.201706.215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개인별 성향이나 성격 유형에 따라 선호하는 도서에 차이가 있음을 전제로, 어린이·청소년을 위한 추천도서의 책소개 정보를 활용하여 개인별 성격유형에 적합한 도서를 합리적으로 추천할 수 있는 서평 자동분류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에서 사용한 데이터는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에서 제공하는 501권의 유아 및 아동도서를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에 활용된 2가지 기계학습 모델(비선형 커널 및 선형 커널) 각각에 대해서 총 6가지의 색인어 가중치 계산 방법과 자질 선택 방법, 그리고 10가지의 자질 선정 임계치 조합으로 구성된 360 개의 분류 모델들을 구성하고 각각의 성능을 측정하였다. 전체적으로는 선형 커널을 이용한 SVM 기반 학습 방법(LIBLINEAR)이 비선형 분류를 지원하는 LibSVM(RBF 커널) 모델보다 더 나은 성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성능 측정 결과는 뉴스 기사나 논문을 대상으로 한 문헌 분류 성능에 비해서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합리적인 분류 기준이 존재하는 뉴스기사나 주제 분류에 비해서 성격 유형 기반 분류는 그 난이도가 높다는 것을 감안할 때, 초기 실험 결과로서의 의미는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utomatic classification system for recommending appropriate books of 9 enneagram personality types, using book information data reviewed by librarians. Data used for this study are book review of 501 recommended titles for children and young adults from National Library for Children and Young Adults. This study is implemented on the assumption that most people prefer different types of books, depending on their preference or personality type. Performance test for two different types of machine learning models, nonlinear kernel and linear kernel, composed of 360 clustering models with 6 different types of index term weighting and feature selections, and 10 feature selection critical mass were experimented. It is appeared that LIBLINEAR has better performance than that of LibSVM(RBF kernel). Although the performance of the developed system in this study is relatively below expectations, and the high level of difficulty in personality type base classification take into consideration, it is meaningful as a result of early stage of the experiment.

손계영(대구가톨릭대학교) pp.237-262 https://doi.org/10.16981/kliss.48.2.201706.237
초록보기
초록

조선시대 지방관아는 지역을 다스리기 위한 행정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 공간과 조직・사람이 필수적으로 존재하였고, 행정 업무의 결과를 통해 지방관아의 기록물이 생산되고 관리・보관되었다. 지방관아의 건물과 공간은 첫째, 수령의 통치와 생활공간, 둘째, 관속들의 행정업무 공간, 셋째, 창고 공간으로 구분할 수 있고, 관속의 규모 측면에서도 대규모 기관이었기 때문에 조직구조도 복잡한 형태를 띠고 있었다. 관아의 조직은 크게 육방임과 기타 색임으로 구분하여 호장(戶長)・이방(吏房)・호방(戶房)・형방(刑房)・병방(兵房)・예방(禮房)・공방(工房)의 육방임 업무와 생산 기록물을 살펴보았고, 기타 색임의 업무를 살펴보았다. 또한 19세기 영남지역 중기(重記)에 기재되어 있는 물목명 가운데 기록물류를 추출하여 지방관아에서 조직별로 관리하였던 기록물류를 크게 절목(節目), 안(案), 대장(大帳), 완문(完文), 등록(謄錄) 등의 유형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Abstract

During the Joseon period, space, organization, and personnel were essential in order to perform the administrative work for local governance. For that reason local government records were created, managed, and stored as the results of its administration. Buildings and spaces of local government office can be divided in 3 sections such as 1) administrator’s space for governance and living; 2) petty officials’ administrative space; 3) granary space for store rations and grains paid as tax. Because of its grand scale, a local government office had considerably complex organizational structure. In order to survey the types and forms of local government records, focusing on six transition documents (junggi, 重記) in the 19th Century Yeongnam Region, this study selected the record type documents in the item lists of the transition documents, then, classified the record type documents which were managed by the organizations in local government offices with several types: program of items (jeolmok, 節目), list of personnel or land (an, 案), register (daejang, 大帳), certified copy (deungnok, 謄錄) and muniment (wanmun, 完文), and examined these documents.

양지안(고려대학교) pp.263-293 https://doi.org/10.16981/kliss.48.2.201706.263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대학도서관 대출데이터를 활용하여 이용자들의 대출행태를 장서의 대출수명과 주제영역, 특정 이용자층과의 연관성 등의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K대학도서관의 2006년부터 2015년까지 10년간 이용자들의 연도별 대출행태는 매해 20%의 대출도서가 전체 대출의 50%를 차지한다는 ‘대출도서 20/50 법칙’을 따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각 대출도서의 도서연령과 대출횟수의 연령별 누적분포를 구하여 도서 반감기를 정의하고 이를 수식화하였다. 종단적 관점에서의 핵심장서를 산출하여 그 특성을 주제별, 구성원별, 계열별, 연도별 등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종단적 관점의 전체 대출도서와 핵심장서의 대출패턴은 모든 측면에서 매우 상이하게 분석되어 10년 동안 꾸준히 핵심장서로 분류되는 도서들의 역할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0년간 꾸준히 대출되는 도서, 즉 핵심장서의 특성이 명확하다는 의미이며, 이러한 특성을 반영한 효율적인 장서구성정책을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는 근거가 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user behaviors of books in detail based on circulation data in an academic library. It analyzes circulation patterns of books for ten years from 2006 to 2015, which are surprisingly similar every year. Each pattern follows ‘Loan books 20/50 rule’ that 20% core collection occupies 50% of its circulation every year. This clarifies users’ circulation patterns are highly consistent and very expectable. Also, using the cumulative distribution of book age, it defines the half-life of books and suggests the mathematical formula to measure it. Circulation patterns of the whole loan book and core collection for ten years are very different in terms of subjects, user groups, and divisions. This indicates that core collection plays a significant role in analyzing circulation statistics and usage patterns for the efficient collection development in the future.

이혜경() ; Yang, Kiduk(경북대학교) pp.295-322 https://doi.org/10.16981/kliss.48.2.201706.29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보다 효율적이고 균일하게 교원의 연구업적을 평가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현재 국내 대학의 교원업적평가기준과 한국연구재단의 연구업적평가기준, 그리고 여러 계량서지학 지표를 비교하여 국내의 교원연구업적평가 방식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하여 국내 대학 27곳의 교원업적평가기준과 한국연구재단 연구업적평가기준을 수집하였으며, 183명의 국내 문헌정보학과 교수의 2001년부터 2015년 사이 발표된 학술논문 3,863편과 16,978건의 인용을 수집하였다. 이를 토대로 우선 현재 시행중인 국내 대학의 연구업적평가지표들을 비교 한 후, 대학지표들과 저자기여도 산정식을 가중한 계량서지학적 지표들을 수집한 데이터에 적용하여 산출한 저자와 대학별 순위들을 분석하였다. 국내 대학의 연구업적평가지표는 연구업적의 생산성과 영향성을 고루 평가하고자 하였으나, h-index처럼 이와 유사한 계량서지학 지표와 다른 평가 결과를 나타냄으로써, 평가지표가 평가결과에 각기 다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Abstract

As a first step in developing a more effective and robust approach to faculty research performance assessment, this study analyzed the existing faculty research assessment methods by comparing Korean universities’ research evaluation standards,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s (KRF) standard for assessing research proposals, and various bibliometric measures. The study data included research evaluation standards of KRF along with 27 Korean universities with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S) department, and the publication data of 183 LIS faculties in Korean universities from 2001 to 2015, which consisted of 3,863 papers 16,978 citations. After the comparative analysis of research evaluation standards, the study examined the rankings of institutions and faculty produced by applying the collected standards and bibliometric metrics to the publication data. The study showed that Korean university standards for research evaluation, which aim to consider both productivity and impact of faculty research, differ from similar bibliometric measures such as h-index, and the difference could significantly impact the assessment of faculty research performance

임정훈(대전 반석고등학교 사서교사) ; 이종욱(공주대학교) pp.323-344 https://doi.org/10.16981/kliss.48.2.201706.323
초록보기
초록

독서동기 유발요인과 도서선택 요인은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요인들을 포괄적으로 식별한 연구는 거의 없는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들의 독서동기 및 도서선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통합적으로 식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인문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고등학생 15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독서동기 및 도서선택에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고등학생들의 독서행태에 영향을 주는 요인의 유형은 정보원의 특성, 개인적 요인, 가정환경 요인, 학교 및 학습환경 요인, 사회환경 요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러한 요인들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독서동기나 도서선택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더 나아가 독서동기는 도서선택의 선행조건임을 알 수 있었고, 독서동기의 유발이 도서선택을 보장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식별된 각 요인들은 고등학생들의 독서행태를 보다 깊이 이해하여 독서지도에 활용하고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Abstract

Despite the close relatedness of the factors for reading motivation and book selection, few researchers have examined these factors together in a single study. To deal with this dearth of research,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factors of motivation for reading and book selection of high school students comprehensively. The authors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fifteen high school students and analyzed their responses in order to identify the meaningful facto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 the five major factors: (1)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sources, (2) school and learning environment, (3) individual factors, (4) home environment, and (5) social environment. In particular, the five types of factors seem to have a combined effects on reading motivation and book selection. The findings also suggest that one’s reading motivation is a prerequisite for his/her book selection; however, the reading motivation does not always lead to book sele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deepen our understanding of reading behavior of high school students, which can be used in reading instruction and designing new programs.

남연화(전북대학교) ; 강주연(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 오효정(전북대학교) pp.345-372 https://doi.org/10.16981/kliss.48.2.201706.345
초록보기
초록

웹의 발전과 함께 연구기록의 보존 가치와 잠재적 활용 가치가 부각되기 시작하면서 웹을 활용한 연구기록의 정보서비스가 다양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현재 제공되고 있는 연구기록의 웹 기반 정보서비스에 대한 평가를 통해 현재 상황을 점검해보고 향후 발전 방향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구기록의 특성을 반영한 웹 기반 정보서비스 평가 지표를 개발하고 이를 적용해 봄으로써 그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DigiQUAL과 NDSLQual을 분석하여 기록정보서비스 유형별 평가 요소를 도출하고 연구기록을 활용한 정보서비스의 특징이 반영된 평가 지표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평가 지표의 효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NTIS를 사례로 들어 적용, 그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NTIS에서 제공하는 연구기록의 정보서비스에 대한 문제점을 찾고 이를 위한 개선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Abstract

With development of web, web-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using research records are diversified because values of the records increase in terms of preservation, use and share. Thu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and discuss current situation and improvement in future of web-archival information service. This study develops evaluation measures for web-archival information service based on DigiQUAL and NDSLQual, reflecting characteristics of research records.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measures, questionnaires were built based on the indicators and distributed to real users of NTIS, which is a case of web-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using research records. Finally, this study analyzes problems of web-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using research records and recommend improvement methods.

박성우(광주대학교) ; 정대근(전남대학교) pp.373-403 https://doi.org/10.16981/kliss.48.2.201706.37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5·18민주화운동 기록물의 보존과 활용의 측면에서 5·18민주화운동 기록물 분류원칙을 정립하고 이를 기반으로 5·18민주화운동 기록물 통합분류체계 개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기록물 분류에 관한 선행연구 및 기관 사례분석을 실시하였고, 광주지역 5·18민주화운동 대표 기관 3곳에 소장 중인 자료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해 5·18민주화운동 기록물에 적합한 출처 기반 통합분류체계를 개발하였다. 이 분류체계는 ‘출처-자료-시기-매체-주제’ 형태의 패싯기반으로 제안하였고, 또한 아키비스트의 역할의 확장과 시대성을 반영한 컬렉션 기반 통합분류체계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classification principle of archives for the May 18th democratic uprising in terms of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it and to develop an integrated classification system for it. For this purpose, it was carried out by the previous research on the classification of records and institutional case analysis. Also, we developed an integrated provenance-based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the practical analysis on the data held in 3 representative institutions in Gwangju. This classification system was proposed by facets of 'provenance-material-period- media- subject' type. We also proposed the collection-based integrated classification system that reflects on the expansion of archivists’ role and the trend of times.

허정희(경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수원 곡정초등학교) ; 조미아(경기대학교) pp.405-428 https://doi.org/10.16981/kliss.48.2.201706.4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용인과 시흥의 쉼터에 있는 여자 가출청소년을 대상으로 아들러의 개인심리학을 적용한 독서심리코칭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6년 8월 9일부터 2016년 10월 30일까지 1회 120분씩 12회 독서심리코칭 프로그램을 진행하였으며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생활양식척도, 열등감증후척도의 사전ㆍ사후 검사 및 차시별 결과보고서, 글쓰기 자료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아들러의 개인심리학을 적용한 독서심리코칭 프로그램은 쉼터 여자청소년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paper attempts to develop reading psychology coaching program that applies Adler’s individual psychology for female teenage runaways who live in adolescent shelters located in Yongin and Siheung in Korea and examine its effect. For this purpose, the study implemented 120-minute reading psychology coaching program for a total of 12 sessions during the period August 9th in 2016 to October 30th in 2016. For verification of the effects, this study conducted a comparison analysis on the pre and post-hoc test of life style scales and inferiority complex symptom scales, output reports in each session, and writing materials. In the study results, the reading psychology coaching program that applies Adler’s individual psychology showed positive effects on female adolescents in shelters.

Kim, Eungi(계명대학교) pp.429-447 https://doi.org/10.16981/kliss.48.2.201706.429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extent of collaboration by comparing team size patterns of Korean LIS journals with international LIS journals. For the sample dataset, the top 30 ranked international journals in the field of LIS were selected using the Scimago Journal Rank (SJR), and 4 Korean LIS journals were selected for the years between 2010-2016. The size of the team who authored Korean journal articles were collected from the RISS database, while the size of team who authored international journal articles from the top LIS journals were collected using the Scopus database.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most common team size ranged from one member team to three member teams. Overall, the collaborative team size in international journals was higher than Korean journals. In particular, one member team was the most common team size in Korean journals, whereas two members team was most common in the international journals. At the subject level, the most common team size was one team member in the subject area of Library Related, while the most common team size was three team members in the subject area of Science/Engineering.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within LIS, the size of teams may vary considerably due to differences in subject areas.

소병문(우신고등학교 사서교사) ; 송기호(공주대학교) pp.449-467 https://doi.org/10.16981/kliss.48.2.201706.44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소논문쓰기 교육내용을 밝히고 정보 활용 교육 프로그램으로써 활용 방안을 찾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소논문쓰기 교재 7종을 절차적 설명 텍스트로 분석하여 소논문쓰기의 교육내용을 추출하였다. 그 결과 7종 소논문쓰기 교재 본문은 공통으로 <연구주제 정하기, 연구방법 정하기, 연구목차 정하기, 정보 찾기, 본문 쓰기, 참고문헌 기술하기, 발표하기>를 교육내용으로 담고 있었다. 여기에 정보 활용 교육 프로그램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정보 활용 전략을 추가·보완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연구계획 세우기>와 <정보 처리하기>, <논증적 글쓰기>로 재구조화한 후, 정보 활용 교육을 위한 소논문쓰기 교육내용으로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research paper writing program. In addition, this searches for the appropriate application method as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al course. For clarifying and supporting the purpose, this study analyzes the expository texts with the seven kinds of published references book on research paper writing program. As the results of examination, the study reveals that they are made up with seven important contents. Evidently, this analysis makes up for the information literacy strategy to intensify the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al course. Convincingly, we propose the educational contents which contain ideas of ‘making research plan,’ ‘managing information,’ and ‘writing essay’ in order to optimize for the current school library environment.

김종애(경기대학교) pp.469-488 https://doi.org/10.16981/kliss.48.2.201706.46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미국의 공공도서관 과제지원서비스가 지역사회 청소년을 지원하는 도서관 프로그램으로서 갖는 의의를 고찰하고, 공공도서관 과제지원서비스의 운영 현황과 특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를 통해 미국 공공도서관 과제지원서비스의 사례와 동향을 살펴보고, 과제지원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이메일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과제지원서비스의 운영 현황 및 전반적인 특성을 조사·분석하였다. 본 조사에 참여한 도서관을 대상으로 이용자, 장서, 공간, 홍보 및 인적 자원의 측면에서 과제지원서비스의 현황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공공도서관 과제지원서비스의 운영 현황 및 특성에 대한 분석 결과는 과제지원센터의 계획 및 도입에 있어 서비스 방향 도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significance of homework help service as a library program to support young people in the community and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homework help services in U.S. public libraries. It reviews the previous literature on the cases and trend of homework help services in U.S. public libraries. It also investigates the practice and characteristics of homework help services using an email survey targeting public libraries that offer the services. The results are analyzed in terms of the user, collection, space, public relations and human resources of homework help services.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eliciting the service plan on homework help service in its planning and implementation stage in public libraries.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