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이수상(부산대학교) pp.1-18 https://doi.org/10.16981/kliss.47.4.201612.1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독후감 텍스트의 주제분석에 토픽모델링의 활용방안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텍스트의 주제분석 방안으로서 토픽모델링 분석방법을 이해하고, R에서 제공하는 “topicmodels” 패키지의 LDA 함수를 사용하여 23건의 사례 독후감 텍스트들을 대상으로 실제의 분석작업을 수행하였다. 토픽모델링 분석결과 16개의 토픽들을 추출하였고, 토픽과 구성 단어들의 관계에서 토픽 네트워크, 사례 독후감과 토픽들의 관계에서 독후감 네트워크를 구성하였다. 이후 토픽 네트워크와 독후감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중심성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6개의 토픽들이 1개의 컴포넌트를 가지는 네트워크로 나타났다. 이것은 16개 토픽들이 상호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독후감 네트워크에서는 연결정도 중심성이 높은 독후감들과 낮은 독후감들로 구분이 되었다. 전자의 독후감들은 다른 독후감들과 주제적으로 유사성을 가지며, 후자의 독후감들은 다른 독후감들과 주제적으로 상이성을 가지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토픽모델링의 결과를 네트워크 분석과 결합함으로써 독후감의 주제파악에 유용한 결과들을 얻게 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pplication of topic modeling for topic analysis of book report. Topic modeling can be understood as one method of topic analysis. This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exts in 23 book reports using LDA function of the “topicmodels” package provided by R. According to the result of topic modeling, 16 topics were extracted. The topic network was constructed by the relation between the topics and keywords, and the book report network was constructed by the relation between book report cases and topics. Next, Centrality analysis was conducted targeting the topic network and book report network. The result of this study is following these. First, 16 topics are shown as network which has one component. In other words, 16 topics are interrelated. Second, book report was divided into 2 groups, book reports with high centrality and book reports with low centrality. The former group has similarities with others, the latter group has differences with others in aspect of the topics of book reports. The result of topic modeling is useful to identify book reports’ topics combining with network analysis.

윤희윤(대구대학교) ; 성정희(국립세종도서관) ; 오선경(대구대학교) pp.19-42 https://doi.org/10.16981/kliss.47.4.201612.19
초록보기
초록

2013년 12월에 개관한 국립세종도서관의 기본적 정체성은 정책정보 중심의 특화도서관이다. 그럼에도 여전히 정체성이 자리매김하지 못하는 현실에 주목하여 이해집단(정부부처 공무원과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원, 세종시민, 국립세종도서관 직원)을 대상으로 기본적 정체성과 역할, 각종 서비스의 이용률 및 만족도, 정책정보 및 정책정보서비스의 필요성과 이용, 전략적 및 중점적 추진과제에 대한 인식을 조사·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이해집단의 국립세종도서관 서비스 만족도 및 정책정보서비스 의존도 제고를 위한 인력확충과 조직확대, 국내외 정책정보 수집전략, 국가정책정보서비스 강화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basic identity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Sejong), opened in December 2013, is the specialized library focused on policy information service. Nevertheless, the library is not unfaithful to its identity. So researchers surveyed and analyzed the perception of the basic identity and role,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degress of various services, need and use for policy information and policy information service, and strategic and focused initiatives from stakeholders such as public officials, government-supported researchers, citizens living in Sejong city, and employees who work in the NLK(S). As a result, researchers suggested various strategies to expand the organizational size, to strengthen acquisition of domestic and foreign policy information, and to enhance national policy information service for related groups' satisfaction and dependence of policy information service for the NLK(S).

김선호(대구대학교) pp.43-68 https://doi.org/10.16981/kliss.47.4.201612.43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Uncovering ideological trends and varieties embedded in contemporary progressive librarianship, the depth and breath of the librarians’ thoughts should be more expandable than before. That is the purpose of the study. To accomplish the purpose, this study analyzed key ideologies of American progressive librarian Zoia M. Horn(1918-2014) as reviewing carefully her biography with the inductive approach for qualitative data analysis. As a result, author suggests that the core values of Z.M. Horn’s library freedom ideologies have identified as equality, intellectual freedom, and pacifism. In addition, the ingredients of these core ideologies also were identified.

김왕종(부산대학교) ; 이제환(부산대학교) pp.69-91 https://doi.org/10.16981/kliss.47.4.201612.69
초록보기
초록

The purposes of this article are to raise the quality issues of Collaborative Digital Reference Services(CDRS) in Korean libraries and to suggest the feasible solutions to resolve the quality problems of CDRS. To the end, a thorough examination on the development process and present condition of main Korean CDRS such as 'Question포인트‘ and '사서에게 물어보세요'.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causes of 'low quality' in Korean CDRS with emphasizing both technical problems and managerial limitations. Finally suggested are the solutions to improve the low quality of CDRS with special concerns on Korean library situation. Discussions on this article are based on literature review, statistical analysis, and usability tests on the targeted Korean CDRS, '사서에게 물어보세요'(Ask a Librarian in Korean version).

Abstract

노영희(건국대학교) ; 김혜인(건국대학교 지식콘텐츠연구소) pp.93-122 https://doi.org/10.16981/kliss.47.4.201612.9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자유학기제에 대한 사서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자유학기제 연계를 위한 도서관 프로그램 개발 의지, 현재 자유학기제를 위한 프로그램 제공 여부 등에 대해 조사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자유학기제에 대하여 54.20%가 알고 있으며, 자유학기제 관련 연수 참여 경험은 80.15%로 나타났다. 자유학기제 도입 시 기대효과로는 자유학기제를 통해 다양한 체험활동을 할 수 있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고려사항에 대해 전담인력의 구성과 함께 전담인력의 책임감과 전문성을 강화해야 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자유학기제 연계를 위한 도서관 프로그램 및 제공에 대해 58.02%가 자유학기제 도입이 도서관의 역할 확대를 위한 기회라고 생각하였으며, 예산부족이 활성화 장애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63.36%가 도서관에서 프로그램을 제공해 본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도서관에서 제공해 보고 싶은 자유학기제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사람도서관(Human Library)과 읽GO! 생각하GO! 꿈꾸GO!(중학생을 대상으로 진로 및 다양한 직원군에 대해 독서 활동과 체험 활동을 통해 알아보는 프로그램)가 평균 3.939로 가장 제공해 보고 싶은 프로그램인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librarians perceptions of Free Learning Semester, and their commitment to program development for coordination with Free Learning Semester, and whether they currently offer programs for Free Learning Semester.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n perceptions of Free Learning semester showed that 54.20% of the librarian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were aware of Free Learning Semester, and 80.15% had participated in training related to Free Learning Semester. Regarding the anticipated outcomes of implementation of Free Learning Semester, “Participation in various experiential activities offered through Free Learning Semester” was the most common response, and regarding special considerations in Free Learning Semester, “Need for instituting the dedicated workforce and enhancing their sense of responsibility and expertise” was the most common response. Second, regarding the library program development and provision for coordination with Free Learning Semester, 58.02% thought that the implementation of Free Learning Semester was an opportunity to expand the role of libraries, while insufficient budget was listed as a barrier. In addition, 63.36% stated that they had no experience in providing a program in a library. Finally, the results on the perception on the Free Learning Semester program they want to provide in a library showed that “Human Library” and “Read! Think! Dream!” were the programs they want to provide most, with the mean score of 3.939.

노지현(부산대학교) pp.123-147 https://doi.org/10.16981/kliss.47.4.201612.123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에서는 거대한 서지구조에서 개체를 식별하고 개체 간의 관계를 연결하는데 있어 핵심적 요소인 전거형 접근점에 대해 우리 도서관계가 어떠한 관점으로 접근해야 하며, 더불어 전거형 접근점은 어떠한 형식이 보다 바람직한지에 대해 폭넓게 논의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 KCR 2판 이후로 관련 논의조차 전무하였던 접근점의 개념이 오늘날의 정보환경에서 재조명되고 있는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 (2) 국제목록원칙과 최근의 새로운 목록규칙에 반영된 전거형 접근점의 개념과 관련 규정을 분석한 후, (3) 우리의 목록레코드에 반영되어 있는 접근점의 실체를 추적해 가면서, (4) KCR 4판의 개정 작업에서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는 다국어 저작의 전거형 접근점의 형식, 그 중에서도 문자 형식에 대해 ① 원어 형식, ② 한글 형식, ③ 번자 형식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적용가능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Abstract

With the rapid progress toward a new cataloging model, the revision of Korean Cataloging Rules (KCR) are under discus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suggestion on constructing authorized access points for multilingual works, especially focused on the language and script of authorized access points. To the end, this study investigates (1) the extended functions and meanings of access points on the new model, (2) related guidelines and regulations reflected in International Cataloging Principles and typical cataloging rules, and (3) the characteristics of access points in the current Korean cataloging practices. Finally, (4) desirable languages and scripts of authorized access points representing multilingual works are suggested.

이종문(경성대학교) ; 주용국(경성대학교) pp.149-165 https://doi.org/10.16981/kliss.47.4.201612.14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A대학교 문과대학 학생들을 중심으로 독서역량과 전공독서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A대학교 문과대학에 재학 중인 1~4학년 남녀 학생 457명을 분석한 결과, 첫째 학과별 독서역량에 집단 간 어휘력과 독해력, 속독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전공독서 실태에서는 전체 학과에서 독서를 하지 않는 학생이 66.9%에 달하고, 그 이유가 교재만으로 수업과 과제수행이 가능하기 때문이라는 응답(67.7%)이 많았다. 셋째 전체 전공독서량을 조사한 결과 82.1%가 15권미만이고, 11.3%가 1권 미만으로 나타났다. 일주일간의 전공독서시간이 5시간미만 68.9%, 10시간미만 13.9%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 같은 문제(독서역량 학과 간 편차, 전공독서 여부 및 독서량, 시간 등)를 토대로, 전공독서의 양과 질을 넓혀갈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할 것을 제언한다.

Abstract

This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liberal arts college students' academic reading, to explore basic issues in their reading, and to provide how to improve their academic reading in their major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457 students who enrolled in a college of liberal arts in a university. The study results represented as follows. First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vocabulary, reading comprehension, and fast-reading competence among student groups of different majors. Secondly, 66.9% of the students did not read widely in their major subjects throughout all departments. 67.7% of the students with low reading performance responded that they could complete college courses only with course textbook reading, course participation, and requirement submission. Thirdly, regarding the number of major subject books that the participants read, 82.1% of the students read less than 15 books, while 11.3% read less than a book. The students' academic reading hours during per week were less than 5 hours for 68.9% students and less than 10 hours for 13.9% respectively. Based on the results (departmental differences in reading competence, wide reading in major subject books, and liberal arts students' reading hours), liberal arts colleges need to design programs to guarantee quality and quantity in reading major subject books.

김수정(전북대학교) ; 이지원(가톨릭대학교) pp.167-190 https://doi.org/10.16981/kliss.47.4.201612.16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내 대학도서관에서 전자책 관리 및 서비스 실태를 파악하고 관련한 현안을 진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지방에 소재하는 A와 B대학도서관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각 도서관으로부터 전자책 관리 및 서비스 이용통계를 수집하였으며 전자책 담당사서들과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은 전자책 도입현황, 예산 및 수서, 접근 및 목록, 이용, 홍보 측면에서 실태를 조사하고 전자책 관리 및 서비스의 어려움과 현안에 대해 의견을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두 대학 모두 종이책과 비교했을 때 전자책 이용률이 낮았으며 특히 최근에 이용률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자책 예산 확보의 어려움으로 인한 신간도서 미비가 주요한 원인으로 보인다. 또한 전자책 수서와 관련한 가장 중요한 현안은 2015년에 제정된 대학도서관진흥법에 따른 대학도서관 평가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도서관 평가기준이 현재 전자책 수서 및 관리 방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e-book management and services in academic libraries and identify related issues in the provision of the services. To do that, it performed case studies with A and B university libraries. E-book usage statistics was collected from each library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librarians responsible for e-book management and services. The interviews included questions regarding obstacles to e-book management and services and current issues as well as budget and acquisition, access and catalogues, usage, and marketing for e-books. The results show that in both libraries, the usage of e-books is low compared with that of printed books and the usage of e-books has declined recently. This is because of lack of new books with shortage of budget. Also, the most important issue surrounding e-book services is academic library evaluation, enacted by Academic Library Promotion Act in 2015. This study discussed how the criteria for academic library evaluation influence the way the academic libraries acquire and manage e-books.

Yang, Kiduk(경북대학교) ; 신다예() pp.191-217 https://doi.org/10.16981/kliss.47.4.201612.191
초록보기
초록

전통기록물 정보시스템은 그동안 보존을 위해 공개되지 못한 전통기록물을 인터넷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전통기록물에 대한 접근성을 획기적으로 높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전통기록물 정보시스템을 조사·분석함으로써 전통기록물의 유통 및 서비스 현황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전통기록물 정보시스템의 목록을 구축한 후, 운영 주체별로 분류하고 정렬하였다. 또한 전통기록물 정보시스템의 콘텐츠를 시기별, 형태별, 유형별로 나누어 조사하였으며, 검색 필드와 분류 필드의 제공 여부를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정보시스템을 이용대상별로 나누어 분류하였다. 조사 결과, 105개의 전통기록물 정보시스템이 다양한 형태의 전통기록물을 서비스하고 있으나, 서지정보, 해제, 원문이미지, 원문텍스트, 번역본을 전부 제공하는 정보시스템은 16.1%에 불과했으며, 상세검색을 제공하는 곳은 49.5%로 아직 국내 전통기록물의 유통과 서비스 현황이 미흡하며 전통기록물 정보시스템을 보완해야할 부분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raditional records information system has greatly improved accessibility to users by providing internet access to the digitized form of traditional records, access to which have previously been restricted for the purpose of preserv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ccessibility and serviceability of Korean traditional records by examining current traditional record information systems in Korea. After compiling a list of traditional records information systems, which were grouped by operating agency, we analyzed them by coverage period, document type, and content format as well as examining search options and browse categories. We also categorized and examined the information systems by user type. The result showed that out of 105 traditional records information systems serving various content types and services, only a fraction(16.1%) provide a comprehensive information that includes bibliographic information, annotated description, content image, content text, and translated text, and less than a half(49.5%) provide a detailed search, all of which point to a less than optimal conditions for access to traditional records and suggest a strong need for improved traditional records information systems in Korea.

이예빈(중앙대학교) ; 김성희(중앙대학교) pp.219-239 https://doi.org/10.16981/kliss.47.4.201612.21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자기효능감과 조직문화가 조직 내의 팀 성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외부변수로는 자기효능감, 조직의 개방성, 공유문화, 경쟁문화를 선정하였으며 지식공유를 매개변수로 선정하였다. 종속변수로는 팀 성과를 선정하여 외생변수 및 매개변수가 종속변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조사 하였다. 데이터는 국내 건설회사에 종사하는 임원진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조사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는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기효능감, 공유문화, 경쟁문화는 지식공유 및 팀 성과에 직·간접적으로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조직의 개방성은 지식공유나 팀 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지식관리 활동과 업무성과와의 구조적인 관계를 파악하여 효과적인 지식 공유를 위한 전략을 제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Abstract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ffects of how self-efficacy and organizational culture affect the knowledge sharing that facilitates team performance.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survey of 126 employees who work for A company and was analyzed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dependent variables in this study included self-efficacy, sharing culture, openness, and competition culture. Latent variable was knowledge sharing. Dependent variable was team's performance. The results of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howed that self-efficacy, competition culture, and sharing culture were found to have both direct and indirect impacts on team's performance. However, opennes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effect on knowledge sharing and team's performance. The implications of these factors will be used to develop knowledge sharing strategies that facilitates team performance.

이연옥(부산대학교) ; 장덕현(부산대학교) pp.241-264 https://doi.org/10.16981/kliss.47.4.201612.241
초록보기
초록

한국에서의 외국이주민 인구 비율이 늘어나고, 도서관의 다문화서비스가 도입되고 있는 현실에 비해 사서의 다문화수용성에 대한 논의가 부재하다는 문제의식에 기초해서 이 연구는 사서들의 다문화수용성을 점검하고, 사서들의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해보았다. 이를 위해, 2016년 2월 전국의 공공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319명의 사서로부터 설문지를 수집하였으며, 최종 292개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공공도서관 사서의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해외거주 경험, 다문화서비스 담당 경험, 다문화 관련 교육경험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서의 다문화수용성을 함양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multicultural acceptance of librarians and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librarians' multicultural acceptance. For this, this study collected its data through a questionnaire conducted for the public librarians. The total 319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292 were finally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actors affecting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of the librarians were the experience of overseas residence, of multicultural service and of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ways to cultivate librarians' multicultural acceptance were discussed.

김규환(전주대학교) pp.265-288 https://doi.org/10.16981/kliss.47.4.201612.265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국내 학술지 저작권 및 오픈액세스 정책 안내시스템 모형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먼저 국내 학술지 논문의 저작권 정책 및 오픈액세스 현황을 조사·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국내 학술지의 경우 33.8% 정도만이 ‘학술지 논문의 권리귀속 규정’을 가지고 있었고 국내 학술지 논문의 권리귀속 주체로는 학회가 28.8%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그리고 국내 학술지 중 34% 정도가 구독료를 지불해야 하는 Toll access 학술지이었으며 56% 정도가 무료접근이 가능한 학술지(Open Access 학술지, Hybrid Access 학술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국외 학술지 저작권 및 오픈액세스 정책 안내 시스템 사례로써 영국의 SHERPA/RoMEO와 일본의 SCPJ를 조사·분석하여 국내 적용시 고려사항을 도출하였다. 국외 사례는 학술지 논문에 대한 저자 셀프 아카이빙 정책 정보를 주로 수집하여 안내하고 있기 때문에 국내 오픈액세스 학술지 정책 정보가 추가적으로 반영될 필요가 있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국내 학술지 저작권 및 오픈액세스 정책 안내시스템 모형의 목적과 목표, 그리고 4가지 운영단계별 기본방향성과 운영방식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study aimed to suggest a model sample for guidance system for copyright of domestic journals and open access policy. Toward this end, analyses were conducted to examine copyright of domestic journals and open access environment. As a result of analyses, it turned out that 33.8% of domestic journals had ‘regulations on ownership of rights to papers published in journals,’ and that the subject to ownership of rights to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accounted for 28.8%, which was the highest rate. Of domestic journals, 34% charged a subscription fee, and they were toll access journals, and 56% were free access journals. As for system examples of guide system for copyright of foreign journals and open access policy, analyses were conducted to examine and investigate SHERPA/RoMEO in the U.K. and SCPJ in Japan and generate considerations at a time of domestic application. What needs to be taken into account is that overseas examples are focused on collecting and introducing self-archiving policy by authors for academic journals, so there are limitations in offering information including open access publication policy for domestic journals. Based on the analytical result, the study designated the purpose, direction and four steps that need to be considered at a time of development of guide system models for copyright and open access policy for domestic journals before suggestion of the basic direction and operational methods by stage.

최성필(경기대학교) ; 유석종(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조현양(경기대학교) pp.289-307 https://doi.org/10.16981/kliss.47.4.201612.289
초록보기
초록

본 논문에서는 생의학 분야의 특정 세부 분야에 특화된 관계 추출 학습 말뭉치를 효율적으로 구축할 수 있는 시스템을 소개한다. 이 시스템은 대상 분야에 해당하는 용어집(유전자, 단백질, 질환 명칭 등)을 입력하면, 대용량 상호 작용 데이터베이스를 통해서 이들 용어 간의 연관 관계를 1차적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연관 관계 집합을 다시 학술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최종적으로 연관 관계 포함 문장을 추출하는 형태로 수행된다. 개발된 시스템의 유용성 검증을 위해서 알츠하이머 병 분야에서의 유전자 간 상호 작용 학습 말뭉치를 구축하는데 본 시스템을 적용하였고, 140개의 유전자 집합을 입력하여 이 분야에 특화된 학습 집합인 유전자 쌍 및 상호 작용 포함 문장 3,510 건을 추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시스템을 활용함으로써 기존에 완전 수작업으로 수행되던 연관 관계 추출용 학습 말뭉치 구축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다양한 세부 분야에 적합한 학습 말뭉치 구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Abstract

This paper introduces a software system and process model for constructing domain-specific relation extraction datasets semi-automatically. The system uses a set of terms such as genes, proteins diseases and so forth as inputs and then by exploiting massive biological interaction database, generates a set of term pairs which are utilized as queries for retrieving sentences containing the pairs from scientific databases. To assess the usefulness of the proposed system, this paper applies it into constructing a genic interaction dataset related to Alzheimer’s disease domain, which extracts 3,510 interaction-related sentences by using 140 gene names in the area. In conclusion, the resulting outputs of the case study performed in this paper indicate the fact that the system and process could highly boost the efficiency of the dataset construction in various subfields of biomedical research.

김갑선(중원대학교) pp.309-337 https://doi.org/10.16981/kliss.47.4.201612.30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사서행태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지향점과 시사점을 모색하는 첫 번째 시도이다. 문헌정보학을 대표하는 4개 학술지의 창간호부터 2015년까지 총 163편(3.3%)의 논문을 선별하였다. 분석준거는 연도 및 시기, 학술지, 주제, 연구목적, 연구방법, 대상지역, 연구자유형이다. 분석결과, 1) 대학도서관 사서행태가 28.8%이며, 공공도서관 사서행태가 26.9% 이었다. 2) 조직행태에 관한 논문이 53.9%이며, 업무행태에 관한 논문은 31.9% 이었다. 3) 사서행태 논문의 연구목적은 관련 현상의 인식 규명이 52.7%이며, 관련 현상의 현황 및 개선은 41.1% 이었다. 4) 양적 연구방법이 매우 우세하였다(82.2%) 5) 대학도서관 사서행태 논의는 사서들의 관련 현상에 관한 인식을 파악하고자 하는 연구목적과 관련이 있었다. 반면에, 공공도서관과 학교도서관 사서(교사)행태는 관련 현상의 실제적 현황과 개선을 연구 목적으로 하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6) 연구자유형은 교수가 참여한 연구가 84.0%이며, 사서가 참여한 연구는 26.3%였다. 사서행태연구의 지속적 발전을 위하여 연구의 수행주체, 연구목적, 연구방법, 학술지 특화전략을 논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research trends on librarians’ behaviors(LB) in Korea. 163 papers were selected in four representative journals published in Korean LIS, 1970-2015. The papers were analyzed in terms of period, journal, theme, purpose of research, research method, areas, type of author.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LB of University library were 28.8% and then that of public library were 26.9%. 2) Organizational behaviors of librarians were 52.7%, and then work behaviors were 31.9%. 3) Purposes of research were to examine librarians’ perception (52.7%) and then to improve of current state of libraries(41.1%). 4)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was heavily found(82.2%). 5) Research purpose on LB of University library was related to identify perception of librarians, and that of Public library was related to improve current state of libraries. It discussed four strategies for sustaining growth of LB study aspect of research subject, research purpose, research method, and editorial strategies of four journals.

박성우(광주대학교) pp.339-358 https://doi.org/10.16981/kliss.47.4.201612.339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공공도서관이 지역사회를 실행공동체로 변화시키는데 기여함을 밝히고자 했다. 이를 위해 미국도서관협회의 ‘지역사회를 변화시키는 도서관(LTC)’ 사례를 분석하였다. LTC 프로그램에 참여한 공공도서관들은 사서들이 매개자가 되어 실행공동체를 형성하여 지역사회의 문제를 해결하였다. 이러한 실천을 바탕으로 공공도서관은 도서관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도 변화시켰다. 따라서 이 사례들을 통해 공공도서관과 지역사회의 관계가 변화하는 모습을 4단계로 모델링하였고, 그 단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관 조직 내 구성원의 역량 강화, 둘째, 도서관 서비스 개선을 위한 사서들의 실행공동체, 셋째, 지역사회 문제의 해결을 위해 협업하는 사서와 지역주민 실행공동체, 넷째, 실행공동체로서의 지역사회이다.

Abstract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at public libraries help community to become an active ‘Community of Practice(CoP)’. In order to prove this hypothesis, ‘Libraries Transforming Communities(LTC)’ initiative of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is analyzed. Public libraries participating in LTC program solved problems of communities through making CoPs by librarians as a catalyst. People’s recognition about public libraries is altered by the problem-solving practice. The followings are 4-level transforming relationship model of public library and community: Leadership Development for Librarian CoPs; Librarian CoPs for improving library services; Community CoPs with library for solving problems; Community as CoP.

한아랑(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 김용(전북대학교) ; 오효정(전북대학교) ; 안승권((주)바른교육) pp.359-384 https://doi.org/10.16981/kliss.47.4.201612.35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호남교회사 연구소의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지역적 특색을 가장 잘 보여주는 소장 기록물의 수집, 관리, 보존 및 활용에 있어서 공개용 소프트웨어를 활용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아카이브 구축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지역문화콘텐츠의 아카이빙은 지방자치단체의 문화산업정책과 맞물려 지역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카이브 구축에 있어서 요구되는 기본적인 요구사항을 분석하기 위하여 인터뷰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현재 관리의 문제점 및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고려사항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하여 현실적으로 여러 가지 제약이 많은 지역적 한계를 보다 효과적으로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velop digital archives for honam catholic history institute . To achive the goal, this study considers historical archives of honam catholic history institute. Also, this study proposed an effective archiving method based on OSS(open source software) for contents collection, management, preservation and service. Archiving of local cultural contents can contribute to the local development along with cultural industry policy. This study performed interview with people in charge of management of archives to extract general requirements for implementation of local archives. With the results, this study limitations of current archives management and considerations of implementation of local archives. This study proposed a method to effectively solve the limitations through the processes.

정대근(전남대학교) ; 홍소람(전남대학교) ; 강혜라(전남대학교) ; 장우권(전남대학교) pp.385-409 https://doi.org/10.16981/kliss.47.4.201612.385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개인의 독서생활 및 도서관 활성화에 북페스티벌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북페스티벌에 참여 경험이 있는 참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 북페스티벌의 참여는 개인의 독서생활 및 도서관 인식, 도서관 이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심층 분석 결과 참여자의 북페스티벌 인식은 개인의 독서생활 및 도서관 인식, 도서관 이용에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그 영향력(2.1~4.7%)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북페스티벌 참여만족도는 ‘도서 및 전시판매’(30.1%) 참여만족은 개인의 독서생활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체험부스 참여만족은 도서관 인식(22.4%), 도서관 이용(26.4%)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전반적인 참여만족 역시 참여자의 독서생활(24.5%), 도서관 인식(20.1%), 도서관 이용(27.5%)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book festivals on personal reading habituation and library revitalization. The survey of participants of book festivals is conducted. As a result, it appears that participation of book festivals has a impact on personal reading habituation and recognition of and using library. The followings are results of this survey: recognition of participants about book festivals has a impact on personal reading habituation and recognition of library and using library, but the effect(2.1~4.7%) is slight; Satisfaction of book fair(display and selling booths) has a impact on personal reading habituation(30.1%); Satisfaction of experience booths has a impact on recognition of library(22.4%) and using library(26.4%); Satisfaction of participating in book festivals also has a impact on participant's reading habituation(24.5%), recognition of library(20.1%) and using library(27.5%).

손계영(대구가톨릭대학교) pp.411-441 https://doi.org/10.16981/kliss.47.4.201612.41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성호 이익의 대표적인 저술인 『성호사설』에 인용된 문헌 443종을 추출하여 인용문헌의 규모 및 문헌의 성격, 중국본의 비중, 최신본의 비중, 주제별 비중 등을 분석하였다. 『성호사설』 인용문헌 443종을 살펴본 결과, 고려・조선본이 전체 23.3%, 중국본이 76.7%를 차지하였고, 중국본의 편찬시기를 살펴본 결과, 송대 이전 편찬본이 70% 이상을 차지한 반면, 명・청대 문헌은 22.7%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용문헌의 주제별 비중을 살펴보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주제영역은 歷史書類, 詩文集類, 儒敎經典類, 小說筆記類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성호 이익은 이외에도 잡가류, 유가류, 지리류, 제도규정류, 서화음악류, 자전류, 전기류, 백과사전류 등 다양한 주제에 관심을 가졌던 것으로 조사되었다.

Abstract

This research examined the composition background of Miscellaneous Explanations of Seongho(湖僿說), the representative work of Yi Ik(李瀷, pen name is Seongho 星湖, 1681-1763), then selected the 443 cited references in the book, and analyzed the features of them such as the scales and characteristics of reference, the proportion of Chinese books, the ratio of latest editions and the relative importance by subjects. After examining the ratio of Goryeo-Joseon and Chinese books among 443 references in Miscellaneous Explanations of Seongho, it was revealed that there were 23.3% of Goryeo-Joseon books and 76.7% of Chinese books cited. The investigation on the editorial period of the referred Chinese books showed that 70% and more were books of the Song and pre-Song period, whereas 22.7% were books of the Ming-Qing period. The analyzation of the proportions of the reference by subject showed that the subject fields with highest percentage appeared in the order of historical books, poetry and prose collections, Confucian classics, and novels and essays. And besides these subjects, he had been interested in various subjects: Miscellaneous Schools, Confucian School, geography, regulation of systems, painting and music, dictionary, biography, encyclopedia, and so on.

이유경(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 ; 성윤아(Korean Studies Librarian, University of Michigan) ; 정영미(동의대학교) pp.443-464 https://doi.org/10.16981/kliss.47.4.201612.443
초록보기
초록

세계의 많은 기관들은 학술 정보 유통을 위해 디지털 리포지터리들을 구축해왔다. 동시에 디지털 리포지터리들은 증가하는 디지털 자원을 어떻게 장기적으로 보존하고 지속가능한 정보 환경 구축할 것인가의 문제에 직면해 있다. 하티트러스트(HathiTrust) 파트너십은 미국 연구도서관들의 디지털 리포지터리의 지속가능한 협력 모델의 필요성에 의해 시작하여 전 세계의 리포지터리들과의 체결을 통해 점차 확장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하티트러스트의 설립배경부터 구축, 운영 및 정책, 현황 및 이용 서비스에 이르는 전반적인 사례와 실질적인 운영 과정 등을 다루었고 또한 하티트러스트의 효과와 앞으로 기대되는 가능성 등을 파트너십 단위 기관의 시각에서 다루고자 하였다. 하티트러스트를 통해 파트너십 기관들은 효과적인 운영 비용, 디지털 콘텐츠의 공동 관리 및 장기 보존, 저작권 관리의 용이성, 접근성 확대 등의 특장점이 있으며, 향후에는 인쇄물의 공동보존서고 운영, 빅데이터 분석 토대 마련 등의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 great number of institutions around the world have been building digital repositories to communicate scholarly information. Meanwhile, digital repositories have been struggling with how to preserve increased volume of digital contents for the long term and how to build a sustainable information environment. The HathiTrust partnership was established to meet the need of a sustainable collaborative model of digital repositories in research libraries, mainly in North America, and has been expanded globally by signing with other libraries around the world. This paper is dealt with the establishment, operation and policy, construction status, and user service of the HathiTrust. The results presented in this paper include the benefits and potential opportunities of the HathiTrust as a participating member. Partnership in HathiTrust would allow each member institution to provide more cost-effective operations, shared management and long-term preservation of digital content, ease of copyright management, and increased accessibility.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o provide a shared storage of printed materials and to facilitate a big data research center.

이은주(동의대학교) pp.465-487 https://doi.org/10.16981/kliss.47.4.201612.465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DSpace를 기반으로 구축한 기관 리포지토리 메타데이터 요소의 활용 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DSpace를 사용하여 기관 리포지토리를 구축하고자 하는 기관을 위한 메타데이터의 구축 방향과 활용 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1) DSpace의 개발 배경과 특징, 메타데이터 요소와 활용 방법에 대해 살펴본 후, (2) DSpace를 기반으로 한 국내 기관 리포지토리 중 사례 기관을 선정하여 모든 기관에서 공통적으로 활용되는 메타데이터 요소는 무엇이며, 개별 기관에서 추가 또는 확장하여 사용하는 요소는 무엇인지를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에 더해, (3) 입력된 메타데이터가 검색에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검색 방식, 검색 요소 및 디스플레이 요소 등으로 나누어 검토한 후, 마지막으로, (4) 연구결과를 토대로 기관 리포지토리에서 메타데이터 구축시 기관이 고려해야 할 과제와 추진전략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수행함에 있어 필요한 데이터는 문헌연구와 사례분석을 통해 수집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metadata elements of institutional repository using DSpace and to provide the directions and strategies for constructing metadata. To the end, discussed in details are (1) understanding the background of development, features, elements of metadata, (2) figuring out the common metadata elements and the differentiated metadata elements for the institutional repository, (3) examining the search methods, search elements, and display elements of the insitutional repository, and (4) based on theses, suggested are directions and strategies for metadata of institutional repository using DSpace. The research methods were used such as literature review, the analysis of 4 domestic institutional repository.

강현민(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 부산기록관) pp.489-510 https://doi.org/10.16981/kliss.47.4.201612.489
초록보기
초록

중앙기록물관리기관이 제정한 원내표준 NAK/G 8-1:2013(v.1.0)에는 종이기록물의 영구보존용 마스터 파일 포맷으로 TIFF, PNG, PDF/A, JPEG 2000 파일 등을 명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 포맷들과 함께 마스터 파일의 요건을 갖춘 JPEG 포맷을 추가하는 표준화 가능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먼저 JPEG 포맷이 갖고 있는 고유의 특징을 소개하고, 대표적인 마스터 파일 표준 포맷인 TIFF 포맷과의 특징 등을 비교․분석과정을 통하여, JPEG 포맷이 마스터 파일 포맷의 기능상의 요건이라는 대전제를 만족하므로 중앙기록물관리기관의 원내표준 내 JPEG 포맷을 추가하는 표준화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최근 가장 범용적으로 생산되어 지고 있는 JPEG 포맷을 영구보존용 마스터 파일 기본 요건을 충족하는 원내표준 포맷에 추가함으로써, 디지털화 된 종이기록물 원본의 진본성, 범용성, 편의성, 실용성 및 호환성 등 다양한 편익을 이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표준 환경을 마련했다는 것이다.

Abstract

It is defined in the internal standard of the NAK namely a NAK/G8-1:2013(v.1.) such as TIFF, PNG, PDF/A, JPEG 2000 as a Long-Term Preservation Master File for internal Standardization of Paper Archives in the Central Archives of Korea. This study reviewed the possibility that JPEG format could be a standard as a Long-Term Preservation Master File for internal Standardization of Paper Archives in the Central Archives of Korea. I pointed to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JPEG file format and analysed and compared with TIFF format that is a representative master file. Through this study, I suggested that JPEG format also should be additionally included in the standard, as a master file, because it meets a qualification and functional requirements of master file and can guarantee the authenticity, reliability, integrity and usability.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that JPEG format, be added to master file standard, can set up a environment that has lots of benefit in the domain of usability, compatibility to user as well as the authenticity, reliability, integrity.

임성관(경기대학교) pp.511-535 https://doi.org/10.16981/kliss.47.4.201612.51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사서의 전문성 발달과 개인적 성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자기성찰이 도서관과 문헌정보학 분야에서 충분히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최근 사서의 자기성찰에 관한 연구들이 행해지기 시작하는 단계에서 자기성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밝혀낼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행해진 자기성찰과 관련된 연구들을 정리해 보았다. 또한 자기성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고, 사서직들이 자기성찰을 할 때 어떠한 방식으로 해 나갈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어서 마지막으로 문헌정보학계 내에서 자기성찰 함양을 위해 행해져야 할 영역들에 대해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awareness of problems concerning self-reflection has not been sufficiently addressed in the realm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lthough it has an important effect o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individual maturity of librarians. Recent research on self-reflection, which is only at the beginning stages of study, has brought up the need for additional and more in-depth analyses of factors that influence self-reflection. This study on the progress of overall research will show the current status and definition of librarians’ self-reflection. The study will also illuminate and make suggestions to help direct future research along the lines of librarians’ self-reflection and corresponding educational requirements.

남권희(경북대학교) ; 최기척(경북대학교) pp.537-557 https://doi.org/10.16981/kliss.47.4.201612.537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경주최씨 백불암 종가의 崇慕閣에 소장된 고서 665종 1,354책의 장서 구성 현황과 장서가 지닌 성격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숭모각에 소장된 장서는 종가에서 약 400년에 걸쳐 대대로 전해져 내려온 것으로 역사 및 서지사적으로 중요한 자료가 상당히 많다. 시기적으로는 16세기의 간행본부터 주제별로는 문집류, 경서류, 역사서류 등 다양하며, 상태 또한 대부분 온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books in Soongmogak of Baekbulam head family house hrough the bibliographic analysis. The collection consists of 655 types and 1335 pieces of the old books held in a famous Choi family. Books that has been handed down for 400 years generations at Soongmogak are historic references. Books of Soongmogak are preserved well, and its publication date starts from 16th century to 20th century. types of books are roughly divided into Confucian classic, anthology and history book.

김윤영(안산다문화작은도서관) ; 정은주(안산다문화작은도서관) pp.559-579 https://doi.org/10.16981/kliss.47.4.201612.559
초록보기
초록

최근 한국사회는 국제이주민들의 수가 증가하면서, 사회전반 전문분야의 문화다양성 수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한국 도서관계에서도 다문화서비스 운영방안에 대한 다양한 모색들이 이루어져 왔고, 이에 많은 연구물들은 공공도서관의 다문화서비스 운영에 대한 모델과 발전방안을 제시해왔다. 본 연구는 도서관 이용자 약 90%가 국제이주민인 안산다문화작은도서관의 운영사례를 분석하여 국제이주민을 위한 공공작은도서관의 역할과 기능은 무엇이어야 하는지를 살펴보고자한다. 안산다문화작은도서관은 이주민의 정착과 적응을 돕는 교육공간과 지역주민의 상호이해를 바탕으로 선주민과 이주민의 사회통합을 이루어가는 공간으로서, 이렇게 두 가지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궁극적으로 이 연구는 구체적인 운영사례연구를 통하여 지역의 작은도서관이 이주민들과 지역사회에 얼마나 효율적으로 중요한 기능을 담당할 수 있는지 그 가치와 의의를 보여주고자 한다. 또한 그럼에도 불구하고 겪는 여러 어려움과 한계를 제시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현실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Abstract

According to the rapid increase of foreign immigrants, South Korea recently has grown more and more interested in the acceptance of cultural diversity in diverse fields at the whole society. Korea Library Association also has sought the way of multicultural service for foreign immigrants in libraries and many previous researches has suggested those. This paper examines the ways in which small community library functions for foreign immigrants, analyzing on the case of multicultural library located in Wongok-dong, Ansan-si, where about 80% population of residents are foreign immigrants. Ansan multicultural library has two functions in the community. One is the educational place for helping immigrants' settlement and adaptation of South Korea. The other is the cultural place for social integration between immigrants and South Koreans based on mutual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Ultimately this paper shows how values small library in the community has significantly for foreign immigrants.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