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이미화(공주대학교) pp.5-26 https://doi.org/10.16981/kliss.43.3.201209.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의 전거제어 현황 조사와 국제적인 전거제어 개념모델 및 가상국제전거파일 분석을 바탕으로 국내에 적합한 전거제어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현황 조사는 국내 대학도서관 중 전거데이터를 구축하는 기관과 구축하지 않는 기관 모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전거데이터를 구축하는 도서관은 해당 기관에서 구축해온 전거형을 유지하고자 하였으며, 미구축기관에서는 전거데이터 구축을 위해 전거관련 목록규칙과 국가적인 협력체계를 필요로 하였다. 이러한 현황조사와 국제목록원칙 2009, FRAD 개념모델, VIAF에서 제시한 방안을 바탕으로 전거형의 다양성을 인정하는 전거제어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는 국가의 전거규칙을 바탕으로 전거제어를 실시하되, 기관의 전거규칙에 따라 선호하는 전거형을 인정하며, 궁극적으로는 이용자 중심으로 전거형을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이다. 이를 위해 국가적인 전거제어 규칙과 협력체계가 마련되어야 하며, 개별 도서관에서는 자관의 규칙에 따라 전거형과 이형을 생성해야 한다. 또한, 이용자 중심의 전거제어를 위해 전거데이터 기술요소가 추가적으로 입력되어야 하며, 전거형간, 전거형과 이형간의 다양한 관계를 기술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국가, 개별도서관, 이용자가 선호하는 전거형접근점을 수용하는 전거제어를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Abstract

This study is to find the new method for authority control in Korea by surveying status of authority control in university libraries and by analyzing international conceptual model of authority control and VIAF. 2 kinds of survey were done: one is for libraries having authority records and the other is for libraries not having authority records. In survey result, libraries that have authority records want to sustain their own forms of authorized access points and libraries that have no authority records want the rules related to authority and the national cooperative authority control system to be constructed. Based on ICP 2009, FRAD conceptual model, VIAF and this survey result, new authority control is to respect the diversity of forms of the authorized access points. New authority control is to permit authority records that reflect provision for linguistic or cultural environments of each library, confirming to the national cataloging code. Therefore, authorized access points will be displayed according to user preferred forms. For this new authority control, it is needed to make national authority rule, to build the authority records according to library's own rules, and to construct the cooperative authority control system. Also for user preferred authority control, it is needed to describe detailed elements for authority control and relation data between authorized access points, between authorized access points and variant forms.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suggest new authority control that could accept all kinds of authorized access points preferred by nation, libraries, and users.

도태현(동의대학교) pp.27-48 https://doi.org/10.16981/kliss.43.3.201209.27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RDA의 저작과 표현형의 접근점 규정을 분석하였다. 저작과 표현형의 전거형 접근점은 저작의 채택된 표제를 기초로 작성하며, 가능하면 저작에 대하여 중요한 책임을 갖는 저자의 전거형 접근점에 저작의 채택된 표제를 더하여 작성한다. 이형 접근점은 저작의 이형 표제를 기초로 작성한다. 저작의 전거형 접근점이 저자의 전거형 접근점에 저작의 채택된 표제를 더하여 작성된 경우 이형 접근점은 저자의 전거형 접근점에 저작의 이형 표제를 더하여 작성하며, 저작의 채택된 표제만으로도 이형 접근점을 작성한다. RDA에는 특수한 유형의 자료들에 대하여 유형별 접근점 규정을 두고 있지만 일반 규정의 틀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RDA의 저작과 표현형에 대한 전거형 접근점 규정은 AACR2의 저자명 기본표목과 통일표제 기본표목의 원칙과 거의 일치한다.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guidelines and instructions for access points representing works and expressions in RDA. The preferred title for the work is used as the basis for constructing an authorized access point to represent a work or expression. If applicable, the authorized access point is constructed by combining the preferred title for the work to the authorized access point for the identity with principal responsibility for the work. The variant titles for the work are used as the basis for constructing variant access points to represent a work or expression. If the authorized access point is constructed by combining the preferred title for the work to the authorized access point for the identity responsible for the work, the variant access points are constructed by combining the variant titles for the work to the authorized access point, and by using only the preferred title for the work. Besides, RDA provides instructions to construct the controlled access points for special works like musical works, laws, religious works and others, but the general principles for these works are same as the above instructions. The authorized access points for works and expressions in RDA are almost same as the main entry headings in AACR2.

이은주(부산대학교) ; 이제환(부산대학교) pp.49-77 https://doi.org/10.16981/kliss.43.3.201209.49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대학생의 다양한 학습활동에 있어서 도서관과 도서관목록의 이용행태를 살펴보고, 이러한 행태 속에서 나타나는 대학도서관 목록의 가치와 의미를 밝혀내고자 하였다. 또한, 다양한 학습활동의 유형과 인적 변인에 따른 행태의 차이를 다각도로 분석함으로서, 이용자 집단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목록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대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보다 면밀한 접근을 위해 도서관목록 탐색행태에 대한 관찰법을 함께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현재 대학도서관 목록은 특정 자료의 소장유무 확인과 서가위치 파악과 같은 최소한의 목적을 위해 사용되고 있었으며, 도서관목록이 대학생의 학습활동을 위한 포괄적인 탐색도구로 기능하려면 대학생들의 정보행태에 기반한 전반적인 품질개선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alues and meanings of university libraries and library catalog in the learning activities of Korean college students. Discussed in details are unique features in their library use behavior and catalog search behavior, and critical factors influencing their behavioral characteristics. A qualitative approach was employed for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Intensiv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30 students, also utilized was tight and close observation of their library search behavior. The result of this study is on identifying the underlying reasons why Korean students use their libraries and catalogs in a passive and limited manner.

이창수(경북대학교) pp.79-100 https://doi.org/10.16981/kliss.43.3.201209.79
초록보기
초록

中國圖書館分類法(CLC: Chinese Library Classification)은 중국에서 가장 널리 통용되는 국가 표준분류법으로 1975년에 초판을 발행한 이래 2010년에는 제5판을 출판함으로써 약 9년마다 개정을 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CLC의 성립배경과 발전과정 그리고 제5판의 특성과 개정내용을 분석함으로써 한국과 문화적으로 오랜 관련성을 유지해온 중국의 대표적인 분류법을 고찰하고 한국십진분류법(KDC) 전개에 참고할 시사점을 파악하였다.

Abstract

The Chinese Library Classification(CLC) is the most widely used 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system in China. Since the first edition of CLC in 1975, the 5th edition of CLC was published in 2010. It was the result of an average of 9 years of revision for each edition. This study investigated CLC focusing on the formational background and developmental process of CLC, and characteristics and revision details of CLC's 5th edition. Because Korea has been close cultural relationship with China for a long time, this study will provide implications on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KDC) development.

김정현(전남대학교) pp.101-120 https://doi.org/10.16981/kliss.43.3.201209.101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의류학 분야의 학문적 특성과 분류체계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의류학 분야의 분류특성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KDC 제5판 의류학 분야의 분류체계 수정 전개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의류학 분야의 학문적 연구영역이 연구분류체계와 문헌분류체계에서는 대부분 민속학(복식), 화학공학(세탁, 염색공학), 제조업(피혁 및 모피공업, 직물 및 섬유공업, 의류제조), 생활과학(의복), 공예 및 장식미술(염직물공예) 등의 세목으로 분산 배치되어 있다. 둘째, 국립중앙도서관의 의류학 분야 KDC 유별 자료현황을 조사하여 특정 분류항목에 지나치게 자료가 집중되고 있는 KDC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중심으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분류항목의 수정 전개는 원칙적으로 의류학 분야의 학문체계에 따르되 기존의 KDC 분류체계를 가능한 한 그대로 유지하도록 하였으며, 항목간의 이동은 최소화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general problems concerning the clothing and textiles field in the KDC 5th edition based comparative analysis academic characteristics and classification system, and suggested on some ideas for the improvements of them. Results of the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clothing and textiles field is generally divided by costume, dyeing engineering, leather & fur processing, textiles and textile industries, manufacturing clothes, management of clothing, and textile arts. Second, I proposed improvements based on analyzing problems of KDC 5th to the clothing and textiles field from the collection database at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Third, basically improvements of KDC system was based on the knowledge of the clothing and textiles field. I tried to maintain as the KDC existing classification system was to retain as much as possible, and to move between items was minimal.

문지현(전남대학교) pp.121-141 https://doi.org/10.16981/kliss.43.3.201209.121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일본의 NDLSH 2008년판과 중국의 CCT 제2판에 수록된 한국 관련 주제명의 수와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NDLSH와 CCT에 수록된 주제명은 258개와 137개로, NDLSH에 수록된 주제명이 2배 정도 많은 수준이다. 하지만 참조어수를 제외한 순수 주제명은 CCT가 더 많고 인명, 단체명, 세목 결합 주제명을 포함시킨다면 NDLSH가 압도적으로 많은 편이다. 한편 CCT는 사회주의적, 친북한적인 성격을 띠고 있는데, 정치, 외교, 군사 분야의 주제명이 상대적으로 많으며 북한의 시각을 담은 주제명도 상당수 수록되어 있다. 국가명칭으로 NDLSH는 최근에서야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변경하였으며, CCT는 ‘한국’ 보다는 ‘조선’이라는 명칭을 훨씬 더 많이 사용하고 있고 ‘조선’과 ‘한국’의 구분도 모호하다. 국가간 논쟁이 되고 있는 ‘독도’, ‘동해’, ‘두만강’, ‘압록강’, ‘백두산’ 등에 대해서는 철저하게 개발 당사국의 입장을 반영하고 있으며, 발해는 양 표목표 모두 중국 역사의 일부로 설정하고 있어 한국 입장에서는 불합리한 배정이라 할 수 있다.

Abstract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number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related subjects included in the 2008 Japanese edition of the National Diet Library Subject Headings (NDLSH) and the 2nd edition of the Chinese Classified Thesaurus(CCT).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258 subjects, approximately twice as many as 137 subjects in CCT, were found in NDLSH. There are more pure subjects that exclude the references in CCT than in NDLSH. On the other hand, much more subjects are found in NDLSH in the event that personal names, corporate headings, and subjects combined with detailed headings are included. Meanwhile, more subjects are relatively engaged in the fields of politics, diplomacy, and military in CCT because CCT is characterized by socialism and by being a pro-North Korea. Moreover, the considerable numbers of subjects reflecting North Korea’s viewpoint are included in CCT. NDLSH changed only recently the names of both South and North Korea into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CCT more frequently uses “Joseon” than “Korea”, and the distinction between the names is unclear. CCT thoroughly supports the stance of the developed country, directly involved in the disputable subjects between two countries such as “Dokdo”, “the East Sea”, “Dumangang”, and “Baekdusan”. Both heading lists consider “Balhae” as part of Chinese history in CCT, which has ignored the position of Korea.

유영준(나사렛대학교) pp.143-163 https://doi.org/10.16981/kliss.43.3.201209.143
초록보기
초록

개인이 구축한 시소러스를 온톨로지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먼저 시소러스를 온톨로지로 변환하기 위해서 적합할 뿐만 아니라 W3C에서 국제표준으로 선택한 SKOS로 기술하는 것이 첫 번째 단계이다. SKOS는 시소러스나 주제명표, 분류체계 등을 온톨로지로 변환하는데 적합한 온톨로지이지만 온톨로지로 기술하려면 RDF/XML과 같은 언어가 필요하다. 그러나 RDF/XML은 읽고 쓰기에 어렵기 때문에 RDFa처럼 HTML에 내장할 수 있거나 훨씬 구조가 쉽고 기술하기도 간편한 Turtle기술 언어도 필요할 수 있다. SKOS로 기술한 것과 더불어 온톨로지 구축 프로그램인 Protégé 4.2를 사용해서 시험적으로 8개의 클래스와 151개의 용어를 사용해서 온톨로지를 구축하였다. 이 온톨로지에는 시소러스의 기본 개념 관계인 동의관계, 계층관계, 연관관계 이외에도 SKOS에서 제안하는 전이 계층 관계의 사례도 포함시켰다.

Abstract

In order to convert a thesaurus described by a person to ontology, the first step is to translate the thesaurus to the ontology by using SKOS, which is suitable for conversion to ontology and was chose an international standard by W3C. SKOS is suitable for converting thesaurus or subject headings or classification system to ontology, but we need a web language to describe an ontology as RDF/XML. RDF/XML is so difficult to read and write that we can need RDFa embedded in HTML document or Turtle, which is more easily describable and readable. Along with description using SKOS, this research has experimentally constructed the ontology by using ontology construction program Protégé 4.2. In addition to basic concept relationships of thesaurus like equivalent relationship, hierarchical relationships, association relationships transitive hierarchical relationships are included suggested by SKOS in this research.

김수경(창원문성대학) pp.165-192 https://doi.org/10.16981/kliss.43.3.201209.165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 독서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연구 대상은 경남지역의 학교도서관을생각하는사람들의모임(이하 학생사모)의 독서교육 연구·실천 활동이며, 연구방법은 사례연구이다. 이를 위한 데이터 수집은 학생사모 회원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한 인터뷰, 관련 문서, 홈페이지자료 등을 활용하였다. 학생사모의 활동을 분석한 결과 학생사모가 이룬 학교 독서교육의 성과와 전망을 밝혔다. 향후 학교 독서교육 활성화 방안으로 학교 독서교육은 반드시 학교도서관과 연계되어야 하며, 학교 내·외의 조직과 연대와 협력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for boosting reading education at school. Research object is research and practice activities of 'Society for School Library' at Gyeongnam area. Research method is case study.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by interview with 'Society for school library' members through half structured survey, their documents and homepage site database.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activities of 'Society for School Library' were explored reading education's outcomes and prospects that performed impassionedly by them. It suggests ways for boosting of reading education at school that under any circumstances reading education at school must connect with school library and the necessity of ties and collaborations with organizations inside and outside of school.

이병기(공주대학교) pp.193-216 https://doi.org/10.16981/kliss.43.3.201209.193
초록보기
초록

최근 들어, 공공기관의 책무성이 강화되면서 교육기관의 교육 책무성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교육 책무성을 증명하기 위해서 국가 수준의 학업성취도 평가는 물론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PISA)에 참여하고 있다. 교육기관의 지원을 받는 학교도서관 또한 예외가 아니어서 교육 책무성을 요구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PISA의 독서영역과 AASL의 21세기 학습자 기준과 비교하여 학교도서관이 PISA의 학업성취도와 상관관계가 있음을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PISA 2009의 독서 리터러시 영역과 PISA 설문지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연구 결과, PISA의 설문지에는 학교도서관 관련 요소를 상당수 포함하고 있으며, PISA의 독서 리터러시 영역은 AASL의 21세기 학습자 기준과 일치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In recent years, strengthening educational accountability of school as the public institutions has been emphasized. Thus, most countries perform national student assessments and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PISA) in order to prove the educational accountability. The school library supported by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are no exception, school library has demanding the educational accountab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reading domain of PISA and standards for the 21st-century learner of AASL, it is to investigate that the school library contributes to PISA achievement. In this study were analyzed domain of PISA 2009 reading literacy and questionnaires. The results, PISA questionnaire contains a lot of elements in the school library and PISA is consistent with standards for the 21st-century learner of AASL.

양재한(창원문성대학) pp.217-238 https://doi.org/10.16981/kliss.43.3.201209.217
초록보기
초록

2003년부터 10여 년간 지속된 학교도서관 활성화사업은 비정규직 사서를 양산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었다. 본 연구는 이들의 고용실태와 근로여건, 학교 내에서 겪는 갈등요인, 고용안정을 위한 노력을 분석하고 있다. 이 분석을 바탕으로 학교비정규직 사서들의 고용안정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그 방안은, 첫째 근로관계에서 쟁점사항 분석을 통해 ‘사용자’가 누구인가에 대한 해석을 하였으며, 둘째 고용안정을 위한 법률적 근거마련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library activation projects at school which has continued for the 10 years starting from 2003 provide us with too many irregular librarians. This study is not only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for their employment, the condition for their employment, and the causes of their conflict in the schools; but also to suggest some methods for the stabilization of employment that most irregular librarians currently have. As for the methods, there could be two ways: (1) to understand who play the key users for the library through the analysis of conflicts related to labor-condition and (2) to suggest how to legalize the stabilization of employment for the irregular librarians at school.

노지현(부산대학교) ; 윤유라(동의대학교) pp.239-263 https://doi.org/10.16981/kliss.43.3.201209.239
초록보기
초록

학교도서관이 상황이 열악하다보니 학교도서관의 운영이나 독서교육과 관련하여 지역의 공공도서관에 도움을 청하는 학교가 적지 않다. 그러나 공공도서관이 처한 여러 가지 현안을 해결해 나가는 데에도 벅찬 실정에서 학교도서관 지원에 관한 업무까지 해나가야 한다는 사실에 공공도서관에서는 적지 않은 부담을 느끼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부산시에서는 지역대표도서관인 부산시립시민도서관과 대학의 문헌정보학과, 그리고 지역교육청이 공동으로 참여하여 ‘학교도서관을 활용한 독서 멘토링 활동’을 시범적으로 전개해 보았다. 이 연구는 지난 7개월 간의 경험을 토대로 학교도서관의 독서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독서 멘토링 활동의 효과에 대해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Abstract

Cooperation with public libraries for strengthening the solid foundation and the reading education of school library have been recommended in Korea. However with the immensity of the task, public libraries are under considerable pressure for the unilateral support. Under these circumstances this study developed and implemented the reading mentoring programs for school libraries with the help of public libraries, LIS schools, and Busa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 result,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and the feasibility of the reading mentoring programs for improving the reading education in school libraries. This study emphasized to derive a lesson of immeasurable value from 7 months' experience in the 2 elementary schools.

서진원(전북대학교) pp.265-289 https://doi.org/10.16981/kliss.43.3.201209.265
초록보기
초록

본 논문은 학교도서관 독서교육에 관한 연구이다. 독서교육은 학교도서관의 중요한 역할 중의 하나이다. 구성주의는 현대의 중요한 학습이론으로 각 교과의 학습에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구성주의의 학습원칙을 학교도서관의 독서교육에 적용하였다. 독서교육은 오늘날 독서전략에 관심을 가지고 발전하고 있으며, 주로 국어과 독서교육에서 연구되어 왔다. 여러 문헌들의 독서전략들을 조사하고, 이를 Westhoff가 제안한 방식으로 범주화하여 학교도서관의 독서교육과정에 적용하였다. 구성주의 학습원칙은 강인애가 정리한 것을 중심으로 적용하였으며, 독서교육과정은 한국도서관기준의 학교도서관 정보이용교육단계를 기준으로 하였다. 학교도서관의 정보이용교육(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은 독서교육을 포함하며, 그것을 더욱 확장 발전시킨 개념이기 때문이다. 구성주의 학습원칙을 적용한 학교도서관의 독서교육은 학교교육과 학교도서관의 발전에 기여 할 것이다.

Abstract

In this paper, I studied on reading instruction in the school library. Reading instruction is a very important role of school library. And it is an essential element of school education. In this paper, I tried an application of constructivism for reading instruction.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of school library includes reading instruction. So the pattern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of school library was accepted as reading instruction pattern of school library in this paper. And then constructivism for learning principle and reading strategies as reading instruction was analyzed in this paper. Gerard J. Westhoff categorized reading strategies into 4 parts. I applied this categorization of reading strategies to the reading instruction pattern. And I analyzed and synthesized these relative constructivism elements and reading strategies for the reading instruction pattern in this paper.

정종기(경성대학교) pp.291-312 https://doi.org/10.16981/kliss.43.3.201209.291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도서관 견학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교육적 특성들을 추출하고 이를 교육학적 근거나 이론들에 기반하여 도서관 견학을 재해석함으로써 도서관 견학의 교육학적 토대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도서관 견학의 교육적 특성으로 경험, 매체, 설명, 해석, 상호작용 등이 도출되었으며 이와 같은 교육적 특성들과 관련이 깊은 교육 이론이나 근거를 중심으로 교육학적 토대를 모색하였다. 도서관 교육방법으로서 도서관 견학의 교육학적 토대로 Dewey의 경험이론, Dale과 Dwyer등의 매체이론, Bruner의 설명하기와 해석하기 그리고 마음이해하기에 대한 앎의 방식이론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가 교육사서로 하여금 교육학적 토대위에서 효과적인 면대면 및 가상공간에서의 도서관 견학프로그램을 계획하고 개발하여 실행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advanced researches of the library tour, to extract the educational properties of library tour, and to propose the pedagogical meanings of library tour by reinterpreting the library tour based on pedagogical theories and foundations. As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extracted educational properties of library tour are like these: experience, media, explanation, interpretation, interaction. The educational properties are extracted through the related theories and researches. The pedagogical foundations based on the educational properties of library tour are like these: 1) John Dewey's experience theory. 2) Dale & Dwyer's teaching & learning media theories. 3) Bruner's educational theory. It'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help the education librarians to plan, develop, and implement the face to face or virtual library tour program based on the pedagogical foundations for the effective library education.

남태우(중앙대학교) ; 류반디(중앙대학교) pp.313-332 https://doi.org/10.16981/kliss.43.3.201209.31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다양한 독서의 정의와 독서를 다루고 있는 인접 학문들의 관점에서 독서의 여러 측면들을 검토하였다. 이에 따라 독서의 요인을 추출하고 요인의 성격을 조사하였다. 독서의 주요 요소는 저자, 독자, 텍스트, 맥락의 4가지이다. 본 연구는 독서의 커뮤니케이션 측면, 특히 독자와 맥락과의 상호작용에 중점을 두어 결론을 이끌었다.

Abstract

This study looked at various definitions of reading and examined multiple aspects of reading from the perspective of related disciplines. The study also attempted to isolate specific factors of reading-author, reader, text, and context-and investigated the nature of each factor. The study focused on the communicational aspect of reading, especially o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reader and the context.

정재영(서강대학교) pp.333-352 https://doi.org/10.16981/kliss.43.3.201209.333
초록보기
초록

최근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복합문화공간을 표방하며 신축 및 리모델링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즉, 디지털 및 멀티미디어기기 활용공간, 스터디룸 등의 열람공간, 영화감상실 및 전시실 등과 같은 문화적 기능 수행 공간, 그리고 커뮤니케이션과 휴게공간의 확충 및 제공이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새로운 공간의 확보 및 제공에 치중하는 것과는 달리 오프라인 서비스와 적절히 연계되지 못하고 있으며 사서의 역할에 대한 변화와 위치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새로운 도서관 공간을 구상하고 제공하는 데 있어 대학도서관의 학문적 성격을 감안하여 ‘복합문화공간’이 아닌 ‘복합학습공간’을 지향할 필요가 있으며, 대학도서관의 목적에 대한 이해와 함께 이용자의 요구, 장서의 활용방안 그리고 사서의 역할 및 배치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Building a new library and remodeling an existing library for the multi-cultural space is a recent trend of the university libraries. That is, the spaces for using the digital and multimedia equipments, the rooms for reading and studying, the spaces for the cultural activities such as watching movies and holding an exhibition, and the spaces for the communication and refreshment are increasing in the libraries. However, this movement of securing and providing the new spaces is not closely connected with the off-line services and happens without the consideration of how to change the librarian's role and position. Therefore, the university libraries need to plan and provide the multi-learning space rather than the multi-cultural space considering the university library is an academic organization. Additionally, understanding the purpose of the university libraries, user's need, utilization method of books and considering the librarian's roles and placement are necessary in planning and providing the space of the libraries.

노영희(건국대학교) pp.353-384 https://doi.org/10.16981/kliss.43.3.201209.35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최근에 이슈가 되고 있는 필터버블 문제와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가 이용자맞춤형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서관과 무관하지 않다는 인식에서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최첨단기술을 활용하는 위치기반서비스, 상황인식서비스, 책추천서비스, RFID기반서비스, 클라우드서비스가 어떤 측면에서 개인정보침해 및 프라이버시 침해가능성이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또한 특정 서비스 이용을 위해 개인정보를 제공한 이용자는 개인정보를 포기한 것으로 보아야 하는지, 국내 도서관에서 도서관 이용자의 프라이버시 문제가 논의된 적이 있는지, 필터버블 문제가 도서관 이용자에게 줄 수 있는 위험성과 해결책은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간단히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도서관 프라이버시에 대한 초기단계의 연구로서 향후 국내 프라이버시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observation that the filter bubble and privacy violation problems are related to the personalized services provided by libraries. This study discussed whether there is the possibility for invasion of privacy when libraries provide services utilizing state-of-the-art technology, such as location-based services, context aware services, RFID-based services, Cloud Services, and book recommendation services. In addition, this study discussed the following three aspects: whether or not users give up their right to privacy when they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for online services, whether or not there are discussions about users' privacy in domestic libraries, and what kind of risks the filter bubble problem can cause library users and what are possible solutions. This study represents early-stage research on library privacy in Korea, and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privacy research.

김규환(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국내정보팀) pp.385-405 https://doi.org/10.16981/kliss.43.3.201209.38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학술지 논문에 인용된 인터넷 참고문헌의 특징과 활동성을 조사하는 것이다. 분석대상은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 4개 학술지(한국정보관리학회지,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한국문헌정보학회지, 한국비블리아학회지)의 지난 8년(2002년부터 2009년)동안 게재된 논문에 포함된 참고문헌들이다. 주요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참고문헌 중 인터넷 참고문헌의 비율은 15.5%이었으며 2002년 이후 인터넷 참고문헌의 비율은 매년 꾸준히 증가하였다. 둘째, 인터넷 참고문헌의 자료유형은 일반 웹문서(html, htm 등)가 84.3%로 가장 많았다. 셋째, 인터넷 참고문헌의 도메인 유형은 비영리기관이 35%, 대학/교육기관이 20%로 가장 많았다. 넷째, 인터넷 참고문헌의 비활동성은 44.8%로 높게 나타났고, 인용된 지 10년 후에는 최대 53.3%까지 증가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frequency, format, and activity of Internet references of four major journal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Sampled articles of each journal were published during 2002-2009. The results show five implications. 1) Overall 15.5% of all references were Internet references. 2) The number of Internet references has continuously increased since 2002. 3) The type of Internet references were most commonly “web document(84.3%), followed by” PDF(14%). 4) Nearly 55% of Internet reference were “.or(org)” and “.ac(edu))”. 5) The percentage of inactive Internet references increased from 34.4% at 3 years to 44.1% at 5 years and to 53.3% at 10 years after publication. Although this study may not be representative of the entire field, it shows that Internet references occurred frequently and were often inaccessible within years after publication.

안현주(전남대학교) pp.407-432 https://doi.org/10.16981/kliss.43.3.201209.407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조선후기 전남 지역의 출판문화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현전본과 문헌을 통해 서목을 작성하여 시기별, 지역별, 주제별 분석을 시도하였다. 조선후기 전남지역에서는 보성의 죽천서당에서 서적간행을 시작하였다. 또한 시기를 막론하고 문집은 비중있게 간행되었음을 알 수 있고, 17세기와 18세기 전반까지 나주가 출판의 중심지였다가 19세기 후반에는 장흥이 출판의 중심지가 되었다. 후대로 올수록 보계류, 전기류, 별집류, 지리류 등의 서적을 집중적으로 간행하였다. 19세기부터는 목활자를 이용하여 간행한 서적이 대부분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목활자를 이용한 빈도가 높은 것은 전적의 내용과도 깊은 관련성이 있다. 출판활동이 가장 활발했던 시기는 19세기 후반이고, 조선전기에 비해 유가류, 총집류, 의가류, 사서류 등은 비중이 줄어들었다.

Abstract

This study i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ubishing culture in Chonnam province during the latter half of Chosun Dynasty. The subjects, dates, and places of publication are analyzed from the books which have been found in the publication records and the catalog of woodblocks. Right after the war, Samryakjikhae and Sohakjipsul were published at Jukchunseodang, Bosung area. Anthologies were published dominantly through the whole period. Naju was the center of publication in 17 & the first half term 18 centuries and then moved to Jangwheung area. In this period, publication of genealogical records, biographies, anthologies, geography books had been increasing vastly. From the 19 century, most books were published by using the wooden type. The wooden type was used because the contents of books were for the limited number of publication. The most active publication happened at the end of 19th century. Significance of Confucian literature, collective anthologies, medical science, and confucious classics decreased in the latter half.

김지현(이화여자대학교) pp.433-455 https://doi.org/10.16981/kliss.43.3.201209.43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학 소속의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연구데이터의 관리 현황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010년과 2011년 한국연구재단 지원사업의 최종선정과제 연구책임자들 중 대학에 소속되어 있는 이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31명의 설문 내용을 분석한 결과, 대학에서 생산·수집되는 연구데이터의 유형은 인문·사회과학 분야와 자연과학·의학 및 공학 분야 연구자들 간에 많은 차이를 보였다. 응답자들은 주로 관련정보와 데이터를 연결시키거나 추가적으로 생산된 데이터를 병합하는 활동을 통해 연구데이터의 활용 가치를 높이고 있었다. 연구데이터 보관을 위해 개인 PC나 이동식 매체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었으며, 약 80%의 응답자들이 과제 종료 이후 연구데이터의 유용성이 유지되는 연한을 10년 미만으로 보았다. 연구데이터의 공유는 주로 소속 연구팀 내에서 이루어지거나 외부에서 데이터를 요청하는 연구자들과 이루어지고 있었다. 타인의 연구데이터를 활용하는 응답자의 비율은 본인의 데이터를 공유한다는 응답자의 비율보다 높았으며 다수의 응답자들이 출판된 논문에서 데이터를 추출하거나 개인적으로 연락하는 방식을 통해 타인의 연구데이터를 획득하고 있었다. 대학 내에서 연구데이터 관리체계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특히 데이터의 장기보존과 메타데이터 작성에 대한 만족도가 낮아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연구데이터 아카이빙 서비스의 개발이 요청된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research data management practices from the perspectives of university researchers. A survey was conducted for principal investigators of projects in universities selected to be funded by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in 2010 and 2011. Predicated on the analysis of 131 survey responses, there was a great difference in types of research data between Humanities & Social Science fields and Science, Medicine and Engineering fields. Most respondents added value of their data by linking to other types of information or combining data from other sources. For storing data, PC or portable media were generally employed, and around 80% of respondents saw their data having a useful life under 10 years. Data was shared within research team and with outside researchers who requested data. The percentage of respondents who have reused data was higher than that of respondents who have shared data. In order to obtain data for reuse, the majority of respondents drew data from published articles, or contacted data creators. In most cases, mechanisms for managing data did not exist in projects or universities where respondents belong. Since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long-term preservation and metadata description of research data was found to be low, it was necessary to develop data archiving services to support the data management procedures.

강은영(부산대학교) ; 장덕현(부산대학교) pp.457-479 https://doi.org/10.16981/kliss.43.3.201209.45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 공공도서관 자료선정업무의 현황을 자료구입비 규모, 자료선정정책과 자료선정기준, 자료선정 담당 인력과 자료선정위원회, 자료선정방법과 자료선정도구 등의 카테고리로 나누어 살펴 본 다음 사서들의 자료선정업무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현황을 바탕으로 효율적인 자료선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을 자료선정정책, 자료선정인력, 자료선정방법의 세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자료선정업무 현황 분석을 위한 데이터 수집은 국내 공립공공도서관 315개관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Abstract

This paper strives to illustrate the selection processes in public libraries. It specifically attempts to survey the budget allocation,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usage of selection criteria, and priority of selection decision in collection development units in public libraries. Staff structure, committee activities, methods of selection, usage of selection tools and librarians’ recognitions about selection process are also investigated. Data are drawn from a survey with 315 public libraries in the country. Specific statistics to be analyzed via literature, although not detailed in nature, are scrutinized as well. As a conclusion, the paper discusses such an issue as current situation in selection of materials public libraries and possible impetus toward a better collection development process.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