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이제환(부산대학교) pp.5-32 https://doi.org/10.16981/kliss.39.4.200812.5
초록보기
초록

이 글의 목적은 우리나라 도서관정보정책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거시적 관점에서 파악하고 향후 개선을 위해 심층적인 논의가 필요한 과제를 발굴하여 체계적으로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정책의 근간이 되는 법과 제도, 정책기구, 행정조직, 전문인력, 재정, 그리고 발전계획과 관련하여 추이와 특징 그리고 문제점 등에 대해 살펴보고, 향후 지향해야 할 점에 대해 논의한다. 이 글에서의 논의는 관련 문헌에 대한 조사와 분석에 기초하고 있으며, 논의의 순서는 도서관정보정책에 대한 개념적 정의에서 시작하여, 2006년 이전까지의 도서관정보정책의 추이와 특징 그리고 한계를 도서관정책과 정보정책의 영역으로 나누어서 살펴보고, 2006년 새로운 <도서관법> 이후의 도서관정보정책에서 나타나고 있는 변혁을 들여다보면서 향후 도서관과 정보문화의 건강한 발전을 위해 보다 심층적인 논의와 검토가 필요한 과제들을 제시하는 것으로 마무리하고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dentify the problems that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ies (LIP) are facing with and to suggest its future direction for advancement. To the end, discussions include both progress and problems related to legal provision, government organization, administrative staff, professionals, finance, and master plans. Based on a thorough literature survey, this article begins from an analysis on the conceptual definitions of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ies,' explains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Korean LIPs before 2006(the year when new ‘library act' was established), and introduces major changes in Korean LIPs after 2006. Finally suggested are both strategies and methods to resolve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that Korean LIPs are facing with.

이철찬(부산대학교) pp.33-50 https://doi.org/10.16981/kliss.39.4.200812.33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대학신문에 보도된 도서관에 관한 기사를 분석하여, 그 당시에 대학도서관이 담당했던 역할과 시대에 따라 어떻게 변하여 왔는가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지난 60여 년간 P대학에서 간행한 신문을 대상으로 대학도서관과 관련된 전체 기사를 대상으로 조사·분석하였다. 그 결과 시대의 변화에 따라 기사의 내용도 많이 변화하였던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는 냉철한 자세로 스스로의 반성을 통해 현실을 직시하며, 미래지향적인 바람직한 도서관상을 정립하기 위한 대학도서관 운영이나 장기발전계획 등의 기초 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articles reported on university newspapers and figures out what roles they played in those days and how they have changed up to now. For this, it selected newspapers issued at P university for the last 60 years and examined and analyzed every article related to university libraries in them.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he contents of the articles have been changed dramatically as time goes by. The study result is expected to be used as foundational data for the operation of university libraries or their long-term development projects as we reflect ourselves rationally and face reality and establish desirable future-oriented library features.

김영기(경성대학교) pp.51-69 https://doi.org/10.16981/kliss.39.4.200812.5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에서 제시된 웹정보의 신뢰성 평가 요인과 지표들을 바탕으로 계층적 분석방법(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을 이용하여 지표들의 가중치를 산출하고 민감도 분석을 통해 웹정보의 신뢰성을 평가하기 위한 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AHP를 이용한 분석 도구로는 Expert Choice 2000을 사용하였으며, 평가지표의 가중치 산출을 위한 대상자는 비확률 표준추출방법(non-probability sampling) 중 판단표본추출방법(judgement sampling)을 사용하여 25명의 전문가로 구성된 설문대상자를 추출하였다. 한편 민감도 분석은 평가요인들의 가중치를 달리 했을 때 하위지표들의 글로벌 가중치에 대한 민감성을 분석한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평가 영역의 가중치를 네 가지 경우로만 제한된 변화에 대해서 하위지표들의 글로벌 가중치와 우선순위의 변동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1차 지표 간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에서는 진실성 요인의 중요도가 0.606으로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2차 지표에서는 콘텐트의 믿음성(0.857), 유용성(0.460), 시의성(0.417)이, 그리고 3차 지표에서는‘정보의 출처에 관한 정보 제공’, ‘기사의 인용이나 참고문헌 제공’, ‘이용자의 의견이나 리뷰 제공’ 등의 요인의 가중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영역별 가중치를 달리했을 때 AHP 결과와 민감도 분석의 결과에서 하위지표들의 가중치와 우선순위의 반전이 나타났지만, 안전성 요인의 가중치를 0.5로 상향조정한 민감도 분석 D를 제외하면 대체적으로 AHP 결과에서 글로벌 가중치의 우선순위가 높을수록 민감도 분석에서도 우선순위가 높아지는 경향을 발견할 수 있었다.

Abstract

This study tired to develop the web credibility evaluation model by calculating weighted values and sensitivities of indicators which presented on preceding researches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Expert Choice 2000" was used as the tool for analysing AHP. 25 experts are answered for this questionnaire who are selected by judgement sampling method, one of the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 Also, sensitivity analyses was performed to graphically see how the alternatives change with respect to the importance of the indicators or sub-indicators.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ings; i) importance analysis in first level factors: trust-worthiness(0.606), expertness(0.222), safety(0.173), ii) importance analysis in second level factors: trustfulness (0.519), reputation(0.087), usefulness(0.102), timeliness(0.093), competency(0.027), security(0.115), reliability(0.058). iii) some of the importance analysis in third level factors: the site provides comprehensive information that is attributed to a specific source(0.252), the site has articles that list citations and references(0.153), the site contains user opinions and reviews(0.072), etc. iv) sensitivity analyses showed that the importance of the indicators or sub-indicators are slightly changed with respect to the alternatives change.

김정택(배재대학교 도서관) ; 한복희(충남대학교) pp.71-96 https://doi.org/10.16981/kliss.39.4.200812.71
초록보기
초록

최근에 국내 일부 대학과 대학도서관에서는 경영혁신의 일환으로 성과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BSC를 도입했거나 도입을 고려하고 있다. 따라서 BSC를 적용하여 대학도서관 성과의 측정도구인 성과지표를 개발하고, 개발된 성과지표의 상대적 가중치를 산정하여 대학도서관의 사명달성과 성과제고에 어떠한 성과지표가 중요한지 분석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성과지표는 개발 과정에서 개발 주체의 특성과 관점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그러므로 성과지표에 대한 상대적 가중치 부여에 있어 전문가집단 간 차이를 분석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BSC 기반 대학도서관 성과지표 모형을 도출하고, 도출된 성과지표 모형의 평가요소별 중요도와 성과지표 모형에 대한 상대적 가중치 부여에 있어 전문가집단 간 차이를 분석한 연구이다.

Abstract

Recently, some universities and university libraries have implemented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as a part of managerial innovation, and they have either implemented or are considering implementing BSC. Thus there are needs to develop performance indicator, which is a tool measuring performance of university libraries, based on BSC, and to assess the developed performance indicator's relative weights to analyze which indicators are essential to fulfill and improve the university library's mission. The performance indicators are also affected by the characteristics and perspectives of the people who develop them during the development proces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differences among the professional groups in relative weighting of the performance indicat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rive a university library performance indicator model based on BSC, to analyze the importance of each evaluation factor of the derived performance indicator model,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among the professional groups in relative weighting of the performance indicator model.

노영희(건국대학교) ; 노동조(상명대학교) ; 안인자(동원대학교) ; 김성진(인하공업전문대학 비서과) pp.97-123 https://doi.org/10.16981/kliss.39.4.200812.97
초록보기
초록

주제전문서비스는 도서관 환경의 변화에 따른 전문화·특성화·개인화 등의 이용자 요구를 반영하기 위해 도입되고 있는 서비스 개념이라 할 수 있으며, 국내의 경우 1960년대부터 논문을 통해 주제전문사서의 개념이 논의되기 시작했고, 현장의 많은 도서관들에서 실제로 주제전문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주제전문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는 도서관들을 대상으로 이들 도서관들의 주제전문사서체제 도입배경, 주제전문서비스 내용 및 효과, 운영상의 애로사항 및 운영방법, 주제전문사서 채용방법 및 교육훈련방법, 주제전문사서의 직무에 대한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주제전문화의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더불어 국내외 주제전문사서 구인구직 수요도 비교·분석하였다.

Abstract

Subject specialized services are introduced in library environment in order to meet users’ needs, which become more specialized, characterized, and personalized. This concept dates back to the 1960 in Korean scholarly research, and previous studies revealed that many libraries in Korea have provided this kind of subject specialized services to library users. This study aimed to consider appropriate directions of subject specialization in Korea. This study examined seven library cases the structure of which is organized by subject specialization. It tried to give a good grasp of background of building up the subject specialization system, current state of the service and its effects, problems and challenges of operating the system, recruitment and training issues of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their duties and tasks, and so on. Also Announcements of academic subject specialist positions in Korea are compared to in other countries such as United States, UK, and Canada in order to analyze the demand for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이선희(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유수현(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pp.125-147 https://doi.org/10.16981/kliss.39.4.200812.125
초록보기
초록

정보환경의 급속한 변화로 도서관은 디지털시대에 적합한 장서개발정책 수립을 위하여 아날로그자원 위주에서 디지털자원을 고려해야 하는 시점에 이르렀다. 그러나 물리적으로 정형화된 형태를 가진 아날로그자원과 달리 디지털자원은 물리적 매체에 고정되지 않고 소유가 아닌 접근이용 라이선스만을 부여받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각 도서관은 수집과 보존을 위한 디지털장서 개발정책을 세우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국가의 지적문화유산을 수집하고 보존하여 다음 세대로 전하는 임무를 갖고 있는 국립도서관들은 고유기능 유지에 있어 심각한 도전을 받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는 국내외 국립도서관들의 디지털장서 개발정책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디지털장서 개발정책의 핵심요소를 도출하고자 한다.

Abstract

Due to the rapid changes of information environment, the libraries are needed to consider not only analog resources but also digital resources for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to fit the digital age. However, the libraries have difficulties to build digital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for collecting and archiving the digital resources because different from the analog resources, characteristics of digital information resources are not contained in physical medium and not allowed ownership but remote access by licensing. Especially, national libraries that have the mission to collect, preserve and transmit knowledge and cultural heritage to the next generation face even more serious challenges. This study intends to figure out the core elements of digital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through comparison of domestic and overseas national library policies tried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김영석(명지대학교) pp.149-170 https://doi.org/10.16981/kliss.39.4.200812.149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BTL(Build-Transfer-Lease)방식에 의한 공공도서관 건립 현황을 조사하여, 이 방식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 개선점을 제안하여 효율적인 도서관 시설 확충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 수행을 위해 문헌조사, 현장조사 그리고 인터뷰 방법을 이용하였다. 우리 정부는 부족한 공공도서관 시설을 확충하기 위해 민간투자방식의 한 유형인 BTL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2008년 현재 이 방식에 의해 6개 지자체에서, 1개의 도서관이 건립되었고 8개 도서관의 건립이 추진되고 있다. 이 연구는 BTL방식에 의한 도서관 건립이 대형 도서관 건립 형태로 추진되고 있음을 지적하고, 개별 사업으로 소규모 도서관을 여러 개 건립하는 것이 부족한 공공도서관 시설을 효과적으로 확충하는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제안한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public libraries being built using the BTL (Build-Transfer-Lease) method, which is one type of Private Finance Initiative, in order to investigate effective ways of building public libraries in Korea. A literature search, field research and interviews were the methods used for the study. One library was built and eight other libraries are in the process of construction using the BTL method in six cities in Korea in 2008. The study revealed that the bigger libraries are being built using the BTL method. The study suggests that in order to effectively increase the public library infrastructure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in Korea, smaller libraries should be built using the BTL method.

김정현(전남대학교) ; 강명수(대구미래대학) pp.171-188 https://doi.org/10.16981/kliss.39.4.200812.171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식품영양학의 학문적 특성과 문헌분류 체계를 분석한 후, 이를 토대로 KDC 식품영양학의 분류체계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이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식품영양학의 학문분류는 대체로 영양학, 식품학, 급식경영학의 3개영역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연구분류표에서도 이와 유사하게 구분되어 있다. 둘째, 식품영양학의 문헌분류 체계에서는 학문분류 체계와는 달리 대체로 영양학과 식품학이 별개의 학문으로 구분되어 있다. 즉, 영양학은 의학의 하위학문으로, 식품학은 가정학의 하위학문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식품학에서 급식경영학을 함께 다루고 있다. 셋째, KDC 식품영양학의 분류체계는 DDC나 NDC와 같이 영양학과 식품학이 별개의 학문으로 구분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분류하는 사람에 따라 혼란을 일으키고 있다. 그리고 일부 항목은 학문발전의 추세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거나 한글 및 영문표기의 오류가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영양학과 식품학의 분류혼란은 해당 항목에 주기를 첨가하여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학문발전의 추세를 반영하여 급식경영 관련 항목 및 한방요리 등과 같은 새로운 주제를 추가하거나 현대적인 용어로 대치하여 수정 전개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general problems concerning the food and nutrition field in the KDC 4th edition based comparative analysis DDC, NDC, and Disciplinary Classification System of Korean Research Foundation, and suggested on some ideas for the improvements of them. Results of the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knowledge classification of the food and nutrition field is divided by nutrition, food, and food service management. Second, the library classification of the food and nutrition field deals separately with nutrition and food, namely the nutrition is subdivided in medical science and food is subdivided in home economics. Third, the food and nutrition field in the KDC 4th edition had to be improved to use current terminology, to choose appropriate headings, and to subdivide the subjects more to introduce new topics.

남태우(중앙대학교) ; 백혜경(중앙대학교 대학원) ; 이형미(중앙대학교) ; 정수진(중앙대학교) pp.189-214 https://doi.org/10.16981/kliss.39.4.200812.18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현 KDC 4판의 지역구분체계가 가지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주요 분류법들을 십진과 비십진으로 나누어 각각의 분류법에서 채택한 지역구분 원칙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아울러 한국, 미국, 일본의 국가기관에서 채택한 지역구분 기준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KDC 4판 한국지역구분표의 개선안을 도출하였다. 또한 국민편의를 위해 마련된 공공기관의 행정구역분류체계와의 연관성 및 일관성 유지 방안과 아울러 행정지리에 의한 구분 이외의 다양한 지리현상을 반영한 추가적인 지역구분기준의 마련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point out problems of geographic division structure in current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System and provide solutions. For this purpose key classification methods were divided to decimal and non-decimal classification methods and analyzed for geographical division principles. In addition, national institutes regional division standards from Korea, USA and Japan were researched. Through these analysis, we provided suggestions to improve the table of geographical division in KDC4 including public institutions administrative district classification structure relations and consistency, and other regional divisional standards (proposal) instead of typical administrative district reflecting various geographical conditions.

김자후(광주대학교) pp.215-235 https://doi.org/10.16981/kliss.39.4.200812.215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오늘날 대부분의 도서관 홈페이지 상에 설정된 분류 관련 탐색장치들이 자료분류의 목적(분류의 본질적인 역할은 자료를 주제적으로 밀접하게 연관시키는 탁월한 브라우징 효과이고 또한 목록상에서 검색요소(색인어)의 역할도 하게 되는 것이다)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것을 발견하고 그 개선책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DDC를 사용하는 상당수의 국내외 도서관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먼저 세부 항목을 마련하여 분류기호 탐색장치의 문제점들을 분석하고 평가한 다음, 그 내용을 토대로 바람직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특히 분류브라우징(주제의 계층적 접근이 가능하도록 만든 장치) 관련 장치를 유용하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 DDC(1000구분 : 요목표)를 한국 실정에 맞게 조정․변개하였다. 분류의 탐색요소로서의 기능과 브라우징 역할은 홈페이지 검색장치에서 상호 유기적으로 작용하도록 설계되어야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provide possible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literature classification number system as the search and browsing device on the library homepage. After analyzing and evaluating literature classification number system as the search and browsing device on the homepage of library adopting DDC,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were proposed. For the purpose of maximizing the effectiveness of literature classification number system as the browsing device, DDC third summary(the thousand section) which is suited to domestic circumstances was prepared.

김연례(전주교육대학교) ; 이춘우(군산대학교) ; 최상기(전북대학교) pp.237-260 https://doi.org/10.16981/kliss.39.4.200812.237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RFID 시스템의 도서관 적용에 어떠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 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유비쿼터스 핵심 기술인 RFID와 RFID 시스템의 도서관 적용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정보기술수용모형 이론을 기반으로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용이성, RFID 시스템의 도서관 적용 의도를 연구모형의 핵심으로 설정하고 사회적 영향, 인지된 위험, 직무 적합성, 지원, 자기 효능감 등을 주요 외부변수로 확장하여 이론적 연구모형을 개발하였다. 이 이론적 연구모형을 바탕으로 실증연구를 수행하여 RFID 시스템의 도서관 적용의 영향요인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s designed to find out what kinds of factors influence the application of RFID system to the library. This study is followed by theoretically reviewing the RFID and the application RFID system to the library. Theoretical study models are developed by expanding the social influence, perceived risk, job relevance, support, and self-efficacy after Based 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hat provides useful theoretical foundations for setting the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intention of application to the library of RFID system as the core of a study model. The affecting factors of application of the RFID system to the library are presented by empirically studying this study model.

도태현(동의대학교) pp.261-281 https://doi.org/10.16981/kliss.39.4.200812.261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에서는 부산·울산·경남지역의 대학도서관 전자정보자원 검색시스템과 전자정보자원 제공처의 검색시스템을 분석하였다. 도서관 검색시스템의 접근점과 검색조건들(검색어의 조합방식, 검색어 일치방식, 검색의 상세수준)은 서로 다르고 통일성이 없었다. 제공처 검색시스템의 접근점은 그 종류가 불필요할 정도로 많고 서로 달랐으나 검색조건들은 비교적 정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전자정보자원 검색시스템의 개선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surveyed the retrieval systems for digital information resources of the university libraries in Busan, Ulsan, Gyeongnam districts and the vendors. Kinds of access points and retrieval conditions(Boolean logic, methods of index term identification, and particularities of the retrieval) of the libraries' systems are various and different to each other. Access points of the vendors' systems are unessentially various and different to each other, but the retrieval conditions are rather elaborated. Upon the result the suggestions for the standardization of digital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are offered.

서휘(창원문성대학) pp.283-304 https://doi.org/10.16981/kliss.39.4.200812.28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이용자의 탐색 행태, 시스템의 정보 구축 행태를 기반으로 초기 질의어의 범주에 해당하는 연관 용어들(해당 용어의 지식구조와 관련된 연관 용어들)을 학습기능을 통해 자동으로 제시해 줄 수 있는 지능형 검색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습을 통해 전문가 수준의 색인어를 추출할 수 있는 지능형자동색인 알고리즘, 자동분류에 관련한 클러스터링 알고리즘과 문서 범주화 알고리즘 그리고 범주 표현 알고리즘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이들 이론적 연구를 근거로 비용과 시간적인 측면에서 그리고 재현율과 정도율이란 측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지능형검색시스템을 구현하였다.

Abstract

This is to develop Intelligent Retrieval System which can automatically present early query's category terms(association terms connected with knowledge structure of relevant terminology) through learning function and it changes searching form automatically and runs it with association terms. For the reason, this theoretical study of Intelligent Automatic Indexing System abstracts expert's index term through learning and clustering algorism about automatic classification, text mining(categorization), and document category representation. It also demonstrates a good capacity in the aspects of expense, time, recall ratio, and precision ratio.

박미영(서울여자대학교 정보미디어대학) ; 김민정(서울여자대학교 정보미디어대학) ; 승현우(서울여자대학교) pp.305-329 https://doi.org/10.16981/kliss.39.4.200812.3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품질 개선 성숙도 모델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우선 일차연구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품질 평가에 적용할 수 있는 품질 평가 모듈을 개발하고자 한다.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품질 관리 및 개선을 위해서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품질을 체계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평가 모듈이 필요하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는 다음의 목적을 수행한다. 첫째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품질 평가를 위해 ISO/IEC 9126시리즈를 기반으로 품질평가 특성과 부특성을 선정하고 평가 모듈(메트릭)을 개발한다. 둘째 산업계와 학계간에 인지하고 있는 품질 평가특성의 중요도에 대해 비교 분석한다. 품질 평가 모듈을 개발하여 정량적 평가에 적용할 수 있는 이론적 실증적 토대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갖으며 이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품질 평가에 대한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후속연구에서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품질 평가를 통해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품질 개선 성숙도 모델을 개발하는 연구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is to develop quality assessment module to apply database system quality assessment thus, recognizing necessity of database system quality improvement maturity model. To manage and improve of database system quality, assessment module is needed to assess database system quality systematically. This study is to perform for the purpose of follows. First, this study is to select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ub characteristics on based on ISO/IEC 9126 series and to develop assessment module for database system quality assessment. Second,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to analysis about quality assessment characteristics of two groups. This study is to have significance to apply quantitative assessment in theoretical and practical basis and is to applicate basic materials of study in database system quality assessment. Also, in succeeding study, it will be to develop of database system quality improvement maturity model.

한상길(대림대학교) pp.331-352 https://doi.org/10.16981/kliss.39.4.200812.331
초록보기
초록

인물데이터베이스는 우리나라에서 제작되어 서비스 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중 유료화가 가장 먼저 이루어졌고, 현재 활발히 서비스 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인물데이터베이스의 구축 및 서비스 현황을 살펴보고, 인물데이터베이스 구축과정에 대한 문제점과 검색항목 및 검색 방법을 비교분석한다. 이를 토대로 인물데이터베이스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그 대표적인 방안 중의 하나가 인물데이터베이스 구축에서 시소러스를 이용한 용어관계와 인물 속성데이터를 이용하는 것이다.

Abstract

The person information is a database given free most livel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n- struction of the domestic person information database and the service present situation. And I compare a search item and a search method with problems for the biographical database construction process and analyze it. I analyze the problems of the person information database and show the person idea who can solve this. I use term relations and the attribute data of the person which used thesaurus by biographical database construction with this purpose.

오삼균(성균관대학교) ; 박옥남(한남대학교) ; 원선민(성균관대학교) pp.353-376 https://doi.org/10.16981/kliss.39.4.200812.35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메타데이터 응용프로파일 설계에 필요한 분석 과정 방법론을 개발하고, 개발된 방법론에 따라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을 위한 총괄적인 메타데이터 응용프로파일을 설계하는 것이다. 분석과정은 기존 표준 메타데이터의 분석, 이용자 요구 분석, 콘텐트 분석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각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론을 상세하게 기술하였으며 이와 함께 응용프로파일을 설계할 때 메타데이터 설계의 기본지침을 활용하였다. 이런 방법론을 문화예술교육진흥원 사례에 적용하고, 각 방법론이 메타데이터 요소 추출에 있어 어떤 역할을 하는지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체계적인 메타데이터 응용프로파일 설계 방법론이 향후 다른 도메인 응용프로파일 설계의 지침서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methodology for designing metadata application profiles(AP) and to design a comprehensive AP for Korea Art and Education Service(KACES). The process of developing a methodology is divided into three steps, analysis of standard metadata schema, analysis of user needs, and content analyses. Metadata principles and guidelines were utilized in designing a KACES AP along with the developed methodology in this study. This paper describes what role the methodology developed here plays in devising metadata elements. The paper also discusses the benefits of three methods for AP design. The study has values in that it provides implications for designing APs for other domains.

소민호(KAIST 학술정보처) ; 고성순(전주대학교) pp.377-395 https://doi.org/10.16981/kliss.39.4.200812.37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Burton & Kebler의 문헌이용률 감소법칙을 적용하여 과학기술분야 학술잡지의 이용가능기간, 즉 시간이 경과함에 따른 이용확률을 밝혀냄으로써 과학기술분야 잡지의 가치를 측정하고, 도서관이 이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어떤 잡지의 무슨 연도, 무슨 권호까지 소장해야 하는가를 결정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는 것이다. 국내 연구자들이 1991-2005년(15년간) 동안에 SCI 학술지에 발표한 과학기술분야 논문 126,425편 중에서 인용문헌 2,351,419건을 대상으로 과학기술 4개 주제(수학 4개, 물리학 12개, 화학 12개, 공학 14개)분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인용나이는 수학이 20-29년, 물리학, 화학, 공학이 각각 8-11년이었다. 평균 반감기는 수학이 11.22년, 물리학이 7.5년, 화학이 8.4년, 공학이 8.88년이었다.

Abstract

This article aims to help decide until when a library has to hold journal volumes for user efficiency by measuring the value of academic journals to find the frequency of journal use over the elapsed time based on the half-life index-number of literature obsolescence by Burton & Kebler. Four general subjects categories in science was analyzed. (4 detailed subjects in mathematics, 12 in physics, 12 in chemistry, 14 in technology was selected.) As a result, citation ages are 20~29 years in mathematics, 8~11 in physics, chemistry, and technology. Average half-life indexes are 11.22 year in mathematics, 7.5 in physics, 8.4 in chemistry, and 8.88 in technology.

노지현(부산대학교) pp.397-420 https://doi.org/10.16981/kliss.39.4.200812.397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최근 다문화도서관이나 도서관에서의 다문화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현실적인 문제로 다가오고 있는 ‘다문화 장서의 목록 구축’에 대한 문제를 논의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사)아시아공동체 부설 국제어린이도서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1만 여권의 다문화 장서에 대한 목록 구축 경험에 기초하여 향후 다문화 장서의 목록 구축에 적용할 수 있는 체험적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1) 그동안 다문화 장서의 목록 구축에 관한 국내외 도서관계의 기존 논의를 추적하고, (2) 현재 우리나라의 공공도서관과 대학도서관, 그리고 민간도서관에서 경험하고 있는 다문화 장서 목록 구축의 사례와 북미 도서관계의 사례를 비교하여 살펴본 다음, (3) 실제 목록 구축의 경험을 통해 향후 우리 도서관계에서 다문화 장서의 목록을 체계적으로 구축하기 위한 방안과 향후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iscuss cataloging on multicultural collection in Korean libraries. Especially, this study emphasized to derive a lesson of immeasurable value from the cataloging experience in International Children's Library at Asia School. To the end, (1) comprehensive literature survey and analysis were conducted to introduce the discussion on cataloging for multicultural or multilingual collection, (2) the cataloging examples were examined comprehensively (the data needed were collected by public, academic and nonofficial libraries in Korea, as well as several libraries in North America), and finally (3) cataloging policy and practices for multicultural collection were suggested on the basis of the experience in International Children's Library at Asia School.

김성준(전북대학교) pp.421-443 https://doi.org/10.16981/kliss.39.4.200812.421
초록보기
초록

우리나라 사서교사 평가제도로서 현행 교원평가제도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현행 교원평가제도는 사서교사의 직무수행성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갖추어야 할 타당성이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고, 현행 평가기준을 적용하면 사서교사는 낮은 평가를 받을 수밖에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드러났다. 이 연구에서는 사서교사 직무수행 성과를 적절하게 평가하고, 이를 통해서 사서교사의 책무성과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validity of current teacher's evaluation systems to evaluate teacher librarians. The result is as follow: The current teacher evaluation system has the low validity to evaluate the expertise of teacher librarians, and the result of using this evaluation system, must be unfair to teacher librarians. This study will suggest alternatives on an appropriate evaluation item to strengthen teacher librarians' expertise and accountability.

이승채(전북대학교) pp.445-460 https://doi.org/10.16981/kliss.39.4.200812.44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여학생들이 어릴 때부터 여고생 시절까지 성장하면서 각 시기별로 읽는 도서의 양 사이에는 어느 정도의 상관관계가 있는지, 또 각 자료유형별 상관관계는 어떠한지에 대하여 밝히고 이 결과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내용과 비교하여 신뢰성 있는 이론을 창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지를 활용한 서베이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성장시기별 자료유형별 독서량 등을 조사하고 통계처리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특정 시기에 특정 매체(일반도서, 만화, 잡지)를 많이 이용하면 다른 시기에도 동일 매체를 많이 이용할 가능성이 높고 어린 시절 만화의 독서량이 많은 학생들은 상급학교에서 일반도서를 읽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rrelation of reading quantities in various media (magazines, books, comic books) and different developmental phases of women high school students. I surveyed reading quantities in developmental periods, by questionnaires. As a methodology of empirical study, data was collected from 198 students at the Jeonju Girls' High School. Statistical techniques of a Pearson Correlation Test were employed according to my hypotheses. The results of this survey are as follows: 1) Reading quantities of specific media of specific period is correlated with reading quantities of same media of other period 2) Reading quantities of books is correlated with reading quantities of comic books.

김홍렬(전주대학교) pp.461-478 https://doi.org/10.16981/kliss.39.4.200812.461
초록보기
초록

공공도서관이 지역주민들의 정보, 교육, 문화센터로서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서 지역주민들이 자유롭게 방문하여 아무런 불편함이 없이 정보문화활동을 전개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현재 지역주민들이 가지고 있는 도서관불안을 해소할 수 있는 체계적인 프로그램이나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공동도서관을 이용하는 다양한 계층의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LAS(Library Anxiety Scale)를 사용하여 도서관불안의 정도를 측정하고, 이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대체로 지역주민들의 도서관불안은 높게 나타났으며, 계층별, 연령별, 학력별, 도서관방문횟수별, 도서관교육프로그램참여여부에 따라 도서관불안의 정도 차이가 매우 높았다.

Abstract

This study was investigated and analyze the library anxiety of public library users utilize LAS. The main contents of this study contained the differences of library anxiety in sex, educational background, age categories, the frequency of library visit, the completion of information literacy program and library use instruction. Library anxiety is very differed according to the various factors, especially, the library anxiety of knowledge of library, barriers with staff was high, the average LAS score is 2.61, 2.60. Regard to results of this study, conclusion are suggested the recommendations for a decrease in library anxiety of public library users.

이용재(부산대학교) ; 배화숙(부산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pp.479-504 https://doi.org/10.16981/kliss.39.4.200812.479
초록보기
초록

한국이 다문화사회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가장 주목되는 대상이 여성 결혼이민자들이다. 이들이 우리 사회에 안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지원이 필요하며, 이러한 지원과 관련하여 사회서비스 및 정보 접근성에 대한 연구가 긴요하다. 이 연구는 여성 결혼이민자들이 결혼생활과 한국사회 적응 과정에서 직면하는 문제는 무엇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사회서비스와 정보를 어디에서 구하고 있는가에 초점을 맞추었다. 사회연결망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결혼이민자들이 직면한 문제별, 출신국가별, 거주지별로 사회서비스 및 정보의 접근성에서 그 실태와 차이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토대로 결혼이민자들의 사회서비스 및 정보 접근성과 이들을 위한 사회서비스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 female marriage immigrant is one of the most remarkable group as Korea entering a multicultural society. It is necessary that they get various supports to become a part of our Korean society, and social services and information accessibility are really important things to give them such supports effectively.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problems that female marriage immigrants are facing in their marriage life and a process of adaptation in Korea. This research analyzed the actual conditions and the differences of social services and information accessibility classified by the problems female marriage immigrants are facing, their nationality, and their residence.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is research provided the ways to raise the level of social services and information accessibility and also optimize social services for them.

황인담(계명대학교) ; 박준식(계명대학교) pp.505-522 https://doi.org/10.16981/kliss.39.4.200812.5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서는 인지장애나 경증 치매로 의심되는 65세 이상 90세 이하의 남녀 노인 12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여 6개월간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독서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도와 우울증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측정도구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한국판 MMSE-K와 우울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단축형 노인 우울척도를 사용하였다. 치매노인을 위한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인지도는 향상되고 우울증은 감소함으로써 독서치료가 경증 치매노인의 증상을 호전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This research aimed at the investig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bibliotherapy for depressed older adults from 90 to 65 years of age and older. For implementing the research, 12 subjects, aged 65 or over, were recruited from the community on a volunteer basis to participate in a bibliotherapy program. The score of MMSE-K, while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score of SDS. Experiment results were analyzed via t-ananlysis The analysis of hypothesis was revealed that the Depressed effectiveness of interactive Remark bibliotherapy was superior to that of reading bibliotherapy.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