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윤희윤(대구대학교) pp.5-26 https://doi.org/10.16981/kliss.44.2.201306.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지역대표도서관 중심의 지역단위 공동보존서고 건립의 타당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관계법령, 국가정책, 도서관계의 인식도, 실제 수장공간의 측면에서 공동보존서고 건립의 타당성을 분석한 결과, 공동보존서고 건립의 타당성은 충분한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기초연구를 바탕으로 한 지역단위 공동보존서고의 건립 및 운영모형이 조속히 개발되어야 한다. 그리고 주무부처인 문화체육관광부와 광역시도는 공동보존서고 건립에 문화정책의 우선순위를 두어야 한다.

Abstract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easibility of establishment of the collaborative repository for public libraries in Korea. To that end, its feasibilities were analyzed from the sides of the relevant laws, national policy, library's recognition, and actual collection space. As a result, the feasibility of establishment of the collaborative repository was revealed by enough. Accordingly, based on the this basic research, there is a need to develop immediately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model of the collaborative repository. And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d metropolitan city and province must grant priority of cultural policy in the establishment of the collaborative repository.

이승길(성균관대학교) pp.27-50 https://doi.org/10.16981/kliss.44.2.201306.2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도서관의 스마트러닝 수업 모형을 정보활용교육 측면에서 개발하는 것이다. 수업 모형은 ADDIE 모형과 ASSURE 모형을 기반으로 학교도서관의 특성에 맞게 도서관의 시설, 자료, 인적자원, 정보문제 해결과정, 협동수업 및 블렌디드 학습, 스마트 디바이스의 이용 등이 고려되었다. 수업 모형은 “학습목표 설정→학습자 분석→학습환경 분석→학습과제 분석→교수 전략→매체 선정 및 개발→수업적용→평가”의 순서로 개발하였다. 또한 학교도서관 스마트러닝의 실제적인 상황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수업 예시를 제시하였다.

Abstract

In this study, a smart Learning instruction model for school library was developed in terms of library instruction. Based on ADDIE model and ASSURE model, this model is organiz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library, including facilities, materials, human resources, information problem solving process, collaborative teaching and blended learning, and utilizing smart devices. The entire procedure of this model is as follows: “establishment of instructional objectives→learner analysis→analyzing the learning environment→analyzing the learning task→instructional process design→developing instructional tool→instruction→evaluation.” In addition, an instructional practice is provided for actual experience of smart Learning in school libraries.

김종성(계명대학교) pp.51-75 https://doi.org/10.16981/kliss.44.2.201306.51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우리나라 문헌정보학분야의 어린이서비스 연구의 경향을 분석하고 연구의 발전적인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한국문헌정보학회지,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정보관리학회지에 창간호부터 2012년까지 게재된 학술논문 113편을 분석하였다. 연도, 학회지, 연구자, 주제, 연구방법, 연구비 등을 기준으로 논문 현황을 분석하였고 연구에서 나타나는 내용과 방법론을 중심으로 개선과제를 살펴보았다. 연구 논문 분석을 토대로 어린이서비스의 발전을 위한 과제로 어린이 도서 연구의 활성화, 어린이서비스 연구 전반의 실효성 제고, 연구의 현장 근접성 강화 등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of children’s services research in Korea. A total of 113 research articles were selected from 4 journal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rticles were analyzed in the aspects of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author types, and research funds. The writer discussed the problems shown in the articles and suggested some recommend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research.

김홍렬(전주대학교) pp.77-95 https://doi.org/10.16981/kliss.44.2.201306.77
초록보기
초록

평가지표(evaluation indicator)란 공공기관이나 기업 등에서 공정한 평가를 진행하기 위해 작성하는 문서로서, 평가표 작성에 앞서 그 기준이 되는 사항을 정하고 이를 명시한 문서를 말한다. 평가지표에는 평가기준과 평가요소, 평가항목, 평가방법, 배점 등 평가 전반에 관한 사항이 구체적으로 명시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평가의 공평성과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운영평가지표의 효용성 정도를 면밀히 분석하여 실제 운영평가에서 개별 도서관 담당자가 평가내용을 이해하기 쉽고, 평가지표를 통해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도록 개선이 필요한 평가지표 항목을 선정하고 이에 대한 개선 내용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 공공도서관 운영평가지표의 면밀한 분석과 평가지표의 평균 도달률, 운영평가지표와 통계지표와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개선이 필요한 항목을 선정하고 이에 대한 개선 내용을 제시하였다. 제안된 내용은 향후 공공도서관의 운영평가지표의 개선에 반영될 수 있다.

Abstract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the measures of the Korean Public Library Operation Assessment. The analyze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fulfillment degree of the evaluation indicators and the opinions of librarians for public libraries evaluation indicators. Same time, the comparative analysis of public library statistical indicators and evaluation indicators was perform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 was selected assessment items that need to delete and modify. The improvements proposed in this study will provide a direction for the improvement of the Korean Public Library Operation Assessment. And may be applied to improve the process of the public library evaluation.

이경란(충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97-116 https://doi.org/10.16981/kliss.44.2.201306.97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독서와 마라톤을 접목하여 개발․운영한 공공도서관의 독서진흥 프로그램이 독서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문헌연구와 독서진흥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고, 참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1) 독서마라톤 프로그램의 만족도가 높은 사람들이 독서량이 증가되고 도서관 이용 빈도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 독서마라톤 참여 이후에 가족들과 책에 관한 대화가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독서마라톤 프로그램이 독서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ading Promotion Program of Public Library on Reading Activit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arried out carried out literature review, readingmarathon program development and operation. It was followed by the questionnaire survey and interview about reading activity of readingmarathon program participant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People of high satisfaction increased reading volume and frequency of library use 2) Book talk with family members increased after participating in readingmarathon program. The readingmarathon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reading activity.

박진희(전북대학교) pp.117-136 https://doi.org/10.16981/kliss.44.2.201306.11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최근 들어 대학도서관 OPAC에 도입한 서평과 태그를 기반으로 내서재 기능을 소셜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소셜 리딩을 지원하는 9개의 국내외 내서재 서비스 모델에 대한 사례 조사를 실시하여 콘텐츠 구성요소와 시스템 기능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내서재 서비스를 위한 9개의 컨텐츠 정보영역을 도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was intended to seek ways to be social of ‘My shelf' service functions based on book reviews and tags that have recently been adopted into the academic library OPAC. To that end, this study conducted case examinations of ‘My self' services in the local and overseas organizations and the component elements of contents and systems functions were analyzed from the ‘My shelf' service models. Thereby 9 contents information areas were set up for ‘My shelf' services.

김보일(경기대학교) ; 김종애(경기대학교) pp.137-165 https://doi.org/10.16981/kliss.44.2.201306.137
초록보기
초록

오늘날과 같이 방대한 정보에의 접근 및 이용이 가능한 정보사회에서 공공도서관이 다양한 유형의 이용자에게 원하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보편성 측면에서 유니버설디자인 원리를 적용한 서비스의 제공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이 본래의 목적에 부합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6개 평가영역, 10개 평가항목, 41개 평가내용으로 구성된 유니버설디자인 원리에 기초한 공공도서관 서비스의 보편성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41개 평가내용에 대해 유니설디자인 적용의 5요소인 ‘보편성, 편의성, 인지성, 안전성, 경제성’ 중 평가지표의 특성에 따라 적용 가능한 요소를 설정하였다.

Abstract

For public libraries to deliver appropriate information to various types of users in information society that allows people to access and use a variety of informa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services applying the universal design principles in terms of univers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evaluation indicators for universality of public library services, which apply universal design principles to evaluate if public libraries provide appropriate services that meet their original purpose. The final ‘Evaluation Indicators of Universality of Public Library Services' consist of six evaluation areas and 41 evaluation contents in 10 evaluation items. Each evaluation content is categorized into a relevant factor among five universal design applicable factors (Universality, Convenience, Recognition, Safety and Economic Feasibility) according to its characteristics.

노지현(부산대학교) ; 이제환(부산대학교) ; 조용완(대구가톨릭대학교) pp.167-195 https://doi.org/10.16981/kliss.44.2.201306.167
초록보기
초록

현행 「도서관법」 및 「도서관법 시행령」에서는 지역 도서관 자료에 대한 통합적 관리의 책임을 ‘지역대표도서관'에 부과하고 있다. 이는 지역의 도서관들이 공통적으로 경험하고 있는 수장공간의 부족 문제를 ‘공동보존서고’의 설치를 통해 해결하도록 유인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러한 실정법에 따라 지역대표도서관을 설립하였거나 지정하고 있는 광역자치단체에서는 빠른 시일 내에 공동보존서고의 건립과 운영을 위한 종합적인 계획을 마련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해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부산시’를 사례로 하여 도서관의 수장공간 부족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공동보존서고가 갖는 의미를 세밀히 검토하고, 공공도서관 중심의 ‘지역 거점형’ 공동보존서고의 건립 및 운영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부산시 공공도서관의 수장공간의 부족 정도를 객관적으로 산출하고, (2) 공동보존서고에 대한 부산시 공공도서관 사서와 이용자의 요구를 조사한 다음, (3) 국내외의 대표적인 공동보존서고 사례를 참조해 가면서 부산시에 가장 적합한 공동보존서고의 건립 및 운영(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ccording to the Korean Library Act, a regional representative library is fully responsible for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all collections held by local libraries. It intends to resolve space problem for collections and to prepare room for new materials in local libraries. Under the Act, a regional representative library should make a plan for a regional repository library to accomodate overflows from local library collections as soon as possib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meanings of 'regional repository library' as a cooperative storage facility of local library collections, and to suggest the proper solutions for developing a regional repository library with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To the end, this study (1) examined the extent of space shortage in local libraries of Busan, (2) assessed the needs of both local libraries and library users for a regional repository library, and finally, (3) suggested the detailed procedure and methods for establishing and managing a regional repository library in Busan metropolitan city.

도태현(동의대학교) ; 정영미(동의대학교) pp.197-215 https://doi.org/10.16981/kliss.44.2.201306.19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도서관의 차세대 OPAC 기능 채택 현황을 조사·분석한 것으로 새로운 OPAC 시스템을 도입하거나 시스템개편을 계획하고 있는 도서관에 유용하게 쓰일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여 차세대 OPAC 기능의 예비항목들을 추출하고 이것을 검증하기 위해 파일럿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본연구에서의 조사대상은 우리나라 191개 대학도서관 전수로 하였으며 데이터의 정확성을 기하기 위해 두 명의 연구원이 중복 조사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PASW Statistics 18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가장 많이 채택된 차세대 OPAC 기능은 간단검색창이었고, 그 다음은 결과내검색이었다. 클러스터링, 오픈서치플러그인, 적합성순정렬, 철자오류수정은 소수의 도서관만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status and adoption pattern of next generation OPAC functionalities employed in Korean academic libraries. The paper is useful for future planning of next generation OPAC in academic libraries. This study firstly extracted major functionalities of next generation OPAC by reviewing literature and then the pilot test was conducted to validate them. The websites of 191 academic libraries in Korea were surveyed. For the accuracy of the data, the two researchers examined in redundan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ASW Statistics 18. 'Simple search box' was found to be the most popular function. The second popular function was 'search within results'. A few libraries used the 'clustering', 'open search plug-in', 'sort by relevance', and 'correct spelling error'.

김정현(전남대학교) pp.217-239 https://doi.org/10.16981/kliss.44.2.201306.217
초록보기
초록

주요 국가의 주제명표목표 즉, 전거레코드 파일에 수록되어 있는 한국의 국경관련 주제명의 실태 및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한국의 국경관련 문헌이 소장되어 서지 레코드가 작성되어 있더라도 국경관련 주제명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다수 발견되고 있으며, 또한 프랑스의 경우 ‘압록강’과 ‘두만강’, 스페인의 경우 ‘황해’, ‘두만강’, ‘백두산’에 관한 서지 레코드조차도 전혀 검색되지 않았다. 둘째, 우리가 실효적 지배를 하고 있는 ‘독도’에 대해서도 미국과 프랑스를 제외하고는 한국이라는 지명이 나타나 있지 않았다. 독일은 한국과 일본이라는 지명을 함께 표시하고 있다. 셋째, ‘동해’ 관련 주제명에 대해서는 이미 대부분의 국가도서관 목록에서 ‘일본해’라고 표기하고 있으며, ‘황해’ 관련 주제명에 대해서는 ‘황해’라고 표기하고 있다. 넷째, ‘압록강’과 ‘두만강’의 경우 대부분의 경우 중국식 발음으로 표기하고 있다. 다섯째, ‘백두산’의 경우 대부분 한국식 발음으로 표기하고 있으며, 미국의 경우 ‘장백산’과 구분하고 있다. 독일의 경우 ‘장백산’을 ‘백두산’의 이형 접근점으로 표기하고 있다.

Abstract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subject heading related to Korean border shown in the subject headings of 7 countries: United States, France, Germany, Spain, Russia, China, and Japan. The results are as follows. To begin with, Korean border-related records in most other national libraries are in extremely poor conditions except for some countries like United States. Amnokgang and Dumangang-related records did not search at all in the France. Yellow Sea, Dumangang, and Baekdusan-related records did not search at all in the Spain. Second, even Dokdo we have effective control, the geographical name ‘Korea’ is not marked with catalog records except the United States and France. The Germany is displayed with the geographical name of ‘Korea’ and ‘Japan’. Third, the East Sea(Donghae) already is marked with ‘Sea of ​​Japan’ in most of the national library catalogs, and Yellow Sea(Huanghai) is marked with ‘Yellow Sea’. Fourth, Amnokgang and Dumangang is marked with Chinese pronunciation in most in most of the national library. Fifth, Baekdusan is marked with Korean pronunciation in most countries. However the United States showed in ‘Baekdu Mountain’ and ‘Changbai Mountain’ discrimination. In the case of the Germany, ‘Changbai Mountain’ are marked with variant access point of ‘Baekdusan’.

배경재(동덕여자대학교) ; 박희진(한성대학교) pp.241-265 https://doi.org/10.16981/kliss.44.2.201306.241
초록보기
초록

디지털시대에 적합한 정보활용능력 교육을 기획하여 실시하는 것은 현대 도서관의 핵심기능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립중앙도서관 및 국내의 유관 기관에서 이루어지는 디지털 정보활용능력 교육현황을 분석하고 이와 동시에 대국민 서비스의 지역 거점인 공공도서관의 의견을 조사하여 향후 개선방안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특히 공공도서관의 정보활용교육 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향후 정보활용교육에 대한 관심은 높지만, 시설 및 예산 등 필요 자원의 부족으로 인해 국립중앙도서관과 같은 국가도서관과의 연계 협력이 절실한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조사결과를 토대로 국립중앙도서관 교육프로그램의 개선방안과 함께 공공도서관과의 연계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in Korean public libraries and suggest improvements. The education programs were analyzed, which are offered in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related social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in order to explore the digital literacy education program required for public libraries. An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38 librarians of the regional central libraries. Respondents reported that a cooperative program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with national library is essential, due to the lack of the budget and digital literacy resources. Based on the analysis, a model of the National Digital Library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and the cooperative programs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were proposed.

윤은하(한국외국어대학교) ; 장윤금(숙명여자대학교) pp.267-291 https://doi.org/10.16981/kliss.44.2.201306.267
초록보기
초록

디지털시대의 인쇄물 관리는 지난 10여 년간 국내외 도서관의 주요 현안으로 인식되어 왔으며 이에 대한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방안을 모색하려는 노력이 이루어 진 바 있다. 특히 인쇄본저널의 경우 디지털저널의 등장이후 지속적인 이용률 감소와 도서관의 공간 부족 문제로 이어지면서 인쇄본저널의 새로운 보존 및 영구적인 아카이빙 구축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시대의 인쇄본저널 아카이빙 관리 전략에 대한 선행 연구 및 북미를 중심으로 진행된 웨스트 공동보존협약(WEST, Western Regional Storage) 프로젝트 사례를 고찰하고 분석함으로써 인쇄본저널의 보존에 대한 새로운 관리방안 및 향후 전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cademic research libraries are seeking a long-term preservation plan for journals for cost-effective stewardship. The emergence of shared print archives has given the library community the opportunity to resolve the problem of the lack of library storage and build a collaborative long-term archiving plan for the print journ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estern Regional Storage Trust(WEST), the largest print journal archiving program in North America, and identify their strategies for building a distributed, retrospective print repository service for journals. Based on the analysis, this article will discuss the development of new trends of collaborative library management in a digital age.

여진원(전남대학교) ; 장우권(전남대학교) pp.293-313 https://doi.org/10.16981/kliss.44.2.201306.293
초록보기
초록

도시는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단순한 공간이 아니다. 도시는 문화적 기억과 흔적을 고스란히 드러내는 공간이다. 이 연구는 발터 벤야민의 『파사주프로젝트』를 살펴보고, 벤야민의 도시읽기와 기록방법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와 더불어 도시아카이브의 사례조사와 분석을 바탕으로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도시아카이브에 적용시키는 방법을 연구하고, 도시를 담는 미래의 아카이브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The City is not simple space run daily life but shows the space of cultural memory and trace. This study examined Walter Benjamin Passge Project, and how to read and record the city of Benjamin discussed. In addition, research and how to apply to the archives of the city is made based on case studies and analysis of the Urban Archive,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archive that holds the future of the city.

홍재현(중부대학교) pp.315-343 https://doi.org/10.16981/kliss.44.2.201306.315
초록보기
초록

공공저작물은 국민의 세금에 의해 작성된 것이므로, 공공의 이익을 위해 민간의 무상의 자유로운 접근 및 이용이 보장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저작권 처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법률적 근거가 마련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저작물의 법적 개념과 공공기관의 개념 및 범위에 대해 검토하였다. 공공저작물의 저작권 보호를 제한하는 입법사례로 미국, 영국 및 독일의 저작권법 관련 규정과 최근에 입법 예고된 개정안들을 분석하였고, 이어서 공공저작물과 관련한 국내 현행 저작권법상의 저작권 보호의 제한 규정 및 저작권법 일부개정안을 상세히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도서관에서의 공공저작물의 이용 활성화를 위하여 저작권 제한을 큰 폭으로 확대하는 법률개정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Public works has been created by the taxes of the people, so free access and use of public works without charge in the public sector must be guaranteed for the benefit of the public. To do this, above all, a legal basis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ocess for copyright should be to establish.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legal concept of public works and the concept and scope of public institutions. And this study, as legislation case to limit the copyright protection of public works, analyzed the relevant provisions of copyright law and the recent revised plan in the U.S., UK, and Germany. And then I analyzed the regulations for limitation of copyright protection of current copyright law and the draft of copyright law on public works in Korea.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this study suggested the legal revised plan to expand significantly the limitations of copyright in order to activate the use of public works in the library.

노영희(건국대학교) pp.345-376 https://doi.org/10.16981/kliss.44.2.201306.345
초록보기
초록

웰빙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소비자건강정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건강관련 사이트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공공도서관에서의 소비자건강정보(CHI, consumer health information) 관련 참고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공공도서관사서들은 CHI 관련 참고서비스를 수행함에 있어 다른 참고서비스와 달리 부담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CHI 참고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의 연구 및 국외에서 개발된 가이드라인을 총체적으로 분석하여 공공도서관사서를 위한 CHI 참고서비스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가이드라인은 전문가 자문 및 설문조사를 통해 검증과정을 거쳤다.

Abstract

Because of increased concern regarding health and well-being, interest in consumer health information (CHI) has also increased, leading to a growing number of health-related websites. As a result, research has shown that public libraries are experiencing an increased demand for CHI-related reference services. The task of providing these services then falls on the public reference librarian, who is often untrained and inexperienced in this area. Therefore, improvements to how public libraries provide CHI reference services effectively are needed. This study analyzed the previous research at home and abroad, and developed CHI reference guidelines for public librarians. Guidelines developed in this study went through a verification process utilizing expert advice and a survey of public librarians.

김영석(명지대학교) pp.377-398 https://doi.org/10.16981/kliss.44.2.201306.377
초록보기
초록

대규모 도서관을 몇 개 건립하는 것보다 소규모 도서관을 많이 건립하는 것이 단기간에 공공도서관 인프라를 확충하는 데 효율적이다. 우리나라의 공공도서관은 선진국들과 비교해서 큰 규모로 건립되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대부분이 중·대규모로 건립된 원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1년 12월 기준 우리나라 전체 791개 공공도서관의 연면적을 조사하였다.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평균 연면적은 2,495㎡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도서관의 규모 측면에서 공공도서관의 효율적인 인프라 확충을 위해 고려해야할 도서관 건립 정책은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Abstract

In terms of expanding the infrastructure of public libraries, building many small-size libraries is more efficiency than building a small number of big size libraries. Korean public libraries have been built in big-size in compare to the public libraries in the developed countries. This study aims to analyse why the majority of the Korean public libraries have been built in middle and large size and the floor space of 791 public libraries were examined. It was revealed that the average floor space of 791 public libraries is 2,495㎡. The study aims to find what policy on library building should be considered to expand effectively the infrastructure of public libraries.

박재혁(대림대학교) ; 김비연(성균관대학교) pp.399-422 https://doi.org/10.16981/kliss.44.2.201306.399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KDC에서의 통계학 주제가 사회과학 통계학과 자연과학 수리통계학에 교착분류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고 세부영역의 체계적 전개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통계학의 학문적 특성, 국내 대학 통계학과의 현황 및 학과명의 변천과정, 교과과정을 분석하였으며, DDC, LCC, NDC의 문헌분류법과 한국연구재단의 연구분야분류표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관련학과와 연구분야분류표의 학문적 배경에 따라 사회과학의 통계학을 자연과학 아래로 이치 및 통합하였다. 기존의 사회통계학 주제는 사회과학 연구방법을 보완하여 통계적 연구방법으로 세분하여 전개하였다. 또한, 자연과학의 '확률, 수리통계학'의 표목을 '통계학'으로 수정하고 세부영역의 주제를 체계화하여 확대·전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suggests some ideas for improvement of mixing classification and illogical subdivisions arrangement of Statistics in Social Science and Mathematical Statistics in Natural Science on KDC. We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educational system, and curriculum of Statistics in Korea. Besides, we compare and analyze classification systems such as KDC, DDC, LCC, NDC and Research Fields Code by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As a result, Statistics in Social Science is relocated and integrated with the subfield of Natural Science according to the academic background. Existing social statistics topics are subdivided into statistical research methods complementing social science research methods. The heading 'Probabilities, Statistical mathematics' in Natural Science is changed to 'Statistics', and the subdivisions are expanded and revised.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