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노영희(건국대학교) ; 안인자(동원대학교) ; 최상기(전북대학교) pp.5-29 https://doi.org/10.16981/kliss.42.4.201112.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현재 한국 문헌정보학과에 개설된 교과목들의 현장필요성을 평가하고 교과과정의 개선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현장사서들을 대상으로 현재의 교과목운영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기반으로 구체적으로 필수 또는 핵심과목, 그리고 선택과목으로 나누어 제안하였다. 필수과목으로 사서실습, 문헌정보학개론, 정보조직학(분류목록), 정보조사제공론, 도서관경영론, 정보검색론 등 6개 과목, 핵심과목으로 정보자료분류목록실습, 주제별정보원(참고정보원), 장서개발론, 디지털도서관론, 서지학개론, 기록관리학개론 등 6개 과목, 나머지 과목은 학교의 상황 및 교수진의 구성에 따라 선택과목으로 개설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교육방법으로 사서실습 및 현장답사를 통한 교육, 발표 및 토론위주 교육을 제안하며, 문헌정보학 교육과정의 내실화를 위해 중요한 것은 교육주제의 최신성, 교육내용의 전문성, 교육자의 전문성 및 자질, 교육교재의 전문성, 담당과목과 담당교수의 전공상관도 제고 등이다.

Abstract

This study proposed to assess courses which are currently offered in the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to explore directions for improvement. Based on field librarians' needs and opinions about the courses, we suggested separating the required, core, and elective courses. We proposed six courses including ‘Internship’, ‘Introduction to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ataloging and Classification’, ‘Library Management’, and ‘Information Retrieval’ as required courses, and 5 courses including ‘Practice in Cataloging and Classification’, ‘Information Resource and Service’, ‘Collection Development’, ‘Digital Library System’, ‘Introduction to Bibliography’ and ‘Records Management and Archives’ as core courses. Finally, the remaining courses were recommended as selective courses which each department could select depending on their circumstances and faculty. The important components for substantial LIS courses are as follows: timeliness of training topics, expertise of educational contents, professionalism and qualifications of faculty, specialized educational materials, and increasing the major correlation between courses and professors.

이병기(공주대학교) pp.31-50 https://doi.org/10.16981/kliss.42.4.201112.31
초록보기
초록

교육에 있어서 평가는 피교육자의 성장과 발달 정도를 확인하고, 교육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평가의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지필시험, 객관식 고사와 같은 전통적인 평가 방식이 갖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수행평가가 등장하였다. 수행평가는 피교육자가 과제를 완성한 정도나 상태를 바탕으로 평가하는 방법이다. 정보활용교육은 피교육자의 정보활용능력을 신장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수행평가는 정보활용능력의 상태나 정도를 측정하는데 매우 적합하다. 수행평가를 위해서는 먼저 수행과제가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 그러나 교수자가 수행평가의 요건을 모두 고려하여 수행과제를 개발한다는 것은 쉽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수자가 정보활용교육을 전개함에 있어서 수행과제를 쉽게 제작할 수 있도록 수행과제 개발도구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수행과제 개발 도구는 템플릿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4단계 즉, 교육목적 및 학습목표, 지식과 기능, 과제 유형, 측정 및 채점기준으로 구성하였다.

Abstract

In education, evaluation is an important element because instructor can judge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students, it has been to bring about quality improvement in education. Performance assessment has emerged to overcome traditional evaluation such as paper test, multiple choice test. Performance assessment is an approach to measuring a student's status based on the way the student completes a specified task.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is aimed at cultivating information literacy. Performance assessment suitable for measurement to status of Information literacy. In order to performance assessment, task should have the first. However, instructor is difficult to develop a good performance task to meet the assessment needs.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at suggesting the developmental tool of performance task applicable to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The proposed tool is a template type, consists of 4 steps, educational goals and learning objectives, knowledge and capabilities, task types, measurement and scoring criteria.

김홍렬(전주대학교) pp.51-67 https://doi.org/10.16981/kliss.42.4.201112.5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작은도서관 운영자를 대상으로 그들이 지각하고 있는 직무특성과 직무만족도를 조사하고자 한다. 또한 작은도서관 운영자들의 개인적인 차이를 파악하고 특정 직무를 지각하는 개인적인 특성과 직무만족도를 고려한 작은도서관 운영자의 선발과 충원, 직무배치로 조직의 운영과 정보서비스 제공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자고 하였다. 본 연구결과 결혼관계, 성별, 연령 등의 개인적 특성은 직무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자격증과 고용형태는 직무특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직무만족에 있어서는 결혼관계, 성별, 연령, 고용형태 등의 개인적 특성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job characteristics and the job satisfaction of the administrators in small libraries. Also, it is to catch individual differences between the administrators and provide the preliminary data which is helpful to the operation of organizations and offer of information service with selection, supplement of administrators in small libraries and employment placement which is regard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at perceive specific job, and the job satisfaction. As a result,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marital status, gender, and age, don't affect the job characteristics, but certificates, and formation of employment influences meaningfully to the job characteristics. It convinced that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marital status, age, and formation of employment, influence to the job satisfaction.

한윤옥(경기대학교) ; 조미아(경기대학교) pp.69-88 https://doi.org/10.16981/kliss.42.4.201112.6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의 주요 봉사대상자이며, 성격형성에 매우 중요한 시기인 청소년의 성격유형별 독서성향과 행태가 어떻게 다른지를 밝혀내어 성격에 기반한 예방적 차원의 독서지도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고학년생과 중학교의 학생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분석에 이용된 설문지는 총 583부(초등학교 324부, 중학교 259부)였다. 연구결과 개인적 적응, 사회적 적응, 문화적 적응 영역 모두 7-9개 주제항목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성격유형에 따른 독서교육 방안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ype and reading tendency of the youth who are main users in a public library and are in a very important period of character formation, and thereby to find out the possibility of bibliotherapy based on the personality type. For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through surveys with 538 students(324 senior year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259 middle school students). This study reveals that the reading tendencies are closely related with individual, social and cultural adaptation of the youth.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reading edu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type is expected to be developed.

노지현(부산대학교) pp.89-109 https://doi.org/10.16981/kliss.42.4.201112.89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다수의 어린이를 일상적으로 경험해 온 전문가의 관점을 통해 어린이의 목록 이용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과 한계에 대해 고찰하고, 더불어 어린이용 목록의 개발에 도움이 되는 기초 데이터를 확보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번 연구에서 밝혀내고자 시도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서들이 관찰한 어린이의 정보탐색 과정은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을까? 둘째, 사서들은 어린이의 목록 이용과 목록 이용 과정에서 나타나는 장애 요인에 대해 어떠한 경험을 축적하여 왔는가? 셋째, 어린이 전용 목록의 개발에 대해 우리 공공도서관 사서들은 어떠한 기대를 가지고 있는가? 마지막으로, 어린이용 목록의 개발과 관련하여 당면한 향후 과제는 무엇인가? 등이다. 연구에 필요한 데이터는 공공도서관에서 어린이 서비스를 담당하는 사서 29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면담조사를 통해 확보하였다. 연구의 결과, 사서들은 현행 목록이 어린이의 수준에 적합하지 않다고 느끼고 있으며, 어린이의 정보요구와 탐색행태에 기초한 어린이 전용 목록의 개발을 절실히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the essential data for developing kid's catalog in Korean public libraries. Focus was on the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librarians who have provided a service for the children. To the e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ildren's information behavior and search behavior of OPAC from the viewpoint of librarians, and figured out what barriers are confronted when children are looking for reading materials. On the basis of data, discussed in details are practical considerations for kid's catalogs to improve the information access of children.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and depth interview with 29 librarians in public libraries, and referred to the existing OPAC for the discussion.

이원숙(공주대학교) pp.111-136 https://doi.org/10.16981/kliss.42.4.201112.111
초록보기
초록

90년대는 일본 학생들의 문자이탈 현상 및 그에 따른 독해력 저하가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었던 독서의 위기 상황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을 전환점으로 삼아 학교도서관 및 관련 기관들은 관련 법률을 제정·개정하고, 학교도서관 및 독서관련 사업을 펼치는 등 다양한 방면에서 어린이 독서활동의 환경 정비에 주력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90년대부터 활발하게 진행된 학교도서관을 둘러싼 독서환경 정비를 위한 각계각층의 노력들을 소개하고 정리함으로써 일본 학교도서관의 거시적 환경을 이해하고 한국의 학교도서관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고한다.

Abstract

In the 90s, due the Japanese students’ degradation in reading comprehension from literacy escape, it was serious social phenomenon that brought reading crisis in Japan. However, school libraries and related institutions regarded this as a turning point and started to reset·revise their legislations and focused on environmental improvement of children’s reading activities from various aspects by conduction reading related activities. This study is to help understanding macro-environment of Japanese school libraries by introducing and summarizing all the efforts from each fields for restructuring reading environment mainly around the school libraries from 90’s in Japan.

황재영(국방과학연구소) pp.137-158 https://doi.org/10.16981/kliss.42.4.201112.137
초록보기
초록

최근 몇 년 동안 국내 도서관 현장에서는 도서관이 처한 경영상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수시로 변하는 이용자들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대안으로 주제전문서비스가 거론된 바 있다. 전문도서관 역시 주제전문서비스 도입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효율적인 운영 방안이 요구된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에 대한 체계적 연구사례는 없는듯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전문도서관에서 주제전문서비스가 어떻게 운영되고 있으며, 주제전문사서들은 주제전문서비스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해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주제전문서비스를 시행하는 전문도서관을 대상으로 주제전문서비스 운영 일반, 주제전문사서 채용과 교육 훈련, 주제전문사서의 역할, 주제전문서비스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와 애로사항 등에 관해 설문조사를 하였다. 마지막으로 전문도서관의 주제전문서비스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Recently, subject specialized service has been suggested as a solution to overcome a difficulty of library management and to meet the quickly changing needs of library users. Introduction of subject specialized service is raised to be introduced to special libraries and efficient management system is required. However, systematic study on the subject specialized service is very rare. This study investigates and analyzes how subject specialized service is operated in korean special libraries and how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recognize them. In order to analyzes and investigate, 8 special libraries was selected to survey general management of subject specialized service, recruitment and training issues of subject specialist librarian, their duties and overall evaluation and problem of subject specialized service. Finally the study attempts to suggest development strategies in order to improve subject specialized service in special libraries.

이기명(울산남부도서관) ; 이제환(부산대학교) pp.159-179 https://doi.org/10.16981/kliss.42.4.201112.159
초록보기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독서치료의 지적 기반을 전통적인 도서관서비스인 독자상담에 두고, 독자상담 영역에서 그동안 활용해온 이론과 방법에 근거하여 독서치료를 우리 도서관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를 강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도서관 선진국인 미국의 도서관 현장을 사례로 하여 독자상담과 독서치료와의 논리적 연계성을 검토해보고, 독자상담의 연장선에서 치료적 독자상담의 개념을 제시하였다. 더불어 치료적 독자상담의 실천을 위해 사서가 수행하여야 하는 역할을 컬다우(Kuhlthau)가 제시한 중재역할(zone of intervention) 모델에 근거하여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article intends to locate the logical basis to apply bibliotherapy as a library service in Korean libraries. To the end, investigated and discussed are the historical relationship between bibliotherapy and RAS(readers' advisory service), and the theoretical base and practical experiences that enabled bibliotherapy to be practical in the U.S. library community. This article introduces a concept of ‘therapeutic' RAS as a similar concept to ‘developmental' bibliotherapy, and suggests the roles of a librarian as a therapist, based on the “Zones of Intervention" by Carol Kuhlthau.

김보일(경기대학교) ; 조현양(경기대학교) ; 김종애(경기대학교) pp.181-201 https://doi.org/10.16981/kliss.42.4.201112.181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recent diversification of society surrounding libraries is influencing the services of libraries. This study suggested the directions of public library services from the aspect of the universal design based on the analysis of related systems and cases to provide all users with universal services in accord with the nature of public libraries amid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 This study suggests four directions: the “universal design” which is the keyword for pursuing universality of public library services; the pursuit of economic value of public library services based on the universal design; the universal design for the improvement of perception of public library services; change in policies and systems related to public library services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universal design.

장덕현(부산대학교) pp.203-221 https://doi.org/10.16981/kliss.42.4.201112.203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작은도서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장서개발 과정을 조사하여 그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 조사연구이다. 장서의 중요성과 주로 소규모장서로 운영되는 작은도서관의 특성에 비추어 볼 때 특히 작은도서관에 있어서 장서개발의 중요성은 재론할 필요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작은도서관은 자료구입 예산의 부족, 전문사서의 부재, 운영자의 비전문성과 과다한 업무, 잦은 이직 등으로 인하여 효과적인 장서구성에 어려움이 있으며 소장 자료의 질도 높지 않다는 것이 일반적인 관찰이다. 이러한 문제인식에 바탕하여 이 연구에서는 현재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작은도서관의 장서가 실제로 어떻게 개발되고 관리되는지 장서개발 과정을 파악하고, 업무과정에서 발생하는 제반 상황을 분석하여 실천적 문제들을 제기하고자 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작은도서관 현장에서 체계적인 장서개발이 이루어지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ge of collection development process in small libraries through case study to eleven small libraries in Yeongnam region. Library collection is the primary element of a library and collection development is the starting point of librarians' duty. The researcher recognized the problems observed in collection development process in the case small libraries and discovered the widespread obstacles restraining the future development. Through the visits and observations, aging book collections, lack of diversity in the form of materials acquired, imbalance in subject distribution, and the imbalance in circulation are identified. Suggestions are to be added: collection development duty can not be fulfilled without proper support by local governments. While small libraries penetrate into peoples' territory, Public libraries should seek to enhance and improve their service orientation as well as a cooperative network with these small libraries.

이승원(숭의여자대학) pp.223-241 https://doi.org/10.16981/kliss.42.4.201112.22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지방자치단체의 작은도서관 관련 조례에 제시된 작은도서관 지원 형태를 조사·분석하여 작은도서관에 대한 지원 방법을 제안하는데 있다. 광역자치단체 및 기초자치단체 조례를 분석한 결과 지방자치단체의 작은도서관에 대한 지원은 직접적인 지원과 간접적인 지원으로 구분할 수 있다. 직접적인 지원은 예산 지원이며, 간접적인 지원은 공공도서관과 상호협력, 운영인력에 대한 교육, 자원봉사자 지원 등이 포함된다. 지방자치단체의 작은도서관 지원 방향에 대해서, 공립 작은도서관은 직접적 및 간접적 지원 모두가 이루어져야 하지만, 사립 작은도서관에 대해서는 간접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supporting small libraries through investigating the ordinances of local governments. Based upon identifying of ordinances, there are direct and indirect supports for small libraries from local governments. Direct support is provide budget to small libraries and indirect supports are a cooperation between public library and small library, instruction for library staff, and supporting volunteers. Supporting methods for public small library are direct and indirect supports, but method for private library is indirect support.

김정현(전남대학교) pp.243-262 https://doi.org/10.16981/kliss.42.4.201112.243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근골격계 질환의 발생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요인들에 대해 20개 대학도서관 300명(266명 응답)의 사서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응답자의 62.5%가 근골격계 질환 자각 증상을 호소하였다. 근골격계 증상의 요인들을 분석한 후, 각 부위별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을 독립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즉, 목의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근무조건 만족도였으며, 근무 만족도가 높을수록 목 부위의 증상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어깨부위의 증상에 대해서는 근무 만족도, 작업강도, 식사시간이 설명변수로 선택되었다. 식사시간이 불규칙적일수록, 작업강도가 높을수록, 근무 만족도가 낮을수록 증상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중에서도 특히 근무 만족도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팔․팔꿈치에서는 숙련도가 설명변수로 선택되었으며, 업무 숙련도가 높을수록 증상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손가락․손목을 설명해주는 설명변수로는 업무 스트레스가 선택되었으며, 업무 스트레스가 많을수록 증상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등·허리에서는 작업강도, 직장 만족도가 설명변수로 선택되었고, 작업강도가 높을수록, 직장 만족도가 낮을수록 증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무릎·다리의 경우 흡연여부가 선택되었으며 비흡연자일수록 증상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usculo-skeletal symtoms and working conditions of university library's librarians to search for the risk factors related to musculo-skeletal symptoms. The study subjects were 266 librarians who were working at 20 university libraries. A self-recording questionnaire was used to investigat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working conditions, job intensity, job satisfaction and stress, education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nature of musculoskeletal symptom.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by using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complaint proportion of self-reported positive musculoskeletal symptoms was 62.5% and that of severe musculoskeletal symptoms was 26.1%.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low satisfaction of working conditions, high job intensity, irregular mealtime, job stres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positive rate of musculoskeletal symptoms.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reduce the prevalence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improving working conditions and mitigating the job intensity.

박소연(덕성여자대학교) pp.263-280 https://doi.org/10.16981/kliss.42.4.201112.26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 검색 포털들의 전반적인 모바일 통합 검색 현황을 조사하고, 네이버와 구글의 모바일 통합 검색 컨텐츠를 분석, 평가하였다. 즉 이 연구에서는 네이버와 구글을 대상으로 검색 결과에 노출되는 문서 수, 검색 결과 문서들의 컬렉션별 분포, 작성 연도별 분포와 같은 특징을 조사하고, 문서의 적합도, 최신성, 신뢰도 등을 평가하였다. 또한 네이버의 통합웹 베스트와 통합웹, 구글의 베스트 웹문서와 웹문서의 품질을 비교하였으며, 문서의 순위와 문서의 적합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포털의 효과적인 모바일 통합 검색 서비스의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current status of mobile search services of Korean search portals, and analyze mobile unified search contents of Naver and Google Korea. In particular, this study analyzed characteristics of mobile unified search such as number of retrieved documents, collection distribution, and yearly distribution. Also, documents were evaluated in terms of relevance, credibility, and currency. This study compared quality of Naver's unified Web best and unified Web, and Google's best Web documents and Web documents. The correlation between document's ranking and document's relevance was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implemented to the portal's effective development of mobile search service.

장보성(중앙대학교) ; 남영준(중앙대학교) pp.281-309 https://doi.org/10.16981/kliss.42.4.201112.281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전자기록물의 첨부물 형태로 수집·관리되는 디지털 연구성과물의 장기보존을 위한 메타데이터요소를 설계하여 제안하였다. 설계는 국내외 연구성과물을 관리하는 기관의 메타데이터 구조와 CERIF와 PREMIS 보존 메타데이터를 참고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디지털 연구성과물의 장기보존을 위한 메타데이터 구조를 연구정보, 서지정보, 기록정보로 구분하였다. 연구정보는 과제, 인명, 기관으로 구분하였으며 8개 상위요소, 29개 하위요소로 구성하였다. 서지정보는 연구성과물인 연구보고서의 서지사항에 대한 요소로써 하위요소 없이 13개의 상위요소로 구성하였다. 기록정보는 연구성과물의 생산을 보고한 전자기록물의 맥락, 구조, 내용, 관리과정에 대한 요소로써, 18개 상위요소와 62개 하위요소로 제안되었다.

Abstract

This research designed and proposed metadata elements for the long-term preservation of digital research outcomes collected and managed in electronic file form. Metadata structure of both domestic and foreign agencies that manage research outcomes and CERIF and PREMIS-preserved preservation metadata were referred to design the metadata elements. The metadata design was divided into research information, bibliographic information and archival information. Research information is divided into project, name and institution, and composed of eight top-level elements and 29 sub-level elements. Bibliographic information is composed of 13 top-level elements as the source of research reports. Archival information is composed of 18 top-level elements and 62 sub-level elements as the elements for context, structure, contents and management process of the electronic records.

김영석(명지대학교) pp.311-330 https://doi.org/10.16981/kliss.42.4.201112.31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도시인 서울을 선정하여 기초자치단체의 재정자립도와 공공도서관 건립·운영 사이에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조사·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기초자치단체의 재정자립도와 공공도서관 건립·운영사이에는 역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즉, 일반적으로 예상되는 것과는 다르게 대체로 재정자립도가 낮은 자치단체가 오히려 더 많은 공공도서관을 건립․운영하고 있으며, 도서관 예산도 더 많이 배정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서울시의 경우 재정자립도가 낮은 자치구가 공공도서관 건립․운영에 더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하겠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the financial independence and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public libraries in 25 local governments in Seoul. It was revealed that there is an inverse correlation between them. According to the results, differently than expected, the local governments with low degree of financial independence generally built and operate more public libraries and assign more library budgets than the local governments with high degree of financial independenc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local governments with low degree of financial independence show more interest in building and operating public libraries.

오삼균(성균관대학교) ; 김성훈(성균관대학교) ; 장원홍(LG상남도서관) pp.331-351 https://doi.org/10.16981/kliss.42.4.201112.33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근래 W3C의 특별 작업반 형태로 운영되어 온 도서관 링크데이터(LLD : Library Link Data) 관련 국제 활동상황을 분석하고, LLD가 도서관 서비스에 미칠 혜택을 사례연구를 통해 우선 숙고한 후, 보다 의미 있는 LLD를 위한 글로벌 식별체계, 이용 가능한 어휘와 데이터셋의 연결 문제 및 RDF, SKOS, Microformats, RDFa 등의 LLD 적용 방안을 논하는 것이다. 아울러 LLD 수용 및 LLD 기반 신 정보서비스 구축의 장애 요인들을 분석하고, 그 분석의 바탕 위에 LLD 기반 신 디지털정보시스템 설계 및 LLD 확산을 위한 권고사항을 제시한다.

Abstract

This paper analyzes the activities and recommendations of W3C LLD Incubator group and investigates the benefits of Library Link Data through case studies. It also discusses the necessary global identification systems for developing useful LLD as well as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linking available vocabularies with existing data sets. Ways to apply RDF, SKOS, Microformats, and RDFa to LLD are presented. the many challenges related to establishing LLD-based information services and the various barriers that prevent libraries from accepting LLD are also identified. Finally this paper presents a new LLD-based digital information system and provides some recommendations on how to promote and expand LLD in Korea.

장임숙(부산대학교) ; 장덕현(부산대학교) ; 이수상(부산대학교) pp.353-374 https://doi.org/10.16981/kliss.42.4.201112.35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한국 다문화 지식체계의 구조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2005년부터 2010년까지 발행된 등재(후보)학술지에 수록된 다문화분야의 논문에서 저자가 부여한 키워드를 중심으로 동시단어 네트워크를 생성하고 k-core 분석을 수행한다. 먼저, 2010년까지 주요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들을 중심으로 한국의 다문화 연구의 현황을 살펴보고, 다문화분야의 핵심 연구주제를 추출한다. 둘째, 다문화연구가 집중적으로 생산되기 시작한 2005년부터 2010년까지의 연구 논문을 대상으로 연도별 다문화 지식구조의 변화 추이를 분석한다. 셋째, 2005년부터 2010년까지 다문화연구가 활성화된 학문분야를 중심으로 분야별 핵심 주제와 다문화 지식구조의 특성을 비교분석한다.

Abstract

Analyzing research paper published from 2005 to 2010, this study aims for analysing the research paradigm on multi-culture and understanding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multicultural knowledge via scientometric. Co-word network constructed by keywords in documents and their co-occurrence relationships is a kind of mapping knowledge structure. A total of 4,521 and 1,373 papers published between 2005 and 2010 were retrieved from the KRF Registered Journals and Proposed Journals. This paper employs k-core analysis method in the field of mapping knowledge structure to analyze keyword co-occurrence network of multicultural research in Korea. And Netminer 3 is employed to visualize the networks in this paper.

안인자(동원대학교) ; 윤소영(한국문화관광연구원) ; 차성종(도서관정보정책기획단) pp.375-393 https://doi.org/10.16981/kliss.42.4.201112.375
초록보기
초록

작은도서관이 공공도서관의 영역에 포함되면서 작은도서관의 제도적 보완, 지원 정책틀 마련, 운영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결정을 하여야 하는 시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정책결정 도구로서 도서관통계가 충실하게 이루어지도록 작은도서관 통계지표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현재의 작은도서관통계(문고)는 2008년 마련된 공공도서관 통계의 틀에 일부항목을 수정하여 국가도서관통계에서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항목의 불합리성으로 91.3%의 무응답율과 수집된 데이터의 오류가 상당히 많다. 본 연구에서 개선을 위하여 작은도서관 현황조사 4종, 평가기준 7종을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2차에 걸친 자문회의, 경기도 지역의 3개 지자체 작은도서관 108개관의 현장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개선된 통계지표를 제시하였다. 제시된 통계는 7개 영역 37개 항목이다.

Abstract

As small libraries are now considered as public libraries, it is time to discuss a policy decision for institutional complement, supporting policy frame, and activating management of small libraries. There is a need to improve statistical indicators of small libraries, as an effort to improve library statistics as a whole. Small libraries in National Library Statistics have been using an altered version of 2008 library statistiscal frame, which was solely designed for public libraries. However, due to the inadequacy of indicators, results show 91.3% of missing values and high rates of errors in collected data. This research select the key statistical indicators for small libraries by analyzing 4 researches of present states and 7 researches of measuring indicators. The research, therefore, proposed an improved version of statistical indicators, by advising of the professional groups in the small library statistics and estimation and investigating of 108 small libraries in GyeongGi-Do Area. There are 7 categories and 37 items in the proposed statistics.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