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윤희윤(대구대학교) pp.5-24 https://doi.org/10.16981/kliss.41.3.201009.5
초록보기
초록

지난 60년 이상 국내의 공공도서관은 지역단위로 사회적, 교육적, 문화적 복리에 중요하게 기여하여 왔다. 이러한 기여에도 불구하고 현재 공공도서관은 위기상황에 처해 있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만약 현재의 위기가 심각한 수준이라면 도서관과 사서직은 극복하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이 논문의 목적은 어골도 기법을 적용하여 도서관 위기를 초래한 다양한 요인을 분석하고 극복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Abstract

For over 60 years, public libraries in Korea has made an essential contribution to the social, educational, cultural well-being of local communities throughout the country. In spite of these contributions, the public library is regarded as being in crisis. If the current crisis is serious situation, the library and librarian should seek ways to overcome the such crisis. The aim of the paper is to analyse the various factors of the current crisis through an fish-bone diagram and to suggest the solutions to overcome the crisis.

윤정옥(청주대학교) pp.25-46 https://doi.org/10.16981/kliss.41.3.201009.25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에서는 2009년 조선일보가 주관한 “시골학교에 도서관을” 캠페인에 신청한 119개 시골 초등학교 도서관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 학교들의 신청서를 내용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검토하고, 시설, 장서, 환경의 측면에서 현황과 특성을 기술하였다. 이 학교도서관들은 전체 장서 규모, 1인당 장서 증가 규모 등 수치상으로는 무난하다고 보인다. 그러나 거의 공통적으로 낡고 열악한 시설, 장서의 부족, 불균형과 낮은 질, 재정지원의 부족, 문화적 고립 등 문제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이 전형적 시골학교 도서관이 아니라고 해도 통계 수치만으로 알 수 없는 학교도서관 현실의 일면을 보여준다. 이 연구에서는 지방자치단체와 교육청 등의 인식 변화와 재정 지원이 가장 시급한 해결책임을 인식하고 다음을 제안하였다: 첫째, 학교도서관 관련 정책이 유권자들의 관심거리임을 주지시켜야 한다. 둘째, 기존의 각종 도서관 평가와 시상제도의 가시성을 활용해야 한다. 셋째, 각종 도서관 평가에서 질적 측면을 강화해야 한다.

Abstract

In this research the current situations of libraries of 119 rural elementary schools are examined. These schools are the applicants for the ‘Campaign for Libraries for Rural Schools’ sponsored by Chosun Ilbo in 2009. Through the content analysis of their applications, the factors of facilities, collection, and environment are described. One the surface, most of these applicants look fine with the current size of collection and annual additions. They, however, commonly document the extremely poor conditions of facilities, unbalanced and low quality of books, lack of financial support, and cultural isolation. Even though they are not the typical rural school libraries, it seems urgent to improve their inferior conditions that any library statistics never shows in numbers. In this research, it is considered significant to make local governments and offices of education change their attitude toward rural school libraries and increase their financial support to them. The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let them know that school library policies concern the voters in communities; Second, use the visibility of various authoritative library assessments and awards; Third, strengthen the qualitative aspect of library evaluations.

이시영(광주대학교) pp.47-67 https://doi.org/10.16981/kliss.41.3.201009.47
초록보기
초록

오늘날 대학도서관 사서는 변화된 환경적 요인에 의해 전문직으로서의 그 직업적 정체성과 안정성을 위협받고 있다. 따라서 대학도서관 사서는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정보환경과 교육환경에 신속하게 적응하고 이용행태 변화에 따른 정보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역할을 변화시킴으로써 그 존재 가치를 상승시킬 수 있을 것이며 그동안 지켜온 사서로서의 정체성을 유지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사서의 전문직으로서의 직업적 정체성을 위협하는 요소가 무엇인지를 현상과 문헌을 통해 파악하고 안정된 환경에서 전문가로서의 자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하기 위한 대처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Abstract

These days, librarians working at university libraries have been suffering from uncertainty about their professional identity and their position stability by ever-changing circumstances. Therefore, librarians at university libraries have to adapt quickly to the informational and educational environment which are constantly changing. They have to alter their role to meet information needs of users and only then can boost their value to maintain their longstanding identity as an expert on information storage and acc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factors which threaten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librarians working at university libraries by analyzing the literature and phenomena and to research an effective counterplan to create conditions for librarians to take pride as professionals in stable circumstances.

강숙희(인천대학교) pp.69-98 https://doi.org/10.16981/kliss.41.3.201009.69
초록보기
초록

본 논문은 국립중앙도서관의 협력망 사업과 전국 공공도서관의 상호협력 현황을 살펴보고, 인천광역시 공공도서관의 일반 현황과 협력사업의 실태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의 확충과 범위의 확대라는 환경변화를 고려하여 인천광역시 공공도서관 상호협력업무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인천광역시 공공도서관 상호협력업무의 개선 방안으로는 ① 상호협력의 기반으로서 단위공공도서관의 인프라 강화, ② 지역대표도서관의 위상 강화 및 도서관정책수립 기구의 실효성 있는 운영, ③ 운영주체의 다원화 극복 및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④ 거점도서관의 지정 운영, ⑤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지역별 공공도서관 특성화의 추진, ⑥ 기존의 공공도서관 협력사업의 개선 및 확대 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reviewed the library cooperation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regional public libraries in Korea, and analyzed the actual condition and cooperation program of public libraries in Inche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posed some directions to improve cooperation among public libraries in Incheon as follows: to strengthen infrastructure of local public libraries; to build up the position of regional representative library and set up effective management of library policy organization authorities; to resolve the problems derived from multiple administrations and harmonize communications among public libraries; to appoint and administer strongpoint libraries; to specialize local libraries concerning characteristics; to expand and improve the existing library cooperative programs such as shared purchasing, interlibrary loan, preservation, cooperation with small libraries etc.

남영준(중앙대학교) ; 정경애(중앙대학교) pp.99-131 https://doi.org/10.16981/kliss.41.3.201009.99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지난 5년 동안 수행된 학교도서관 활성화사업의 결과로 거의 모든 학교에 도서관이 설치된 상황에서 미흡한 분야를 점검하고 앞으로 수행할 분야를 개발하여 학교도서관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학교도서관 평가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문화체육관광부의 2009년 평가지표, 교육과학기술부 정책연구 평가지표, 선행연구인 학교도서관의 BSC 성과지표, 한국도서관협회 학교도서관 평가기준을 분석하고 교육과학기술부의 2단계 학교도서관 진흥 기본 계획과 「학교도서관진흥법」, 교육과학기술부의 시․도교육청 평가지표를 분석함으로써 8개 영역 54개의 평가지표를 개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8개 영역 48개의 평가지표를 제시하였다. 한편 이 연구에서 제시한 평가기준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분석결과에 대한 검증은 1차적으로 학교도서관 관련전문가를 통해 검토가 이루어졌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2차 평가는 학교도서관 담당 교사를 통해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연구한 평가지표에 대해서는 2단계 검증을 수행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evaluation index for school library in order to find ways to continue the improvement of school library by examining deficient areas and developing necessary areas, in which almost every school have libraries as a result of school library promotion project for last five years. To fulfill this, the research analyzed 2009 evaluation of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MCST), policy research evaluation index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MEST), BSC product index of school library from preceding research, school library evaluation standard of Korean Library Association (KLA), two-phased base plan and school library promotion law of school library promotion of the MEST and evaluation index of municipal/province education agency of MEST, and thereby developed 54 evaluation index from 8 areas. The research ultimately presents 48 evaluation index from 8 areas. Also, analysis result was first verified by school library experts to increase credibility of the evaluation standard of the research. Based on the result, second evaluation was done by school library faculty staff, and thus went through two-phased verification process.

김정현(전남대학교) ; 이병기(공주대학교) ; 서경은(중앙여자고등학교) ; 김성준(이리여자고등학교) pp.133-154 https://doi.org/10.16981/kliss.41.3.201009.133
초록보기
초록

교육과학기술부는 교원능력개발평가를 도입하면서 사서교사를 평가하기 위한 평가지표와 문항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교원능력개발평가에 제시된 사서교사의 평가지표와 문항의 타당성을 분석하고, 분석과정에서 제안된 문제점을 종합하여 새로운 평가지표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현 평가지표는 사서교사의 교육활동과 서비스 대신에 시설과 장서의 관리에 중점을 두고 사서교사를 평가하는 구조로 되어 있고, 제시된 지표의 대표성과 체계성에 있어서도 많은 문제점이 드러났다. 이 연구에서는 사서교사의 전문성을 타당하게 평가하기 위해 문헌연구, 전문가 검토, 실증연구의 과정을 거쳐서 12개 지표로 구성된 새로운 사서교사 평가지표와 새 지표에 적합한 동료교원, 학생, 학부모의 평가문항을 개발하였다.

Abstract

With the introduction of new teacher evaluation system, teacher librarians' evaluation indicators and questions were presented for the first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validity of current indicators and questions and to develop new one, based on it. The result is as follows : Current indicators mainly focus on the management of school library facility and collection, not on teacher librarians' educational activities and have the low validity to evaluate the expertise of teacher librarians. As a result, this study will suggest new evaluation indicators and questions to evaluate their expertise appropriately.

남태우(중앙대학교) pp.155-183 https://doi.org/10.16981/kliss.41.3.201009.155
초록보기
초록

도서색인은 일종의 위치탐색 장치체계로서, 일반적으로 텍스트에 나오는 용어의 집합과 텍스트 속에서 그 용어가 출현하는 위치를 연결해 주는 역할만 한다. 반면에 DDC 상관색인의 용어는 페이지 수를 지시하기 보다는 분류번호나 혹은 본표에서 발견될 수 있는 이에 상응하는 범주어들을 가리킨다. DDC 색인은 DDC의 탄생 이상으로 그 중요성이 높다. 그래서 연구의 목적은 DDC 색인을 연구하는데 두었다. 상관색인은 본표나 보조표와는 정반대로 ‘표목+관점+분류기호’로 구성되어 있다. DDC에서 최초로 응용한 상관색인의 특성을 분석하여 그 기능을 종합하였으며, 또한 DDC 상관색인의 구조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Abstract

A book index is a locater system that ordinarily connects a set of terms from a text of a book to the page where they occur in the book's text. The DDC Relative Index differs somewhat in both of this matters. Its terms refers to classification notations and their corresponding category statements as found in the schedule text rather than to page numbers. The index is the final equipment of a classification scheme. The index is of primary importance to any classification schem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DDC Relative Index.

이제환(부산대학교) pp.185-203 https://doi.org/10.16981/kliss.41.3.201009.185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정보행태에 있어 국민성이 갖는 의미에 주목하면서, 정보행태에 대한 집단적 요인과 개인적 요인의 비중을 상대적으로 가늠해 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국민성을 대변하는 요소로 국적과 성격(의존성)을 선정하였으며, 정보행태를 대변하는 10개의 지표를 개발하였다. 논의에 필요한 데이터는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는데, 158명의 한국인 대학생과 183명의 일본인 대학생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수집한 데이터에 근거하여 변인들 사이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국적과 의존성의 상대적 비중을 가늠하기 위한 ANOVA 검증을 실시하였다. 통계적 분석의 결과, 상대적 비중에 있어 국적의 영향력이 의존성의 영향력보다 크며, 집단적 요인의 비중이 개인적 요인의 비중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discusses the meanings of nationality in information behaviour. In this study nationality was represented by citizenship and group personality(here, dependency) Surveys were conducted for data collection, and a questionnaire were completed by 331 participants(158 Korean students and 183 Japanese students). Simple frequency tests and chi-square test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proposed relation between citizenship and information behavior, that between dependency and information behavior. Also conducted was two-way ANOVA test to examine the relative significance of two independent variables(citizenship and dependency) in information behavior. The results of chi-square tests showed that both variable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information behavior although the relationship was partially significant. And the results of ANOVA test showed that between the two variables, citizenship was more significant than dependency.

한경신(한남대학교) pp.205-224 https://doi.org/10.16981/kliss.41.3.201009.2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자료 중 1차자료로서 모든 음악활동의 기초가 되는 악보자료의 활용을 위한 효율적인 관리의 기초를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악보자료에 대해 문헌연구를 통해 악보자료 관리에 대하여 선정 및 수집․조직․이용서비스에 대한 제반사항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를 기초로 현재 대전․충남지역 대학도서관의 악보자료 관리현황에 대해 조사한 후, 현재 악보자료 관리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후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과제를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base for the rational management of printed music as an important primary source of music materials. In this study, therefore, the selection and acquisition, organization, user services for the management of printed music are investigated. Then the present situation for management of printed music of university libraries in Daejeon and Chungnam are surveyed. Finally, the special issues to be considered in the management of printed music are presented.

권은경(대구대학교) ; 김종성(계명대학교) pp.225-248 https://doi.org/10.16981/kliss.41.3.201009.225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울산광역시교육청으로부터 학교도서관지원센터로 지정된 울산중부도서관이 지원센터로서의 역할, 지원해야 할 업무, 지원 우선순위 등을 파악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으로 교육청의 2009년도, 2010년도 학교도서관 통계 데이터를 분석하여 학교도서관 현황을 파악하였고 사서교사 및 학교도서관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지원 업무의 종류와 중요도를 식별하였다. 지원 업무에는 교육청이 주도해야 할 정책적 지원으로 인력 지원, 장학체계 확립, 도서관 자원 확충, DLS 센터와 학교도서관 지원센터의 통합 운영 등이 있고 공공도서관이 중심이 되어 추진해야 할 업무 지원으로는 다양한 연수 프로그램 개발, 외부강사 정보 풀 운영, 지원 협력 체제에 대한 홍보 강화 등이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opose the functions of the School Library Support Center of the Ulsan Metropolitan City. The findings are based on the 2009 and 2010 statistics of the school libraries in the Ulsan Metropolitan City, and a questionnaire survey that was conducted for teacher librarians and the class teachers who manage their school libraries without a Library Science degree. The proposed tasks of the School Library Support Center fall into two categories: administrative and practical. Administrative tasks include assigning teacher librarians to schools, expanding library resources, and establishing an integrated supervision system for both school libraries and student reading programs. Practical tasks include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informing library program providers to school, and public relations programs about the Center's services.

김영석(명지대학교) pp.249-267 https://doi.org/10.16981/kliss.41.3.201009.249
초록보기
초록

철저한 계획도시인 신도시는 도시건설 과정에서 주민들에게 필수시설인 공공도서관을 건립할 수 있기 때문에 도서관 인프라를 확충할 때 기성도시보다 훨씬 수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1기 수도권 신도시 중의 하나인 B신도시를 선정하여 이 도시 건설과정에서 공공도서관 건립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조사․분석하였다. B신도시의 경우 주민 입주 시기 전 그리고 신도시 건설 완료 전에 공공도서관이 건립되지 못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고, 현재까지 건립된 공공도서관의 수도 부족하다. 결론적으로 B신도시 건설 과정에서의 공공도서관 건립은 미흡한 점이 많다고 하겠다.

Abstract

Establishing public libraries is more convenient in new towns than in older cities. This is because public libraries can be established during the construction of new towns. This study examined how public libraries were built in B new town, which is one of the first new towns constructed in the capital region of Korea. B new town has problems that not even one public library was operated before the people moved to the B new town and that establishing public libraries was not finished when the construction of the new town was completed. The number of public libraries is not enough in B new town. In conclusion, there are many problems in establishing public libraries in B new town.

이승민(중앙대학교) pp.269-290 https://doi.org/10.16981/kliss.41.3.201009.269
초록보기
초록

각각의 시소러스가 지닌 고유한 특성 및 상이한 구축목적으로 인해서, 하나의 시소러스를 이용하여 특정 도메인의 정보를 조직하고 검색하는데 여러 가지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시소러스의 통합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물리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시소러스인 PACS와 PIRA를 선정하여 이들 시소러스를 개념적으로 통합할 수 있는 패싯 프레임워크를 구축하였다. 이들 두 시소러스를 연결하기 위해 물리학 분야 전체를 다룰 수 있는 계층구조를 구축하였고, 이 계층구조에 패싯분석을 적용함으로써 각각의 주제 사이의 관계를 설정할 수 있는 하나의 지식기반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이 개념기반 패싯 프레임워크를 통해 보다 효율적으로 정보를 조직하고 검색할 수 있는 접근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Abstract

Applying one specific thesaurus might cause several problems because each thesaurus has its own characteristics inherited from its construction process. Therefore, integration of thesauri can be an appropriate approach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This current research selected physics as a domain and two thesauri in the domain: PACS and PIRA. By integrating these two heterogeneous thesauri, this research could construct a conceptual structure that covers the whole concepts related to physics. By constructing the conceptual structure with the use of facet analysis from integrated thesaurus, it provides knowledge base with hierarchical structure and clear relationships between concepts. It can be an alternate approach to effective and efficient information retrieval and knowledge discovery.

오동근(계명대학교) ; 여지숙(계명대학교) ; 최성열(경북과학대학교) pp.291-307 https://doi.org/10.16981/kliss.41.3.201009.291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에서는 대구광역시의 공공도서관과 문예회관에서 운영하는 문화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수강자들의 인식과 만족도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도서관 수강자들은 전반적인 만족도와 충성도, 프로그램 내용 및 강사 품질을, 문예회관 수강자들은 기관의 지원 및 제반서비스와 시설 및 환경에 대해 더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서관 수강자의 고객만족도(LCSI)는 78.02점으로 나타났으며 문예회관 수강자의 고객만족도는 77.22점으로 산출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articipants' perception and satisfaction score for culture and education programs operating in public libraries and culture & art centers in Daegu Metropolitan City. Attendees of the public libraries' programs have higher overall satisfaction, customer loyalty on the contents of the program and lecturers than those of the culture & art centers' programs. Attendees of the culture & art centers' programs rated staff supports and services, facilities and educational equipments higher than those in the public libraries' programs. This study calculates the LCSI score in public libraries(78.02) and culture & art centers(77.22).

장보성(중앙대학교) ; 김은정(중앙대학교) ; 남영준(중앙대학교) pp.309-327 https://doi.org/10.16981/kliss.41.3.201009.309
초록보기
초록

공공도서관의 서비스는 나이, 인종, 신분 등과 관계없이 누구에게나 평등하게 제공되어야 한다. 하지만 장애인들은 도서관 이용과 서비스 활용 측면에서 막연한 두려움과 불안감으로 공공도서관을 불편한 공공시설로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애인들이 공공도서관을 이용함에 있어서 느끼는 도서관불안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한다. 이를 위해 한국형 도서관불안 측정도구(K-LAS)를 가지고 지체, 시각, 청각, 뇌병변 장애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그 결과 대체로 장애인들은 도서관직원과 심리적․정서적 영역에 대한 불안이 높았으며, 성별, 나이, 장애유형, 도서관방문빈도, 방문목적에 따라 도서관불안의 정도 차이가 매우 높았다.

Abstract

Regardless of age, ethnic group, status, public library service should be provided equally to everyone. However, people with disabilities have been recognized as a uncomfortable facility for public library. In this study was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library anxiety of public library handicapped users utilize K-LAS. As a result, Library anxiety is very differed according to sex, age categories, disability type, the frequency of library visit, purpose of visit, Especially, the factor on library staff and psychological․emotional factor was high.

이명규(전남대학교) pp.329-349 https://doi.org/10.16981/kliss.41.3.201009.329
초록보기
초록

판권기는 당해 도서와 관련된 서지사항을 한곳에 모아 표기한 것으로 도서의 말미나 표제지 이면에 위치한다. 판권기는 목록작성에 필요한 서지사항의 정보원, 저작권과 관련해서 필요한 사항, 독자에게 제공하는 유용한 정보원 등의 기능을 한다. 우리나라에서 고서가 아닌 신서의 출판은 1900년대 초부터 시작한다. 그리고 도서의 판권기 기재요소는 사회문화적 환경의 변화에 따라 변하였다. 판권기 기재요소 중에서 1900년대 초부터 지금까지 변함없이 표기되는 요소는 표제 및 책임표시사항, 발행지, 발행처, 발행년, 가격 등이며, 사회 제도적 변화에 따라 추가로 표기되는 요소는 판표시, ISBN, 발행처 등록, 출판사 연락처, 저자약력 등이다. 반면에 생략되는 요소는 저자주소, 계좌번호, 검인지 등이다. 향후에 판권기 요소에 도서의 크기가 표기되길 바란다.

Abstract

Colophon means an element to describe bibliographic areas of the concerned book on the specific space like a back of the title page or the last page of a book. Colophon functioned as an information source when cataloging in a library, an area concerning the copyright and as an useful information to readers. The publication of a new book has begun since early 1900s in Korea. And the element of the colophon is dependent on changes in the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Among the element of the colophon early 1900s until now, the elements consistently appear on the title and the author, a place of publication, a publisher, the date of publication and the price. Additional the elements according to the change of social environment are the edition, ISBN, the registration of publisher, the address of publisher and an author career. On the other hand, omitted elements are the address of author, the account number and the seal. In the future, the size of the book is additionally wanted to describe in the colophon.

이명희(상명대학교) ; 이인순(상명대학교) pp.351-372 https://doi.org/10.16981/kliss.41.3.201009.351
초록보기
초록

다양한 영화자료의 적극적인 활용과 공유를 위해서 기존의 주요 분류표인 DDC, KDC, LCC의 분류체계를 알아보고, 영화자료의 특성과 함께 기존의 분류체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연구가 수행되었다. 세 체계를 비교한 결과, DDC와 LCC 분류표의 영화관련 항목은 비교적 상세히 전개되어 있었으나 KDC 5판의 영화 관련 항목 수는 매우 미흡하여 영화자료를 포괄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DC 5판에서는 영화자료의 분류가 4개 강 하에 22개의 하위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었지만 본 개선안에서는 9개의 강 하에 53개의 하위 항목을 세분하여 전개하였다. 특히 개선안에는 영화인물, 영화장르, 영화제, 각국의 영화 항목을 추가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classification schemes of KDC in the fields of motion picture materials. Classification schemes of the KDC, DDC and LCC for motion picture materials were analyzed and compared. From the results, KDC was found to be the least suitable classification system to handle motion picture materials because it had very poorly detailed subdivisions of items and incomplete subsidiary tables to develop some subject items to represent various aspects of motion picture fields. Some suggestions to cover the deficiencies of KDC for motion picture fields were made in terms of 9 subdivisions and 53 sub-items. Particularly, new subdivisions of ‘types of genre', ‘motion picture festival', ‘worldwide motion pictures' and ‘people related to motion pictures' were added.

김은하(고려대학교) pp.373-389 https://doi.org/10.16981/kliss.41.3.201009.373
초록보기
초록

이제까지 개발된 많은 어린이 대상의 독서교육 프로그램은 사서모임이나 교사모임, 어린이책 시민단체, 연구자 집단, 독서관련 사기업, 출판업계 등 직무와 관련된 단체별로 진행되어 왔다. 따라서 개별 단체 내에서는 독서교육에 대한 성과와 노하우가 상당히 축적되고 공유되었으나, 단체 간의 상호교차적인 정보와 기술의 교환은 활발하지 못했다. 그 결과 다른 전문가 집단의 성과를 어린이 사서가 공유하고, 자신의 경험에 대해 다른 전문가 집단과 논의할 수 있는 기회가 희박했다. “책수리마수리"는 책을 매개로 어린이와 청소년을 만나는 다양한 직종의 사람들이 모여 만드는 독서교육 프로그램이다. “책수리마수리" 프로젝트가 시범적으로 이루어진 2010년의 경우, 연구자, 공공도서관 사서, 학교도서관 사서, 초등학교 교사, 그림책 작가, 코디네이터 사서가 한 팀이 되어 ‘크기'를 주제로 다양한 독서교육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전문가 협력을 통해 어린이 사서는 잘 만들어진 프로그램을 이식하는 전달자를 넘어서 프로그램의 개발에서부터 진행까지 주체적으로 관여하며, 다양한 분야의 전문성을 가진 인적자원의 네트워크와 함께 활동할 수 있게 된다.

Abstract

Bookmagic is a new reading program that encourages children of 5-15 ages to enjoy reading. Bookmagic provides free downloadable resources such as pre-reading and after-reading activities, booklists, posters and awards. Since a number of reading programs have already been developed, published and used, Bookmagic is not a toally new project. However, it is distinguished by the process of creating the program. While most of the reading programs available in Korea were developed by individual occupations(academic experts, private enterprises, civic organisations, associations of librarians or teachers), Bookmagic was designed by a team of various professionals including a picture book author, an academic researcher, a primary school teacher, a school librarian and two public librarians. Working in a partnership with other professionals, participant librarians had a unique opportunity to develop expertises on reading education as a creator of a program rather than as a deliverer.

이수상(부산대학교) ; 장임숙(부산대학교) pp.391-419 https://doi.org/10.16981/kliss.41.3.201009.391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이주노동자를 대상으로 정보리터러시(information literacy)의 수준이 높은 집단과 그렇지 않는 집단을 비교분석하여 정보리터러시 격차(information literacy gap)를 야기하는 요인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이주노동자와 NGO 실무자에 대한 심층인터뷰를 통해 정보리터러시 격차를 야기하는 다양한 요인들의 작용을 발견하였다. 조사 결과, 이주노동자의 정보리터러시 격차는 연령, 결혼여부, 직업에 영향을 받을 뿐 아니라, 한국어교육 및 정보활용교육의 차이, 정보기술에 대한 적응력, 사회활동에 대한 적극성, 사회연결망 등의 개인적 차이와 함께 기술적․경제적․사회적․정책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다차원적이고 복합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문화정보서비스를 위한 거버넌스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 that brings about information literacy gap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group with high level and not so high level information literacy for migrant workers and to seek policy to clear the information literacy gap. To accomplish such purpose, the author found the operation of various factors that bring about information literacy gap through in-depth interview of migrant workers and working level NGO staff. The result of interview revealed that information literacy gap of migrant workers is generated by the complex operation of personal characteristics, technical factor, social and economical factor, government policy factor and so on.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